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별의 죽음' 새로운 사례 찾아냈다

< 별의 죽음:감마선 폭발 >
한국 등 10개국 연구진 "두 개의 별이 합쳐져 블랙홀로

  바뀌는 과정에서 폭발" 천문학 교과서 바뀔 수도

냉전이 한창이던 1969년, 미국은 핵 실험 감시 위성 '벨라'를 쏘아 올렸다.

러시아가 비밀리에 핵 실험을 할 경우 여기서 나오는 감마선을 잡아내기 위해서였다.

 

 

q7.jpg

'GRB 101225A'의 모습

 

 

q6.jpg

 감마선 폭발 'GRB 101225A'의 상상도. 중성자별과 헬륨별의 핵(가운데)

이 섞일 때 나온 에너지가 겉에 있던 헬륨가스와 만나 빛을 내고 있다.

미항공우주국,(NASA)제공

 

위성은 2년 뒤 임무를 마쳤는데, 73년 위성 관측 자료를 분석하는 도중

그 전에는 알지 못했던새로운 천체현상이 밝혀졌다. 빅뱅이후 가장 격렬한 폭발'

 '우주의 모든 별빛을 모은 것과 비슷한 밝기'라는 수식어가 붙는 감마선 폭발(GRB)이었다.

감마선 폭발은 별이 죽는 순간 내는 '마지막 비명'이다.

이 때 태양보다 수억 배 밝은 빛이 한 순간 쏟아진다.

폭발의 지속 시간에 따라 둘로 나뉘는데, 폭발이 2초 이상 되면 긴 감마선 폭발이라고 한다.

 주로 무거운 별이 폭발할 때 일어난다. 폭발 지속 시간이 2초 미만인 짧은 감마선 폭발은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할 때 나타난다.

그런데 이제껏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감마선 폭발이 새로 발견됐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박수종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가 이끄는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연구원 6명을 포함한 10개국 34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새로운 감마선 폭발을 관측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현상은 (NASA)의 스위프트 위성이 발견한 감마선 폭발(GRB 101225A)에서 나타났다.

감마선 폭발은 발견한 날짜로 이름 붙이는데, '101225A'라는 것은 2010년 12월 25일에 관측된 것 중

 가장 밝은 감마선 폭발이란 얘기다.

크리스마스 휴일인 25일 NASA를 통해 스위프트 위성이 감마선 폭발을 관측했단

연락을 받은 임명신, 박수종 교수는 당시 미국 텍사스주 맥도널드 천문대에 있던

초기우주천체연구단 연구원 4명에게 연락을 취했다. 크리스마스 파티도 물리치고

천문대에 오른 이들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퀸카메라'를 이용, GRB 101225A을 관측했다.

지구에서 43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이 폭발은 무려 30분 이상 지속됐다.

길어야 수백 초에 그쳤던 이전까지의 감마선 폭발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박 교수는 "GRB 101225A은 크리스마스에 천문학자인 저희가 받은 가장 큰 선물"이라며

 "이 폭발의 첫날을 유일하게 관측한 우리 자료가

새로운 우주폭발현상을 밝히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두 개의 별이 합쳐져 블랙홀로 변하는 과정에서 폭발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하다가 내부 연료인 수소를 모두 다 써버려 헬륨 가스만 남은

 '헬륨별'이 중성자로 이뤄진 '중성자별'과 결합하면서 감마선 폭발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런 해석은 GRB 101225A의 폭발 지속시간이 유독 긴 이유를 말해준다.

이전까지 발견된 감마선 폭발은 한 개의 별이 죽을 때 나타났기 때문에

폭발 지속시간이 짧았지만 이번엔 두 별이 합쳐지며 일어난 현상이라

 폭발 지속시간이 훨씬 길었다는 얘기다.

연구진의 설명이 받아들여지면 앞으로 천문학 교과서도 바뀌게 된다.

지금까지 별의 죽음은 세 가지 방향으로 이뤄진다고 알려졌다.

별이 나이가 들면 적색거성을 거쳐 백색왜성이 되거나, 외부요인으로 인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된다. 그런데 연구진의 설명처럼 중성자별이 다른 별과 섞여

 블랙홀이 된다면 새로운 죽음의 경로가 추가되는 셈이다.

박 교수는 "90년대 이미 이론적으론 가능할 거라고 여겼던 현상"이라며

 "다른 우주 폭발 현상도 있을 수 있단 얘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가 소개된 과학학술지 < 네이처 > 1일자엔

GRB 101225A을 전혀 다르게 설명한 스페인 연구진의 논문도 실렸다.

 이들은 중성자별에 다가간 혜성이 중성자별의 강력한 중력에 의해

산산조각 나면서 감마선 폭발이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진위를 가리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q5.jpg  

 임명신 교수(左), 박수종 교수(右)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임명신(44) 교수와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박수종(44) 교수

 연구팀을 포함한 미국·스페인 등 10개국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25일 발견한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관측 자료를 분석한 이런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 논문은 영국의 학술지 네이처 1일자에 실렸다.

 감마선 폭발은 별이 엄청난 양의 감마선 빛을 내며 폭발하는 현상인데

 보통 별이 죽을 때 일어난다. 지금까지 여러 번 관찰됐으며,

지속 시간은 몇 초~몇 분에 불과했다. 감마선은 X선이나

적외선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의 일종이다.

 지구로부터 약 43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이번 ‘감마선 폭발’이 일어난 것은

지난해 크리스마스 날. 맨 처음 그 폭발을 잡은 것은 미국의 스위프트 위성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GRB 101225A’라고 이름을 붙였다.

폭발 직후 세계 천문학자들은 지상 망원경으로 폭발 현장에서

쏟아져 내려오는 X선·적외선 등을 포착해 분석에 들어갔다.

 

한국 연구팀은 자체 개발해 미 텍사스주 맥도널드 천문대에 설치한

 우주 관측용 카메라 ‘시퀸(CQUEAN)’으로 관측했다.

 

q4.jpg



This animation illustrates two wildly different explanations for GRB 101225A, better known as the "Christmas burst." First, a solitary neutron star in our own galaxy shreds and accretes an approaching comet-like body. In the second, a neutron star is engulfed by, spirals into and merges with an evolved giant star in a distant galaxy. (Credit: NASA/Goddard Space Flight Center)

뉴스보도 내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26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24 2009-03-14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1248 2020-02-05
20 주탄생 비밀의 열쇠 '별의 신생아실' file 태일[太一] 1617 2013-03-31
주탄생 비밀의 열쇠 '별의 신생아실' | 기사입력 2013-03-30 13: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2&aid=0002020028 유럽우주국(ESA)이 6천200광년 떨어진 별의 신생아실에서 벌어지는 아기별의 탄생 ...  
19 우주 구성하는 ‘암흑물질’ 단서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25 2013-04-06
우주 구성하는 ‘암흑물질’ 단서 찾았다 8면| 기사입력 2013-04-04 22:36 ㆍ미 물리학자 팅 연구팀, 2조원 들여 분광계 설치 ㆍ18년 만에 첫 단서 확인▲ 암흑물질 미지의 존재인 암흑에너지와 함께 우주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직접 탐지되...  
18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3곳 발견 file 태일[太一] 227 2013-04-20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3곳 발견 | 기사입력 2013-04-19 11: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021443 NASA가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행성 3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18일(현지시간)...  
17 이웃 태양계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 file 태일[太一] 901 2013-07-09
이웃 태양계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 우리 태양계 뒷마당에서 3개의 인간이 거주할 만한 행성을 발견했다." 유럽남부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 ESO)가 25일(현지시간) 글리즈667C태양계(Gliese 667 star system)인근에서 3개의 '인간이 거주할 ...  
16 아름다운 별의 '최후'…"50억년 후 태양도 이렇게…" file 태일[太一] 183 2013-07-16
아름다운 별의 '최후'…"50억년 후 태양도 이렇게…" | 기사입력 2013-07-15 11:2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28&oid=079&aid=0002491099 나사, 행성상 성운인 '에스키모 성운' 모습 공개 [CBS...  
15 [BGM]아직 밝혀지지 않은 우주 file 태일[太一] 225 2013-07-24
1. 블랙홀 안에서는 시간도 멈춘다고 한다. 과연 블랙홀 안에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2. 정체불명의 우주구멍 은하도 가스도 어떠한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크기 : 9해 4608경 2000조km 3. 현재 태양계에서 생물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행성, 유로파 ...  
14 5분만에 보는 지구와 달의 탄생영상 file 태일[太一] 181 2013-08-17
 
13 별 탄생 순간 포착, ‘지구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서의 신비로운 모습’ file 태일[太一] 143 2013-08-25
별 탄생 순간 포착, ‘지구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서의 신비로운 모습’ | 기사입력 2013-08-23 10:2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28&oid=014&aid=0002961378 별 탄생 순간 포착. 별 탄생 순...  
12 7100만km/h로 이동하며 '에너지 토해내는' 블랙홀 최초 발견 file 태일[太一] 282 2013-11-23
7100만km/h로 이동하며 '에너지 토해내는' 블랙홀 최초 발견 서울신문 | 입력 2013.11.22 17:01 | 수정 2013.11.22 18:02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31122170106006 [서울신문 나우뉴스]해외 과학자들이 철과 니켈을 우주 공간...  
11 우주 생성 비밀 담은 초신성 폭발 장면 ‘포착’ file 태일[太一] 276 2014-01-07
우주 생성 비밀 담은 초신성 폭발 장면 ‘포착’ | 기사입력 2014-01-07 10:0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81&aid=0002389381 [서울신문 나우뉴스]지구로부터 약 16만 8000 광년 떨어져있는 초신성 1...  
10 브라이언 그린의 우주의 구조 - 무한의 우주공간 file 태일[太一] 241 2014-01-27
 
9 태초의 우주를 닮은 '구멍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461 2014-10-11
태초의 우주를 닮은 '구멍 은하' 발견 정보 기사입력 2014-10-10 18:18 정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5&sid2=228&oid=079&aid=0002643705 빅뱅 이후 우주 형성 과정 재현 [CBS노컷뉴스 감일근 기...  
8 우주 탄생 이전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file 태일[太一] 655 2015-01-02
빅뱅, 모든것의 시작 ‘빅뱅이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과연 우주의 끝은 있을까’ 빅뱅우주론과 관련, 신학자와 천문학자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질문이다. 빅뱅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빅뱅에 의해 시간·공간·물질이 출현했다. 빅뱅은 전적으로 무에서 유(시...  
7 언젠가 우리 은하와 만날 ‘두 은하’ file 태일[太一] 707 2015-09-29
언젠가 우리 은하와 만날 ‘두 은하’ 정보 기사입력 2015-09-28 10:02 | 최종수정 2015-09-28 13:27 정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81&aid=0002611268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인 미라크의 양쪽에 균...  
6 태양계에 지구보다 큰 9번째 행성 있다 file 태일[太一] 1093 2016-02-02
2016년 1월 21일 태양계에 지구보다 큰 9번째 행성 있다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60121033137032 美 브라운 박사 "명왕성 바깥에 거대 행성" 주장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장현구 특파원 = 미국 과학자들이 한때 태양계 행...  
5 NASA 비행 망원경이 포착한 백조성운의 '원시 별 공장' file 태일[太一] 157 2020-01-27
NASA 비행 망원경이 포착한 백조성운의 '원시 별 공장'입력 2020.01.27. 13:46 수정 2020.01.27. 13:46 https://news.v.daum.net/v/20200127134604399 오메가 성운(M17)으로 불리기도 하는 백조성운. 궁수자리에 있는 거대한 성운으로, 지름이 15광년에 이르...  
4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 file 태일[太一] 539 2020-01-31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입력 2020.01.30. 14:06 수정 2020.01.30. 14:06 https://news.v.daum.net/v/20200130140604956 미세 운석 입자 지구와 인접한 금성과 화성은 대기의 구성 성분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다. 만약 지구 ...  
3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 file 태일[太一] 395 2020-02-06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엄남석 입력 2020.02.06. 15:55 https://news.v.daum.net/v/20200206155517597 초대형 은하 XMM-2599 진화 과정 왼쪽부터 XMM-2599 같은 초대형 은하가 우주 초기 별을 활발히 만들어내는 단계와 별...  
2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file 태일[太一] 313 2020-03-04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이정현 미디어연구소 입력 2020.03.03. 09:22https://news.v.daum.net/v/20200303092218153  오시리스-렉스 우주선에 탑재된 REXIS 장비가 블랙홀 MAXI J0637-043에서 X-선 폭발을 포착했다. 녹색 원으로 표시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