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신과 인간의 만남(神)

“그들은 강 저편에서 ‘돌아가라’는 계시를 들었다”

죽음 뒤 세계는 존재하는가. 인간의 영혼은 소멸하는가. 먹고 사느라 바쁜 사람들에겐 부질없는 질문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죽음의 고비를 넘긴 사람들의 사후세계 체험담을 듣노라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죽음을 통해 삶을 이해하자”고 갈파하는 한국죽음학회 최준식 교수의 ‘근사(近死) 체험’ 연구.

 
 

세계적인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1875~1961)은 1944년 초 심근경색으로 의식불명이 됐다. 산소호흡기에 의지해 목숨을 지탱하며 삶과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융은 아주 특별한 경험을 한다.

그는 아주 높은 곳으로 올라가고 있었다. 아래쪽엔 새파란 빛 가운데 지구가 떠 있고, 거기엔 감청색 바다와 대륙이 보였다. 발 아래 저쪽 먼 곳에 실론 섬이 있고 앞쪽은 인도였다. 시야에 지구 전체가 들어오진 않았지만, 지구의 형체는 확실히 보였다. 그 윤곽은 푸른빛이었다.

그가 방향을 돌리려 하자 뭔가가 시야로 들어왔다. 운석과 같은 새까만 돌덩이가 우주공간을 떠다니고 있었다. 돌덩이 한가운데에는 힌두교 예배당이 있었다. 바위 입구로 들어선 순간, 그의 머릿속에 삶의 단편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 이 모든 사건이 그때껏 자신의 존재를 형성해왔음을 불현듯 깨닫는 순간이었다.

그는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의식을 되찾았다. 혼수상태에 빠진 그를 줄곧 지켜본 간호사는 “의식을 잃은 융이 밝은 빛에 싸여 있는 것 같았다”고 했다. 1944년 우주선 아폴로호(號)가 찍은 지구 사진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융은 생사의 기로에서 이미 푸른 색으로 빛나는 지구를 본 것이다.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낫다?

세상엔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현상이 많다. 특히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가까스로 살아 돌아온 이들이 털어놓는 ‘죽음의 이미지 체험’이 그렇다. 의식불명 상태에서 융은 새파란 지구를 봤고, 전쟁터의 부상병들은 생사의 기로에서 죽은 조상을 보았다고 고백한다. ‘근사(近死) 체험’이라는 특이한 현상을 경험한 사람이 세상에 적지 않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라게 된다.

죽음 이후의 세계를 믿는가. 사후생(死後生)이 있다면 우리는 죽음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먹고 사는
데 급급한 우리 사회에 ‘죽음’의 화두를 던진 인물이 있다. 6월4일 동료 교수 및 전문가 20여 명과 함께 한국죽음학회를 창립한 이화여대 최준식(崔俊植·49) 교수(한국학)다.

“근사 체험(과거엔 ‘임사(臨死) 체험’이라고 표현했으나, 최 교수는 ‘Near Death Experience’를 ‘근사 체험’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말한다) 연구를 통해 죽음과 삶을 새롭게 바라보자”는 그의 문제 제기는 ‘죽으면 모든 게 끝’이라는 한국적 가치관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듯하다.

“한국 종교계야말로 구조조정 대상 1순위”라며 야멸찬 독설을 퍼붓는 종교학자, ‘전통의 재발견’을 통해 한국미를 재조명한 한국학자…. 이름 앞에 붙는 다양한 타이틀이 말해주듯 그는 한국 사회의 가려운 곳을 찾아내 일침을 놓곤 했다. 그가 새롭게 천착한 ‘근사 체험을 통한 죽음 연구’는 그래서 더욱 관심을 끈다.


6월8일 이화여대 인문관에서 최 교수를 만났다. 재킷을 멋스럽게 걸친, 자유분방해 보이는 첫인상의 최 교수는 인사를 나누면서 대뜸 카드 하나를 내밀었다. ‘한국 UFO 조사분석센터 회원증’이었다.

“나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신비한 현상에 관심이 많아요. UFO도 그런 차원에서 관심을 갖게 된 건데, 최근 사람이 줄어 이 조사분석센터가 없어지고 말았어요. 안타깝죠.”

UFO와 근사 체험을 믿는 학자와의 대화는 처음부터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 신념의 바탕엔 어떤 생각이 깔려 있을까.



-왜 죽음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까.

“사는 게 지루하고 재미없지 않아요? 어린 시절부터 죽음 뒤의 생에 관심이 많았어요. ‘소년’ 같은 잡지에서 죽음과 전생에 대한 이야기만 골라 읽었지요. 아마 내가 한국에서 죽음과 관련한 책을 가장 많이 보유한 사람이 아닐까 싶어요.”


-종교가 없는 사람들은 대개 죽음을 ‘완전한 소멸’로 여깁니다.

“그게 많은 한국인의 생각입니다.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낫다’ ‘죽은 정승이 산 개보다 못하다’는 속담도 있잖아요.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을 반영하는 단적인 사례들이에요. 수천 년 동안 내세보다 현세를 중시하는 의식세계를 가져왔기 때문이죠. 내세관이 없는 유교문화의 영향도 있고요.

문제는 한국인이 유달리 생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죽음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는 데서 출발합니다. ‘마지막 가시는 길인데…’ 하며 엄청난 장례비를 들이고, 말기암 환자는 대부분 항암제를 복용하며 혼수상태에서 죽음을 맞습니다. 죽음에 대한 강렬한 거부감은 엄청난 의료비와 장례비로 귀결되고, 그 부담은 살아남은 자들이 떠안는 거죠.

근사 체험 연구는 죽음과 내세에 대해 적절한 가치관이 형성돼 있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거예요. 죽음 뒤의 세계가 존재하고 그 세계가 어떤 원리로 움직인다는 걸 알면 우리 삶이 완전히 달라지지 않겠어요                 

                                                   [한국죽음(死)학회 최준식 교수의 사후세계 체험기]

 

조회 수 :
106
등록일 :
2008.09.30
01:22:0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1/11635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
옵션 :
: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6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6 2009-03-14
41 ‘꿈 녹화’ 더이상 꿈 아니네 file 태일[太一] 113 2010-10-29
‘꿈 녹화’ 더이상 꿈 아니네 23면2단| 기사입력 2010-10-28 20:55 | 최종수정 2010-10-28 22:35 [한겨레] 미, 두뇌활동 영상화 시스템 개발중…“꿈 읽어낼 것” 꿈은 잠에서 깨어나면 사라지는 신기루일 뿐일까?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앞으론 꿈을 저장하고 ...  
40 마음은 뇌를 닮고 뇌는 마음을 닮아 file 태일[太一] 97 2010-10-22
마음은 뇌를 닮고 뇌는 마음을 닮아 | 기사입력 2010-10-22 18:07 [한겨레21] [사이언스온] 새로운 발견으로 자연과 윤리의 상호관계까지 밝히는 뇌과학… 뇌는 마음의 바탕이자 결과이고 타인의 뇌와 공명 일으키기도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그가 속한 가정과 사...  
39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file 태일[太一] 58 2010-10-06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삶과 죽음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道典 2:109:7∼9)    인간의 죽음이란 곧 신명으로의 탄생이며, 신명...  
38 가장 지존지대한 분은 내 조상 file 태일[太一] 194 2010-09-20
가장 지존지대한 분은 내 조상    만성 선령신(萬姓先靈神)들이 모두 나에게 봉공(奉公)하여 덕을 쌓음으로써 자손을 타 내리고 살길을 얻게 되나니 너희에게는 선령(先靈)이 하느님이니라. 너희는 선령을 찾은 연후에 나를 찾으라. 선령을 찾기 전에 나를 ...  
37 삶과 죽음, 그리고 영혼의 세계 file 태일[太一] 209 2010-08-23
삶과 죽음, 그리고 영혼의 세계 만물은 형(形)과 이를 주관하는 신(神)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생물에서 오오라(AURA)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혼과 죽음의 문제를 ...  
36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file 태일[太一] 131 2010-06-14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란 사람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얘기입니다. 우리가 간간이 들어왔던 저승에 대한 얘기를 명부에서 벌어지는 재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  
35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한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57 2010-05-23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한 이야기 꿈, 전생, 원한, 기도, 보은, 조상님 제사... 이 세상에는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神異)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며 신명계를 다녀온 사람들의 체험담도 흥미롭다. 그러면 지금부터 하늘과 땅, 신명계에...  
34 워보카와 영혼의 춤(Ghost Dance) file 태일[太一] 138 2010-01-21
워보카와 영혼의 춤   -김재남-   이 영적인 움직임은 '고스트 댄스'(Ghost Dance, 영혼의 춤)라고 불려졌는데, 미국 전지역의 인디언들에 의해서 시작된 최초의 조직적인 운동이었습니다."      좌)Wovoka and the Ghost Dance  by Michael Hittman ...  
33 죽을때......[동영상] file 태일[太一] 111 2009-06-10
사람이 죽음의 질서에 들어가면 ... 자, 우리 인간이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는 것을 제 강의의 서두를 내면서, 우선 그 안전벨트에서 인간의 몸이 분리되는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있거든요. 제 영상물은 그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자, 그거 하나 잠...  
32 인간완성의 길 윤회 file 진리의 빛 60 2009-06-05
윤회란 인간이 완성으로 가는 하나의 과정입니다. 사람이 무수한 전생을 경험한다는것은 그만큼 성숙해졌다는 의미와 같지요 흔히들 경험많은 사람들이 좀더 성숙한자세를 보이는것을 알수가 있듯이 수많은 전생체험을 했다는것도 마찬가지로 그 경험의 일체...  
31 인간의 탄생과 죽음의 비밀 file 태일[太一] 104 2009-03-17
 
30 살아계신 조상님 file 진리의 빛 80 2009-02-21
신명계에 살아계신 조상님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계에서의 새로운 생활의 시작이다. 지상에서의 제삿날은 영계의 생일날과 같다. 비록 육신은 없지만 신명이 되어 천상 신명계에서 다시 살아가는 것이다.      조상님들은 천상에서 영혼의 모습으로 늘...  
29 [+사후세계+] 인간의 몸속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file 태일[太一] 159 2009-02-20
인간의 참모습 : 혼과 넋  * 사람마다 몸 속에 신이 있느니라. (道典 3:116:4)  *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魄)이 있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  
28 <에디슨이 발명한 귀신 탐지기> 달팽이 118 2009-02-04
1919년 세계 발명인 협회에서 에디슨을 만난 유럽의 한 대학교수는 에디슨에게 다음 발명품은 무엇이냐고 묻다 그가 귀신의 존재를 감지할수 있는 기계를 만든 다고 하자 현재까지 만든다고 하면 모든것을 만들어낸 에디슨의 새 발명품에 커다란 관심을 갖게 ...  
27 영혼 세계의 비밀을 알려드려요 (동영상강의) file 태일[太一] 82 2009-01-20
영혼 세계의 비밀을 알려드려요 (동영상강의) <<..소책자클릭,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_^...  
26 자손에게 살길을 열어주신 조상선령님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04 2008-12-08
자손에게 살길을 열어주신 조상선령님 이야기  꿈에 조상님께 종아리를 맞고 보니  증산도사상연구소 연구원을 통해서 증산도를 만난 분 중에 이런 분이 있답니다. 이 분은 사회적으로 고위 관직에 계시는 분인데, 하루는 꿈에 조상님으로부터 호되게 종아...  
25 새 운수의 길을 열어주신 조상님의 음덕 file 태일[太一] 98 2008-10-05
 천상에 계신 조상님으로부터 영감을 받아서 진리를 찾아온 이야기      사람들이 천지만 섬기면 살 줄 알지마는 먼저 저희 선령에게 잘 빌어야 하고,  또 그 선령이 나에게 빌어야 비로소 살게 되느니라.  이제 모든 선령신들이 발동(發動)하여 그 선...  
24 강좌 1. - 시간의 존재 :::: 들어가기 file 태일[太一] 60 2008-10-05
강사 : 정명희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 시간의 존재 예, 오늘 이 야심한 밤에 하필이면 신관인데. 흔히 말하는 귀신 얘기 해야 되는데. 이 야심한 밤에 정말 분위기가 참 좋은 거 같습니다. 저는 누구를 만나든지 시간에 관한 이야기를 굉장히...  
23 강좌 2. 의식과 무의식 file 태일[太一] 68 2008-10-05
* 의식과 무의식 오늘 제 강의를 이해하시기 위해서 제가 제 소개부터 해야 되겠습니다. 저는 경대 간호학과를 나왔는데요, 제가 굉장히 부끄러움이 많고 하여간 성격이 너무너무 내성적입니다. 남 앞에서 말도 못하고. 그런 너무너무 힘든 성격에서 제가 성...  
22 강좌 3. 죽음의 질서 file 태일[太一] 43 2008-10-05
* 사람이 죽음의 질서에 들어가면 자, 우리 인간이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는 것을 제 강의의 서두를 내면서, 우선 그 안전벨트에서 인간의 몸이 분리되는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있거든요. 제 영상물은 그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자, 그거 하나 잠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