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은하 종말 후에도 블랙홀은 남는다


블랙홀(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작은 은하가 큰 은하의 중력에 의해 갈가리 찢겨 없어져도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던 블랙홀은 여전히 남아 활동을 계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MSNBC 뉴스가 15일 최신 연구를 인용 보도했다.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이 다양한 파장의 망원경으로 관찰해 천체물리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이 블랙홀 연구는 초대질량 블랙홀과 은하들의 형성과 진화에 관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연구진은 지난 2009년 유럽우주국(ESA)의 XMM-뉴턴 X-선 망원경을 통해 특이한 블랙홀을 발견했다. HLX-1으로 명명된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약 2억9천만 광년 떨어진 은하 ESO 243-49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다.

이 블랙홀의 질량은 우리 태양의 약 2만배로 지금까지 학자들이 가까운 은하에서는 본 적이 없는 중간급 규모이다.

연구진은 이 블랙홀을 미항공우주국(NASA)의 스위프트 X-선 망원경과 허블 망원경의 근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파장에서 동시에 관찰한 결과 푸른 별들이 250광년 거리에 걸쳐 이 블랙홀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 별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와 색깔은 다른 은하들에서 볼 수 있는 어린 성단의 것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처럼 어린 성단은 이웃 은하에는 흔하지만 HLX-1처럼 납작해진 원반의 바깥에서는 볼 수 없던 것이라면서 이는 중간급 질량 블랙홀이 과거에 존재했던 왜은하의 중심부에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왜은하에 있던 별들은 대부분 질량이 훨씬 큰 은하에 이끌려 갔지만 그 과정에서 블랙홀 주위의 가스가 압축되면서 새로운 별들이 태어났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성단의 나이가 2억살 미만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는 별들의 대부분이 은하간 충돌 이후에 형성됐음을 말해준다고 밝혔다.

이들은 블랙홀 HLX-1의 운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확실치 않지만 어쩌면 은하 ESO 243-49의 중심부로 소용돌이쳐 들어가 이미 그 곳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과 합쳐지거나 은하 주위에 안정된 궤도를 잡고 그 곳에 머무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어느 경우든 이 블랙홀을 발견하게 만든 X-선 방출은 가스가 소진되면서 점점 줄어들어 X-선 파장에서는 보이지 않게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전망했다.

연구진은 이 블랙홀이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중간급 질량의 것이라면서 이런 희귀성은 이런 중간급 블랙홀이 짧은 시간 동안만 보인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youngnim@yna.co.kr
조회 수 :
76
등록일 :
2012.02.17
07:31:1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8/1315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38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41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020-02-05 21250
80 태양과 가장 가까운 '수성에 물 존재 확인' file 태일[太一] 2012-12-02 11379
79 주탄생 비밀의 열쇠 '별의 신생아실' file 태일[太一] 2013-03-31 1617
78 태양계에 지구보다 큰 9번째 행성 있다 file 태일[太一] 2016-02-02 1094
77 이웃 태양계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 file 태일[太一] 2013-07-09 901
76 은하수 초고화질 사진, '8400만개의 별이 사진 한 장에' file 태일[太一] 2012-10-27 847
75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file 태일[太一] 2012-02-14 815
74 언젠가 우리 은하와 만날 ‘두 은하’ file 태일[太一] 2015-09-29 707
73 우주 탄생 이전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file 태일[太一] 2015-01-02 655
72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 file 태일[太一] 2020-01-31 540
71 신비롭고 아름다운 우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file 태일[太一] 2013-02-04 495
70 태초의 우주를 닮은 '구멍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2014-10-11 461
69 [내셔널 지오그래픽] 우주의 끝을 찾아서 file 태일[太一] 2012-02-27 452
68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 file 태일[太一] 2020-02-06 396
67 우리 은하계 별의 80프로가 Binary star(쌍성계 雙星系) file 태일[太一] 2011-11-23 393
66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우주의 신비 태일[太一] 2013-03-19 333
65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file 태일[太一] 2020-03-04 314
64 7100만km/h로 이동하며 '에너지 토해내는' 블랙홀 최초 발견 file 태일[太一] 2013-11-23 282
63 우주 생성 비밀 담은 초신성 폭발 장면 ‘포착’ file 태일[太一] 2014-01-07 276
62 가장 오래된 초대형 블랙홀이 발견됐다 file 태일[太一] 2021-01-14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