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노벨물리학상 과학자 “우주, 완전히 사라질것”

 

[서울신문 나우뉴스]2011년도 노벨물리학상 공동수상자인 브라이언 슈미트 박사가 미래에는 우주가 결국 사라져 버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브라이언 슈미트 호주국립대학교수는 지난 2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8차 국제천문학연합회(IAU)총회 연설에서 "앞으로 1000억 년 뒤 우주의 모든 별과 은하계, 우주 물질은 사라져 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op.jpg

 

중국 신화통신의 23일자 보도에 따르면, 암흑에너지를 연구해 온 슈미트 교수는 암흑에너지가 갑자기 사라지지 않는 이상 우주는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팽창할 것이며, 결국 소멸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암흑 에너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아직 알지 못하지만 우주 구성의 일부분이라고 추정한다."면서 "암흑 에너지는 더 많은 우주 공간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우주공간은 더 많은 암흑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렇게 반복하면 우주는 결국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구가 속한 우리 은하계는 다른 은하계와 합쳐질 것이며, 기타 여러 은하계들이 모두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이 더 이상 연구할 것이 없어 실직하게 될 것"이라는 농담섞인 발언을 던졌다.

또 "암흑에너지는 매우 매력적이지만 지금은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단지 현재로서는 우주의 생성 과정을 추정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슈미트 교수는 1990년대부터 초신성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우주의 팽창과 팽창속도 변화에 대한 가설을 세운 뒤, 1998년 우주의 팽창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후 우주를 팽창시키는 에너지를 '암흑 에너지'라 명명했으며, 우주 구성물질의 73%가 이와 같은 암흑에너지라고 주장해 왔다.

슈미트 교수는 암흑에너지 연구 공로로 지난 해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그룹(SCP)의 사울 펄뮤터, 애덤 G리스 등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20824145626889

조회 수 :
73
등록일 :
2012.08.24
21:38:1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8/131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38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1 2009-03-14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1250 2020-02-05
41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142 2011-12-24
혹시 UFO?…英상공서 희귀 ‘렌즈구름’ 포착 서울신문| 입력 2011.12.24 10:56 수정 2011.12.24 18:16 [서울신문 나우뉴스]영국에서 초대형 'UFO 구름'이 포착돼 관심을 끌고 있다. 2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22일 영국 웨스트요크셔 파슬리 하늘...  
40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file 태일[太一] 142 2011-12-08
나사, 인간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찾았다 2면| 기사입력 2011-12-06 11:36 | 최종수정 2011-12-06 11:42 지구와 비슷한 크기에 얼지 않은 상태의 바다와 토양이 존재하고, 평균 22도의 기온을 유지해 인간이 살기 적절한 ‘슈퍼지구’의 존재가 공식 확인됐...  
39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file 태일[太一] 140 2012-01-24
과학자들 "행성 지구충돌은 현실" 충격경고 소행성이나 혜성 등 근거리천체(NEO)들이 지구에 얼마나 위협이 되는지 평가하고 충돌 사태에 대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국제 프로젝트 네오실드(NEOShield)가 첫 회의를 가졌다고 BBC 뉴스가 20일 보도했다. 독일 ...  
38 우주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133억 년 전 은하 찾았다 file 태일[太一] 138 2012-11-17
우주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133억 년 전 은하 찾았다 | 기사입력 2012-11-16 11:34 MACS0647-JD로 명명…20일 천체물리학지 게재 예정 [CBS 감일근 기자] 천문학자들이 NASA(미항공우주국)의 허블우주망원경과 스피츠우주망원경, 우주의 자연 현상에 의한 줌렌...  
37 별중의 별 ...우주관측 사상 최고 사진들 file 태일[太一] 135 2012-05-28
"이것이 우주관측 중 촬영된 사상 최고의 별.” 씨넷은 25일(현지시간) 미항공우주국(NASA 나사)부속 제트추진연구소와 디자인대학아트센터가 우주여행중 촬영해 전시하고 있는 최고의 별들, 즉 별중의 별을 소개했다. 보는 사람들의 눈을 황홀하게 하는 우주의...  
36 톈진에 2개의 태양 등장, 지구 종말의 날? file 태일[太一] 133 2012-12-26
톈진에 2개의 태양 등장, 지구 종말의 날? | 기사입력 2012-12-24 07:5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322&oid=008&aid=0002969239 [머니투데이 베이징=홍찬선 특파원] 중국의 톈진시에서 23일 ...  
35 "'신의 입자' 힉스 발견 확실시"...우주 비밀 풀릴까 file 태일[太一] 129 2013-03-16
"'신의 입자' 힉스 발견 확실시"...우주 비밀 풀릴까 | 기사입력 2013-03-15 04:3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52&aid=0000448822 [앵커멘트] 유럽입자물리연구소가 '신의 입자'라고 불리는 힉스 입...  
34 우주의 희귀 현상 ‘빛 메아리’ file 태일[太一] 128 2013-03-21
우주의 희귀 현상 ‘빛 메아리’ | 기사입력 2013-03-19 18:36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5&cid=304904&iid=22172295&oid=081&aid=0002326297&ptype=011 빛 메아리 현상 [서울신문 나우뉴스]‘빛 메...  
33 "NASA, 달근처에 우주탐사 전초기지" file 태일[太一] 121 2012-11-10
"NASA, 달근처에 우주탐사 전초기지" | 기사입력 2012-11-10 01:51 | 최종수정 2012-11-10 17:21 美항공우주국(NASA·나사)이 달 부근에 심우주 탐사를 위한 전초기지 성격의 유인 우주기지를 만들 계획을 발표한다. 스페이스닷컴은 8일(현지시간) 화성에 큐리...  
32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file 태일[太一] 121 2012-01-03
우주 공간 신의 눈 vs 사탄의 눈 ‘화제’ | 기사입력 2012-01-02 09:18 | 최종수정 2012-01-02 10:03 우주 공간에는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할 천체들이 수없이 많다. 위의 그림은 최근 NASA가 ‘오늘의 사진’으로 선정 소개한 것으로 은하 NGC 4151의 중심부를 담...  
31 우리 우주의 구원자, 암흑 에너지 file 태일[太一] 117 2013-03-04
밤하늘은 항상 매혹적입니다. 그래서인지 우리의 전래 동화부터 그리스 신화, 인디언 신화 등 전 세계 곳곳에서 밤하늘의 별자리를 둘러싼 온갖 얘기들이 전해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밤하늘의 비밀이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답니다. 급기야 상당수 과학자...  
30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file 태일[太一] 117 2011-12-02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EXTENSIBLE_WRAP {position:relative;z-index:4000;height:250px;} #EXTENSIBLE_BANNER_WRAP {} #EXTENSIBLE_BANNER {position:relative;width:250px;height:0px;z-index:4000;overflow:hidden;} #EXTENSIBLE_BANN...  
29 “뉴욕 종말의 구름” 포착 file 태일[太一] 116 2012-08-03
“뉴욕 종말의 구름” 포착 | 기사입력 2012-08-02 08:51 최근 뉴욕에서 촬영된 구름은 말그대로 공포감을 일으킨다. 현지 일자 7월 26일 밤 8시에 뉴욕 스카이라인은 영화에나 나올 것 같은 모습이다. 배트맨의 고담시가 연상되고 자연재앙 영화를 상상하게 만...  
28 시간당 4800만㎞ ‘초스피드 행성’ 최초 발견 file 태일[太一] 112 2012-04-09
시간당 4800만㎞ ‘초스피드 행성’ 최초 발견 | 기사입력 2012-04-09 15:40 | 최종수정 2012-04-09 17:18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5&cid=321641&iid=29871611&oid=081&aid=0002271004&ptype=011...  
27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file 태일[太一] 111 2012-02-02
태양계 바깥 ‘외계입자’ 포착…우주 기원 실마리 | 기사입력 2012-02-01 18:56 [한겨레] 태양계(가운데 밝고 작은 흰 점과 주변 행성들)가 발산하는 태양풍이 태양계 외부 우주의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자기장 경계(밝고 푸른색 큰 원)를 형성하는 모습의 개...  
26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file 태일[太一] 110 2012-01-13
1세기 전 아인슈타인 가설, 다 맞았다 중력이 시공간을 휘게 한다 - 무인위성에 球形 회전체 실어 보내… 지구 중력에 따른 회전축 이동 확인 우주엔 '밀어내는 힘' 척력 있다 - 우주의 74% 차지하는 '암흑 에너지' 은하·초신성이 밝혀낸 우주팽창 근거 "아인슈...  
25 우주에서 일어나는 신기하고 놀라운 5가지 현상 file 태일[太一] 109 2012-08-21
 
24 두 바다가 만나는 곳 '신기해' file 태일[太一] 103 2013-01-28
두 바다가 만나는 곳 '신기해' | 기사입력 2013-01-25 07:27 “두 바다가 만나는 곳”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오른쪽과 왼쪽의 바다 색깔은 확연히 다르다. 한쪽은 짙은 파란색이고 다른 쪽은 에메랄드빛이다. 두 바다의 경계 혹은 두 바다가 만나는 곳...  
23 [NGC] 우주의 미스터리 - 태양계의 탄생 file 태일[太一] 101 2013-02-23
*** [NGC] 우주의 미스터리 - 태양계의 탄생  
22 은하수 충돌? 알고보니… file 태일[太一] 98 2012-06-16
은하수 충돌? 알고보니… | 기사입력 2012-06-15 10:12 (출처 : 나사)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미항공우주국(NASA, 나사)는 14일(현지시각) 두 은하가 겹친 모양의 NGC3314 은하를 홈페이지 '오늘의 사진'코너 에 공개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