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놀라운 동양예언

마이산 탑사 이갑룡 예언,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한다.”

 

마이산 탑사의 3가지 불가사의

첫째는 이갑룡이란 도인이 1884년부터 1914년까지 30여년간 쌓았다는 80여기의 탑, 제갈공명의 팔진도법을 응

용해 쌓았다는 이 탑들은 천지탑 일광탑, 월광탑, 중앙탑 용탑 등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갖고 있다. 각기 다른 탑형

은 상반된 두가지 기, 즉 음양의 이치와 상생과 오행의 원리에 따라 배치했다고 한다.

 

 

as1.jpg

<마이산 탑사의 탑은 불교의 세계관에 따른 것이 아니라, 동방 한민족의

전통'천지일월의 우주관'을 기본 구도로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폭풍우가 몰아쳐도 탑은 약간 흔들리기만 할 뿐 아무 탈 없이 서 있다는 것이다.이들 돌탑은 똑같은 크기

의 돌을 쌓아 올린 외줄탑과 피라미드형 돌탑으로 구성돼 있다. 대부분 10미터 내외이나 20미터 정도 되는 것도 있

다. 혼자 들기에는 힘겨운 돌을 20미터 높이까지 어떻게 사람의 손으로 쌓아 올렸을까 하는 것도 의문이다.

 

 

as2.jpg as3.jpg

<탑사의 신서神書와 역고드름...>

 

 

두 번째 신비는 이갑룡 처사가 이 탑을 완성한 후 하늘의 계시를 받고 썼다는 30권의 신서神書 한글도 한자도 아닌

제 3의 글자이다. 이 처사는 "영에 통달한 사람이 나오면 이 글의 뜻을 알 게 될 것이며 제세의 비법을 터득하게 될

것" 이라고 유언 했다는 것이다.

 

마이산의 마지막 신비는 역고드름. 돌탑 아래 떠놓은 정한수가 거꾸로 치솟아 오르며 얼어붙는 현상을 말한다. 이

역고드름 현상은 겨울에 나타나며 학자들은 대류현상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근거는 없다.

 

 

이갑룡 처사가 돌탑을 왜 쌓았을까요?

이상과 같은 3가지 불가사의한 신비를 가진 마이산 탑사의 돌탑, 그렇다면 이갑룡 처사는 이 돌탑을 왜 쌓았을까

요?

그 답은 증산도 도전에 나옵니다.

 

정성 기도 중에 마이산을 계시 받은 이갑룡

4

임실 사람 이갑룡(李甲龍)은 경신생(庚申生)으로 본명은 경의(敬義)요, 호는 석정(石亭)이라.

5

열여섯 살에 부친을 여의고 3년 시묘살이를 하다가 산의 영기(靈氣)에 크게 감응되어

6

시묘살이 후 백두에서 한라까지 전국의 명산을 두루 찾아다니며 3·7일 기도를 올리니라.

7

이 때 갑룡이 ‘나는 세상 사람들의 죄를 대속하러 나온 사람이라.’고 굳게 믿고 기도에 정진하더니

8

하루는 강원도 원주 치악산(雉岳山)에 들어가 기도 드릴 때 혼몽 중에 두 봉우리가 선연하게 보이니라.

9

그 후 마이산에 가 보니 그 기이한 산세가 꿈에 보았던 바로 그곳이거늘

10

갑룡이 마이산에 자리잡고 공부를 시작하니 그의 나이 스물다섯이더라. <도전5:89>

 

 

이갑룡 처사가 마이산의 돌탑을 쌓은 이유는, “ 나는 세상 사람들의 죄를 대속하러 나온 사람이라.

"였습니다. 세계 창생들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한 평생 기도하는 삶을 살았던 것입니다.

 

예수만 십자가에 매달려 죄를 대속한 게 아닙니다. 인류역사에서는 창생들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기도했던 분이

부지기수였습니다. 만약 예수가 기인 보살 신선 문화가 득시글한 동방 한국이나 중국에 태어났더라면, 예수의 구

救贖 행위는 크게 대접을 받지 못했을 지도 모릅니다.

 

 

as4.jpg

 

 

이갑룡 처사의 미래 예언

이갑룡 처사는  인류의 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인류에게 닥칠 큰 재앙을 예고함

5

하루는 한 제자가 정감록에 대해 물으니 “그거 다 쓸데없는 소리다. 허사다.” 하니라.

6

갑룡이 그 가족과 제자들에게 종종 말하기를 “앞으로 엄청난 재앙이 온다.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한다. 십릿길에 사람 하나 볼 듯 말 듯하게 그렇게 인종이 귀해진다.” 하고

7

이어 “그 때는 천심 가진 사람만이 살아남는다. 선(仙)의 씨앗만 남아 요순세계가 온다. 용화세계, 미륵 세상이 온다.” 하니라.<도전10:112>

 

 

앞으로 엄청난 재앙이 오는데,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한답니다.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하는 건 뭘 말하는 걸

까요? 괴질 병겁을 말하는 거겠죠.

 

종말 상황에 괴질 병겁이 휩쓸어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할 때, 살아남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이갑룡 처사는 “

그때는 천심 가진 사람만이 살아남는다. ” 고 하는군요. 여러분은 천天心을 가지고 계신가요? 여러분은 천지자연

처럼 사욕 없이 진실하게 살고 계신가요?

 

앞으로 오는 미륵세상에서는, “선(仙)의 씨앗만 살아남는다.”고 하는군요. 우리 모두 정말 참되고 진실하게 살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6
공지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우주1년과 가을개벽 file 태일[太一] 1124
63 탄허스님의 미공개 예언 file 태일[太一] 12076
탄허스님의 미공개 예언 출처 : 신동아 2000년 ?월 기사중 일부 장차! 대한민국이 위기에 빠진 인류를 구한다 1995년 1월 3천 3백여 명이 넘는 사망·실종자를 낸 일본 고베 대지진 사건이 터졌을 때 생전에 ≪주역≫을 풀어 미래 세계를 예언하는 데 탁월한 능력...  
62 숭례문을 만들 당시 정도전이 태조 이성계에게 한가지 예언! file 태일[太一] 2996
숭례문을 만들 당시 정도전이 태조 이성계에게 한가지 예언을 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내가 만든 숭례문이 훗날 불타 소실될 날이 올것이니, 이 징조는 한양이 그 운을 다하고 수명을 다한 것을 알리는 것이며, 국운도 곧 쇠태할 것이...  
» 마이산 탑사 이갑룡 예언,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한다.” file 태일[太一] 1417
마이산 탑사 이갑룡 예언, “사람들이 삼대 쓰러지듯 한다.” 마이산 탑사의 3가지 불가사의 첫째는 이갑룡이란 도인이 1884년부터 1914년까지 30여년간 쌓았다는 80여기의 탑, 제갈공명의 팔진도법을 응 용해 쌓았다는 이 탑들은 천지탑 일광탑, 월광탑, 중앙탑...  
60 [밀레니엄 대예언] 불법의 바퀴가 멈췄다! file 태일[太一] 277
[밀레니엄 대예언] 불법의 바퀴가 멈췄다! 모든 물체는 추진력을 상실하고 멈춰 버릴 수밖에 없다는 엔트로피 법칙은 물리학에만 고유한 것이 아니다. 불법의 수레는 멈춘다 부처의 추종자들은 진실, 즉 다르마法의 운행도 힘을 잃고 소멸할 수밖에 없다고 믿...  
59 인류의 구원은 한국에서 이루어진다 file 태일[太一] 215
인류의 구원은 한국에서 이루어진다 1995년 1월 3천 3백여 명이 넘는 사망·실종자를 낸 일본 고베 대지진 사건이 터졌을 때 생전에 ≪주역≫을 풀어 미래 세계를 예언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던 고(故) 탄허 스님의 예지가 언론에 다시 화제가 된 바 있다...  
58 이율곡 선생의 예언 일화 file 태일[太一] 301
이율곡 선생의 예언 일화 이율곡 선생님의 일화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10만 양병설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율곡 선생은 관직에서 물러나와 세가지 준비를 합니다. 먼저 이순신을 찾아가 두보의 시를 가르쳤습니다. '독을 품은 룡이 숨어있는 곳에 물이 곧 맑...  
57 아리랑의 비의秘意 file 태일[太一] 117
아리랑의 비의秘意    아리랑은 현재 약 50여종 300여수가 확인되고 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각 지방 아리랑의 대표적인 후렴 두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가장 잘 알려져 불려지는 곡은 상기 원아리랑과는 아무런 관계없이 독립된 다음과 같은...  
56 허미수와 동해척주비, 그리고 동해안 해일 file 태일[太一] 163
허미수와 동해척주비, 그리고 동해안 해일 허미수와 동해척주비 강원도 삼척을 가면 강원도 지방유형문화재 제38호인 ‘척주동해비’ (陟州東海碑)가 있습니다. 남인의 영수였던 허미수가 세운 비각입니다. <남인의 영수, 허미수...> <동해척주비...> 미수 허목...  
55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file 태일[太一] 427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궁을가>의 저자 <궁을가>의 저자는 조선시대의 도인 ‘북창 정렴’으로 알려져 있다. <궁을가>가 동학에서 간행될 때 일부 첨삭은 있었을지라도, 북창대사의 본의가 왜곡될 만큼 개작되었다고 보지는 않는다. <궁을가>의 내용...  
54 [예언-신지비사]'구변지도'끝에 이루어지는 '대한' file 태일[太一] 237
[예언-신지비사]'구변지도'끝에 이루어지는 '대한' 9천년 역사를 이어온 우리 한민족의 국운을 예언한 위대한 인물이 있다. 바로 고조선 6대 달문 단군(BC2083-BC2048) 때의 신지神誌 발리發理이다. 그는 대우주의 조화옹하나님이신 삼신상제님을 예찬하고, 한...  
53 남북 통일은 2015년(乙未年) 음력 7-8월에 될 것이다.?... file 태일[太一] 965
주역연구가 무공 강재웅선생 예언 남북 통일은 2015년(乙未年) 음력 7-8월에 될 것이다. 한반도 남북 통일의 시기를 주역의 괘상을 보아 예단하니, 정부의 지도자 및 국민들은 이를 미리 알고, 통일준비에 만전을 기하여 제반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52 동대문 file 태일[太一] 136
옛날 사람들은 서울 동대문을 ‘動大門’이라고도 불렀다. 움직이는 대문이라는 것이다. 땅에 터를 잡은 건축물이 움직인다면 예삿일이 아니다. 예부터 동대문은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한쪽으로 기운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에 대한 야담이 몇 개 전해진다....  
51 석정石井, 이재석정利在石井과 석정곤石井崑 file 태일[太一] 619
석정石井, 이재석정利在石井과 석정곤石井崑 석정石井, 이재석정利在石井과 석정곤이라는 용어가 비결서에 나옵니다. 무슨 뜻일까요? 利在石井天井水 一次飮之延壽 飮之又飮連飮者 不死永生此泉 <석정가石井歌> <석정가>에서 ‘이재석정利在石井’이 나오는데, ...  
50 해인이란? 죽은 사람을 살리는 기적의 도장 '해인' file 태일[太一] 440
해인이란? 죽은 사람을 살리는 기적의 도장 '해인' (동양예언, 서양예언, 해인예언) 동양인이 자기들의 거처로부터 찾아든다. 아페닌 산맥을 넘어 골(프랑스)에 다다라 하늘과 물과 눈을 넘어오리라. 누구나가 그의 지팡이로 맞으리라. [노스트라다무스] 또 보...  
49 김지하 " 대혼돈의 시대.. 대안은 남조선사상에 있다 file 태일[太一] 109
2007년 6월 12일 충남대 인문학강연 김지하 남조선사상의 현대적 의미 인류와 지구의 현실을 한마디로 줄여 말한다면 머라고 할까 ? 대혼돈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온난화 기상이변,생태계 오염,파괴, 변질,멸종 거기에 대한 테러 전쟁 안끝나고 있고 괴질 ...  
48 불현듯 출세한 영암 큰 바위얼굴 2012년 새 지도자 암시 file 태일[太一] 412
▲ 영암 월출산의 큰 바위얼굴 영암 월출산의 큰 바위얼굴 앞에 선 이들은 예외 없이 입을 다물지 못한다. 근엄한 표정의 100미터가 넘는 거대한 암벽 얼굴에 절로 무릎을 꿇고 싶어진다. 세계 어디서도 찾기 힘든 규모다. 명상에 깊이 잠긴 진지한 표정을, 혹...  
47 <송하비결> 북한의 국지적 전쟁 예언 file 태일[太一] 267
<송하비결> 북한의 국지적 전쟁 예언 북한의 대남 위협 발언 올 2012년 들어, 북한의 위협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 4월에는 조선중앙TV에서 "3~4분안에 남한 초토화", 하겠다고 했고, 인민군 최고사령부 명의로는 "혁명무력의 대남 특별행동이 곧 개시될 것"이...  
46 진표율사--새시대를 알리다 file 태일[太一] 318
진표율사--새시대를 알리다 [진표율사] 탄생에서 미륵불 친견까지 진표율사의 일대기는 가을개벽환란과 구원의 소식에 밀접히 관련이 있습니다. 또 정감록에선 진표율사가 이룬 업적과 연관되어지는게 있습니다. 그의 이야기에서 천천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45 [이것이 개벽이다] 책 서문 file 태일[太一] 119
일찍이 동서양의 모든 성자들, 위대한 예언가들은 그들 깨달음의 최종결론으로 머지않아 닥쳐올 대변국을 이야기했다. 미국 NBC-TV는 지난 1994년부터 수년에 걸쳐 〔고대의 예언들〕이라는 특집 프로그램에서, 과거로부터 전승되어 온 대변혁의 소식을 보다 ...  
44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file 태일[太一] 611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궁을가>의 저자 <궁을가>의 저자는 조선시대의 도인 ‘북창 정렴’으로 알려져 있다. <궁을가>가 동학에서 간행될 때 일부 첨삭은 있었을지라도, 북창대사의 본의가 왜곡될 만큼 개작되었다고 보지는 않는다. <궁을가>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