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입력 2020.03.03. 09:22

https://news.v.daum.net/v/20200303092218153



20200303092218878mdpd.jpg

오시리스-렉스 우주선에 탑재된 REXIS 장비가 블랙홀 MAXI J0637-043에서 X-선 폭발을 포착했다. 녹색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X-선 폭발이다. (사진= NASA/고다드/애리조나대학/하버드대학)

                             

NASA는 작년 11월 11일 소행성 베누를 관측하다가 주변 블랙홀에서 폭발 현상을 관찰했다. NASA는 해당 블랙홀 폭발을 보여주는 사진과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자세히 보기)


오시리스-렉스 우주선에 탑재된 REXIS(The Regolith X-ray Imaging Spectrometer) 장비는 소행성 에서 방출되는 X-선의 측정을 위해 MIT와 하버드 대학 학생들과 연구원들이 제작한 것이다. 오시리스-렉스 우주선은 이 장비를 통해 MAXI J0637-430이라는 블랙홀에서 화려한 X-선이 방출되는 것을 포착했다. 블랙홀은 주변 항성들로부터 물질을 끌어 당길 때 이와 같은 X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NASA는 최근 성명을 통해 “베누를 공전하는 동안 REXIS 장비는 지구로부터 수 백만 마일의 동일한 활동을 감지했다며, 이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과 행성 사이의 공간인 행성 간 공간(interplanetary space)에서 최초로 발견 된 폭발이다”고 밝혔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43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45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020-02-05 21255
21 [내셔널 지오그래픽]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태일[太一] 2012-02-27 452
20 별로 수놓은 무지개 포착 "숨막힐 정도의 아름다움" file 태일[太一] 2012-02-25 69
19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file 태일[太一] 2012-02-17 76
18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file 태일[太一] 2012-02-14 815
17 2년 만의 성과, 황홀한 레드 오로라 ‘촬영 성공’ file 태일[太一] 2012-02-11 52
16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file 태일[太一] 2012-02-02 111
15 “런던 400배 ‘괴물급 우주암석’ 지구로 돌진중” 영상 file 태일[太一] 2012-01-28 176
14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file 태일[太一] 2012-01-24 140
13 [동영상]다큐,화성 대탐사-공포의 6분 file 태일[太一] 2012-01-17 209
12 "초신성 폭발의 비밀 풀었다" 발칵 file 태일[太一] 2012-01-15 66
11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file 태일[太一] 2012-01-13 110
10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file 태일[太一] 2012-01-03 121
9 ‘올해 12월21일 지구와 소행성 충돌’…NASA 입장은? file 태일[太一] 2012-01-02 153
8 별 쏟아내는 태초의 밝은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2011-12-28 50
7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011-12-24 204
6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2011-12-24 142
5 "美항공우주국(나사) 화성에 물있다는 증거 발견했다"(로이터) file 태일[太一] 2011-12-11 210
4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011-12-08 142
3 태양보다 100억배나 큰 '초대형 블랙홀' file 태일[太一] 2011-12-08 71
2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file 태일[太一] 2011-12-02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