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이웃 태양계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

우리 태양계 뒷마당에서 3개의 인간이 거주할 만한 행성을 발견했다."

유럽남부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 ESO)가 25일(현지시간) 글리즈667C태양계(Gliese 667 star system)인근에서 3개의 '인간이 거주할 만한'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지구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슈퍼지구'로 불린다.

지구에서 22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행성에는 액체로 된 물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op1.jpg

▲ 슈퍼지구가 발견된 글리즈667C. 지난 2009년 첫 발견 당시 1개의 행성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ESO는 3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 사진=ESO >

 

op2.jpg

▲ 글리즈667 행성에서 발견된 행성에서의 일몰 렌더링. < 사진=ESO >

 

 

op3.jpg

▲ 슈퍼지구 글리즈 667C 렌더링. < 사진=ESO >

 

 

 

op4.jpg

▲케플러위성 망원경이 슈퍼지구를 발견하는 방식은 이른바 트랜짓 방식이다. < 사진=나사/씨넷 >

ESO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우주학자들이 글리즈667C로 알려진 별 근처에서 6개의 행성 그룹을 찾아냈으며 이 가운데 최소한 3개가 인간이 살 만한 슈퍼지구라고 발표했다.

지구에서 22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전갈좌에 위치한 글리즈667C는 우리 태양계 태양의 3분의 1 크기를 가지고 있는 별로서 글리즈667C로 알려진 3개 별로 구성돼 있다.

이전 연구에서도 학자들은 3개의 별을 발견했지만 그중 하나의 별만이 인간이 거주할 만한 행성인 것으로 간주해 왔다. 하지만 이들 과학자는 칠레에 있는 ESO의 초거대 마젤란망원경 데이터와 3.6미터짜리 초거대망원경에 추가된 고해상도행성조사기기(HARPS),고정밀 에셸(회절격자의 일종)분광기를 추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하와이에 있는 W.M.켓천문대(W.M.Keck Observatory)등도 초기에 발견된 행성의 숫자가 지나치게 적다고 주장해 왔다.

일반적으로 별(항성·태양) 주위를 지나는 행성을 발견하는 방식은 별의 밝은 부분 일부가 어두워지는 것을 지켜보고 이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행성이 별의 앞부분을 지나가게 되면 자연히 별(항성)의 밝은 부분이 점으로 흐려져 별이 발산하는 빛의 일부분을 가리게 된다. 케플러망원경은 이를 이용해 멀리 떨어진 별들의 행성을 발견해 왔다. 별의 궤도 주기가 발견되면 케플러의 제3 법칙에 따라 별에서 행성까지의 평균거리가 발견된다.

 

자료출처: 지디넷코리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43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44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020-02-05 21254
21 [내셔널 지오그래픽]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태일[太一] 2012-02-27 452
20 별로 수놓은 무지개 포착 "숨막힐 정도의 아름다움" file 태일[太一] 2012-02-25 69
19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file 태일[太一] 2012-02-17 76
18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file 태일[太一] 2012-02-14 815
17 2년 만의 성과, 황홀한 레드 오로라 ‘촬영 성공’ file 태일[太一] 2012-02-11 52
16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file 태일[太一] 2012-02-02 111
15 “런던 400배 ‘괴물급 우주암석’ 지구로 돌진중” 영상 file 태일[太一] 2012-01-28 176
14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file 태일[太一] 2012-01-24 140
13 [동영상]다큐,화성 대탐사-공포의 6분 file 태일[太一] 2012-01-17 209
12 "초신성 폭발의 비밀 풀었다" 발칵 file 태일[太一] 2012-01-15 66
11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file 태일[太一] 2012-01-13 110
10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file 태일[太一] 2012-01-03 121
9 ‘올해 12월21일 지구와 소행성 충돌’…NASA 입장은? file 태일[太一] 2012-01-02 153
8 별 쏟아내는 태초의 밝은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2011-12-28 50
7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011-12-24 204
6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2011-12-24 142
5 "美항공우주국(나사) 화성에 물있다는 증거 발견했다"(로이터) file 태일[太一] 2011-12-11 210
4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011-12-08 142
3 태양보다 100억배나 큰 '초대형 블랙홀' file 태일[太一] 2011-12-08 71
2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file 태일[太一] 2011-12-02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