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3곳 발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021443

 

NASA가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행성 3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씨넷 등 외신에 따르면, NASA는 같은날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연 케플러브리핑에서 우주망원경을 통해 은하수 건너편을 관찰한 결과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행성 3곳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3개의 행성은 각자 두곳의 개별 태양계에 존재한다. 이 행성은 태양과 거리가 지구와 비슷하고 물과 바위가 존재하는 지구같은 환경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됐다.

▲ NASA는 은하수 건너편에 생명체 존재가능성이 높은 행성 3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가장 유력한 후보는 케플러-62f 행성이다. 지구보다 40% 크며 바위 지형일 것으로 추측됐다. 행성은 크기가 작을수록 바위 같은 밀도가 높은 지형이고, 가스 배출량이 적다는 게 학계 통설이다.

세개의 행성은 지구에서 1천200~2천700광년은 떨어져 있다.

NASA 연구진들은 "3개의 행성에 반드시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보장은 없다"며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찾기 위한 한단계의 진보"라고 설명했다.

▲ NASA가 가장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행성으로 점찍은 `케플러-62f` 행성

조회 수 :
228
등록일 :
2013.04.20
00:21:0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8/132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43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45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020-02-05 21254
21 [내셔널 지오그래픽]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태일[太一] 2012-02-27 452
20 별로 수놓은 무지개 포착 "숨막힐 정도의 아름다움" file 태일[太一] 2012-02-25 69
19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file 태일[太一] 2012-02-17 76
18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file 태일[太一] 2012-02-14 815
17 2년 만의 성과, 황홀한 레드 오로라 ‘촬영 성공’ file 태일[太一] 2012-02-11 52
16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file 태일[太一] 2012-02-02 111
15 “런던 400배 ‘괴물급 우주암석’ 지구로 돌진중” 영상 file 태일[太一] 2012-01-28 176
14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file 태일[太一] 2012-01-24 140
13 [동영상]다큐,화성 대탐사-공포의 6분 file 태일[太一] 2012-01-17 209
12 "초신성 폭발의 비밀 풀었다" 발칵 file 태일[太一] 2012-01-15 66
11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file 태일[太一] 2012-01-13 110
10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file 태일[太一] 2012-01-03 121
9 ‘올해 12월21일 지구와 소행성 충돌’…NASA 입장은? file 태일[太一] 2012-01-02 153
8 별 쏟아내는 태초의 밝은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2011-12-28 50
7 우주정거장에서 본 지구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011-12-24 204
6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2011-12-24 142
5 "美항공우주국(나사) 화성에 물있다는 증거 발견했다"(로이터) file 태일[太一] 2011-12-11 210
4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011-12-08 142
3 태양보다 100억배나 큰 '초대형 블랙홀' file 태일[太一] 2011-12-08 71
2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file 태일[太一] 2011-12-02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