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태초의 우주를 닮은 '구멍 은하' 발견

빅뱅 이후 우주 형성 과정 재현


[CBS노컷뉴스 감일근 기자]

20141010181756413582_99_20141010181804.jpg

 

NASA의 갈렉스 자외선 탐사위성이 찾은 '스타버스트(starburst)은하' J0921.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이미지는 밀도가 높은 J0921 은하가 복사를 방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진 출처=NASA) NASA(미항공우주국)의 갈렉스(GALEX: 한국, 미국, 프랑스가 합작해 2003년 쏘아 올린 자외선 우주 관측위성) 자외선 관측위성이 태초의 우주를 꼭 빼닮은 은하를 발견했다.

J0921+4509로 명명된 이 은하는 초기 우주와 같은 모습으로 지금도 별이 폭발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은하의 이미지는 고밀도의 J0921가 많은 양의 복사를 방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 은하와 인접한 이 고밀도의 압축은하는 초기 우주를 밝혀주는 데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특징들을 보여주며 초기 우주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우리 은하로부터 약 30억 광년 떨어져 있으며 별이 만들어지고 있는 지역은 밀도가 높은 가스구름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스 내부의 구멍은 빅뱅 직후 초기 우주에서 어둠을 밝힌 사건과 매우 비슷한 형태로 복사를 방출하고 있다.

J0921+4509는 매년 태양의 약 50배 질량에 해당하는 별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는 우리 은하가 매년 생산하는 별의 숫자보다 33배 이상 많은 것이다.

20141010181824535241_99_20141010181804.jpg

 

그래픽은 우주의 진화과정을 나타낸다. 최초의 별과 은하들은 빅뱅 이후 4억년 후에 탄생했다. (사진 출처=NASA) 다른 지역의 별들은 대부분 내부의 복사를 가둬 둔 상태에서, 별의 원료가 된 가스에 둘러싸여 있는 것과 달리 J0921은 복사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있다. 이는 초기 우주와 매우 비슷한 형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존 홉킨스 대학 산차이타 보르사커는 "J0921은하 안에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별의 집적 현상은 폭발 형태의 피드백이 시차를 두고 발생하도록 만든다"고 설명한다.

빅뱅 후 수십만 년 동안 우주에 있는 수소 가스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양성자와 전자가 쌍을 이루어 중성수소화된다. 방사된 모든 복사는 중수소화되면서 빠르게 흡수돼 버리기 때문에 이 기간은 천문학자에게 암흑 상태로 보이고 관측이 불가능하다.

빅뱅 이후 2억~10억년 사이 라이만 연속계(Lyman continuum)로 알려진 복사가 수소를 재이온화시키며 전자를 방출하면서 우주는 다시 우리 눈에 보이게 된다.

재이온화 과정을 포함한 우주의 암흑시대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연구할 수 없다. 대신 천문학자들은 J0921 은하와 같이 오늘날 그것과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는 물체를 찾아 관찰할 수 있다.

별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지는 은하란 의미의 'starburst galaxies'는 우리 은하보다 33배 이상 많은 별이 만들어지는 J0921과 같이 이례적으로 많은 별이 탄생하는 은하를 말한다.

재이온화 시기에 중성 수소에서 전자를 분리하는 복사의 대부분은 별의 탄생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섭씨 -262도까지 떨어지는 차갑고, 밀도 높은 구름 깊숙한 곳에서 별이 만들어진다. 이들 별은 복사를 방출하지만 별 주변의 가스구름에 의해 빠르게 흡수된다.

그러나, J0921 은하 속의 별들은 서로 매우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은하의 지름은 650 광년에 불과하다) 복사와 은하 밖의 별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빠르게 데워지면서 이미 존재하는 작은 구멍들을 더욱 크게 만들어 이온화시키는 복사가 탈출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보르사커가 이끄는 연구진은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이 복사의 탈출 장면을 포착했다. 초기 우주에서 이처럼 탈출한 복사는 입자에 에너지를 공급해 암흑 우주로 만든 중성수소를 파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우주에서 복사가 빠져나가게 하는 은하의 수는 많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복사를 방출하는 이들 소수의 은하의 빛이 먼 곳으로부터 지구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차를 이용해 우주의 젊은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멀리 떨어진 우주의 어떤 물체를 보는 것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과 같다. 천문학자들이 보고 있는 빛은 그 빛이 어떤 물체로부터 처음 출발할 때의 모습을 담고 있다.

초기 우주의 은하들은 우리 은하로부터 거의 130억 광년 떨어져 있어 관찰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J0921는 단지 30억 광년 떨어져 있다. 이는 복사가 어떻게 탈출하는지에 대한 세부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

이 은하 근처의 다른 두 은하도 복사를 방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은하가 방출하는 복사는 J0921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별을 폭발적으로 만드는 스타버스트 은하들(starburst galaxies)이 복사를 흘려보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지만 보르사커는 다른 고밀도의 스타버스트 은하에서도 구멍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 같다고 설명한다.

이는 바람을 통한 은하의 피드백이 어떻게 라이만 연속계(복사의 일종)가 탈출할 수 있는 상태로 이끌었는지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라고 보르사커는 말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이번주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stephano@cb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38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1 2009-03-14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1250 2020-02-05
81 우리 은하계 별의 80프로가 Binary star(쌍성계 雙星系) file 태일[太一] 393 2011-11-23
Binary star의 사전적 정의 : 공통의 중력 중심 주위를 궤도 운동하는 별들의 쌍. 우리 은하에 있는 별들 가운데 상당수(절반 정도)가 쌍성이거나 더 복잡한 다중성계(多重星系)의 일원이다. 어떤 쌍성은 변광성의 중요한 부류를 이룬다(→ 식변광성 ). 만일 쌍...  
80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file 태일[太一] 117 2011-12-02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EXTENSIBLE_WRAP {position:relative;z-index:4000;height:250px;} #EXTENSIBLE_BANNER_WRAP {} #EXTENSIBLE_BANNER {position:relative;width:250px;height:0px;z-index:4000;overflow:hidden;} #EXTENSIBLE_BANN...  
79 태양보다 100억배나 큰 '초대형 블랙홀' file 태일[太一] 71 2011-12-08
태양보다 100억배나 큰 '초대형 블랙홀' | 기사입력 2011-12-06 15:57 【케이프커내버럴(미 플로리다주)=AP/뉴시스】'네이처'(Nature)가 제미니 천문대가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공개한 태양의 약 100억 배에 달하는 거대 블랙혹의 모습. 제미나 천문대의 지...  
78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file 태일[太一] 142 2011-12-08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2면| 기사입력 2011-12-06 11:36 | 최종수정 2011-12-06 11:42 지구와 비슷한 크기에 얼지 않은 상태의 바다와 토양이 존재하고, 평균 22도의 기온을 유지해 인간이 살기 적절한 ‘슈퍼지구’의 존재가 공식 확인됐...  
77 "美항공우주국(나사) 화성에 물있다는 증거 발견했다"(로이터) file 태일[太一] 210 2011-12-11
"美항공우주국(나사) 화성에 물있다는 증거 발견했다"(로이터) | 기사입력 2011-12-09 13:15 | 최종수정 2011-12-09 13:25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미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이 화성에서 물이 있었다는 흔적을 발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현지시간)...  
76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142 2011-12-24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서울신문| 입력 2011.12.24 10:56 수정 2011.12.24 18:16 [서울신문 나우뉴스]영국에서 초대형 'UFO 구름'이 포착돼 관심을 끌고 있다. 2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22일 영국 웨스트요크셔 파슬리 하늘...  
75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04 2011-12-24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 기사입력 2011-12-23 09:18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지구 풍경'은 어떤 모습일까? 우주 공간에서 촬영된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등에 위치한 각 나라의 풍경이 화제다. 약 3분 50초 분량의 이 영상은 최근 해외 인터넷을...  
74 별 쏟아내는 태초의 밝은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50 2011-12-28
별 쏟아내는 태초의 밝은 은하 발견 | 기사입력 2011-12-27 09:55 (서울=연합뉴스) 우주의 가장 먼 영역에서 무서운 속도로 별을 만들어내는 밝은 은하가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27일 보도했다. 일본과 미국 과학자들은 하와이 마우나케...  
73 ‘올해 12월21일 지구와 소행성 충돌’…NASA 입장은? file 태일[太一] 153 2012-01-02
‘올해 12월21일 지구와 소행성 충돌’…NASA 입장은? | 기사입력 2012-01-02 14:48 미 연방항공우주국(NASA) 소속 과학자들이 최근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2012년 12월 21일 멸망설’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NASA 천체물리학자들은 “올해 동지는 밤이 예년에 비...  
72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file 태일[太一] 121 2012-01-03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 기사입력 2012-01-02 09:18 | 최종수정 2012-01-02 10:03 우주 공간에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할 천체들이 수없이 많다. 위의 그림은 최근 NASA가 ‘오늘의 사진’으로 선정 소개한 것으로 은하 NGC 4151의 중심부를 담...  
71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file 태일[太一] 110 2012-01-13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중력이 시공간을 휘게 한다 - 무인위성에 球形 회전체 실어 보내… 지구 중력에 따른 회전축 이동 확인 우주엔 '밀어내는 힘' 척력 있다 - 우주의 74% 차지하는 '암흑 에너지' 은하·초신성이 밝혀낸 우주팽창 근거 "아인슈...  
70 "초신성 폭발의 비밀 풀었다" 발칵 file 태일[太一] 66 2012-01-15
"초신성 폭발의 비밀 풀었다" 발칵 | 기사입력 2012-01-12 18:12 | 최종수정 2012-01-13 00:12 허블망원경이 초신성 형성의 비밀을 풀었다. 미국의 과학자들이 허블우주천문대의 관측데이터를 통해 우주에서 가장 밝게 빛나며 폭발하는 별인 초신성(Super Nov...  
69 [동영상]다큐,화성 대탐사-공포의 6분 file 태일[太一] 209 2012-01-17
 
68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file 태일[太一] 140 2012-01-24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소행성이나 혜성 등 근거리천체(NEO)들이 지구에 얼마나 위협이 되는지 평가하고 충돌 사태에 대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국제 프로젝트 네오실드(NEOShield)가 첫 회의를 가졌다고 BBC 뉴스가 20일 보도했다. 독일 ...  
67 “런던 400배 ‘괴물급 우주암석’ 지구로 돌진중” 영상 file 태일[太一] 176 2012-01-28
출처 http://cafe.daum.net/kpopGalaxy 우주에서 우리 은하계를 떠도는 거대한 암석이 지구를 향해 돌진 중이며 이르면 다음 주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지나갈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독일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소행성이나 암석 등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기 ...  
66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file 태일[太一] 111 2012-02-02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 기사입력 2012-02-01 18:56 [한겨레] 태양계(가운데 밝고 작은 흰 점과 주변 행성들)가 발산하는 태양풍이 태양계 외부 우주의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자기장 경계(밝고 푸른색 큰 원)를 형성하는 모습의 개...  
65 2년 만의 성과, 황홀한 레드 오로라 ‘촬영 성공’ file 태일[太一] 52 2012-02-11
2년 만의 성과, 황홀한 레드 오로라 ‘촬영 성공’ | 기사입력 2012-02-10 09:27 순수한 열정과 노력으로 붉은 남극광 오로라의 환상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하는데 성공하여 화제가 된 남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아마추어 천문가 알렉스 쳐니(37세)가 남...  
64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file 태일[太一] 815 2012-02-14
지금으로부터 37년전인.... 1972년 3월 3일 파이어니어(Pioneer) 10호가 발사되었습니다. 특정 행성을 탐사하는 것이아닌... 깊은 우주를 탐사하기 위해. 언젠가 파이어니어10호와 마주칠 외계문명에게 보여줄 태양계의 모습과 인간의 모습을 새긴 금속판을 ...  
63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file 태일[太一] 76 2012-02-17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 기사입력 2012-02-16 10:49 | 최종수정 2012-02-16 11:05 블랙홀(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작은 은하가 큰 은하의 중력에 의해 갈가리 찢겨 없어져도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던 블랙홀은 여전히 남아 활동을 계속하는 것...  
62 별로 수놓은 무지개 포착 "숨막힐 정도의 아름다움" file 태일[太一] 69 2012-02-25
별로 수놓은 무지개 포착 "숨막힐 정도의 아름다움" | 기사입력 2012-02-23 15:36 수많은 별로 어두운 밤하늘을 수놓은 무지개가 포착돼 감동을 주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아마추어 사진작가 마우리치오 피뇨띠(44)가 이탈리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