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美 지난 겨울 꿀벌 31% 떼죽음… 농업 대재앙 현실화 우려

 

EU "살충제 제한" 발표 - 전세계 식량 작물 63%가 꿀벌 꽃가루받이에 의존

사라지는 꿀벌들 - 바이러스·기생충·기상악화… 휴대폰 전자파 탓이라는 설도

꿀벌 떼죽음으로 인한 '농업 대재앙'이 다가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에서 지난겨울(작년 12월~올해 2월) 전체 꿀벌의 31%, 양봉용 벌통으로 따지면 80만통이 감소했다고 미 농무부가 7일 발표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감소에 해당한다. 양봉 농가가 지난해 벌통 1개에서 거둬들인 벌꿀 양은 25.4㎏으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NYT는 전문가 말을 인용해 지난겨울과 같은 꿀벌 개체 급감 또는 기상이변이 또 일어나면 작물 재배에 필요한 꽃가루받이(수분·受粉)가 불가능해지는 농업 대재앙이 벌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CCD(Colony Collapse Disorder·군집붕괴현상)'라 불리는 꿀벌종(種) 소멸 현상은 2006년 미 펜실베이니아주에서 "꿀벌들이 갑자기 사라졌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처음 시작됐다. 최근까지 이어진 연구에서 그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생충·바이러스·농약·기상 악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고, 휴대전화 전파가 꿀벌을 신경계 마비로 숨지게 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CCD로 인해 미국과 유럽, 대만, 호주 등지에서는 매년 겨울 꿀벌이 네 마리 중 한 마리꼴로 종적을 감추고, 양봉업자들은 봄·여름·가을에 애써 개체 수를 복구하는 작업을 반복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벌이 사라지면 단순히 벌꿀 생산량 감소에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작물 가운데 63%가 꿀벌의 꽃가루받이에 의해 열매를 맺는다. 나머지는 다른 곤충이나 새, 바람 등에 의존한다. 특히 아몬드는 꿀벌 없이는 농사 자체가 불가능하고, 사과와 블루베리도 꿀벌 의존도가 90%에 이른다.

유럽연합(EU)은 적극적으로 꿀벌 보호에 나섰다. EU는 최근 곤충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진 '네오니코티노이드' 계통의 살충제 사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이보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씨앗 표면에 묻히는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곤충 외에 포유동물에는 큰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분무식으로 대량 살포하는 다른 살충제로 대체할 경우, 전체 환경에는 오히려 더 큰 피해가 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꿀벌 연구 전문가 댄 커밍스는 "꿀벌 보존을 위해 더 많은 연구와 자금 투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조회 수 :
37
등록일 :
2013.05.12
20:11:1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11/95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23
17 북극 '검은얼음' 확산, 온난화 가속..2030년 완전해빙? file 태일[太一] 2013-08-23 123
16 베트남 폭설, 최고 20cm의 눈 쌓여 "왜 자꾸 이런일이.." file 태일[太一] 2013-12-21 66
15 혹한·폭염에 폭풍까지..지구촌 이상기후 몸살 file 태일[太一] 2014-01-07 136
14 '설국열차' 현실된 美, 사망자 속출···'죽음의 대륙'으로 file 태일[太一] 2014-01-09 101
13 호주에 44도 '살인 폭염' 이어져..피해 확산 file 태일[太一] 2014-01-18 396
12 지구 대변동기 최악시나리오에 대비하라!!! [予告編」 file 태일[太一] 2014-10-12 256
11 자연의 신비, 쓰나미(2004년12월26일) file 태일[太一] 2014-12-25 203
10 히말라야빙하의 위기 file 태일[太一] 2014-12-27 217
9 2014년 12월 기후변화총회, 폴 벡위드 `10~20년내 멸망` file 태일[太一] 2015-01-25 457
8 과학자들 "지구는 끝났다" 비관론 이유는? file 태일[太一] 2020-01-21 157
7 러시아가 눈이 부족해.. 모스크바 140년래 가장 따뜻한 겨울 file 태일[太一] 2020-01-25 116
6 [이상 현상] 빠르게 녹는 남극 '최후의 날 빙하'..따뜻한 물 발견 충격 file 태일[太一] 2020-02-05 120
5 '남극의 눈물'..영상 20도 뜨거운 더위에 녹아버린 섬 file 태일[太一] 2020-02-23 162
4 코로나에 가려진 기후위기의 심각성 file 태일[太一] 2021-01-17 84
3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어느 정도일까 file 태일[太一] 2021-01-30 107
2 나사 "2020년 지구평균기온, 역대 가장 높았다.. 지구 온도 계속 상승" file 태일[太一] 2021-02-13 184
1 미국 73% 눈 덮여..100년만의 한파는 '북극온난화 탓' file 태일[太一] 2021-02-21 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