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Binary star의 사전적 정의 : 공통의 중력 중심 주위를 궤도 운동하는 별들의 쌍.

 

우리 은하에 있는 별들 가운데 상당수(절반 정도)가 쌍성이거나 더 복잡한 다중성계(多重星系)의 일원이다.

어떤 쌍성은 변광성의 중요한 부류를 이룬다(→ 식변광성 ).

 

만일 쌍성계의 두 별의 상이 망원경으로 분리되면 안시쌍성(眼視雙星)이라고 한다.

 

두 별이 서로 너무 가까워 눈으로 구별할 수는 없지만 분광관측으로 쌍성임을 확인할 경우가 가끔 있다.

이것은 분광쌍성의 별들이 각각 지구 쪽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진동수 변화에 대한 도플러 효과가

스펙트럼 선에서 관측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동반성(同伴星)을 가진 몇몇 항성계(恒星系)도 쌍성인데,

이것은 보이는 별이 먼 별을 배경으로 가로질러 이동하는 비율인 고유운동(固有運動)의 변화를 통해 발견할 수 있다.

 

----------------------------------------------------------------------------------------------

 

저는 태양에 대응하는 행성X 가 존재한다고 결론 지은 것은 아닙니다.

아래는 다만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백과 사전에는 은하계 절반이 Binary star 라고 하는데, 아래 영상에 80프로 라고 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조회 수 :
393
등록일 :
2011.11.23
19:30:17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8/131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2009-03-24 18245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09-03-14 20446
공지 [우주현상] 우주공간의 놀라운 이미지 10 file 태일[太一] 2020-02-05 21259
80 가장 오래된 초대형 블랙홀이 발견됐다 file 태일[太一] 2021-01-14 247
79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file 태일[太一] 2020-03-04 315
78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 file 태일[太一] 2020-02-06 403
77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 file 태일[太一] 2020-01-31 543
76 NASA 비행 망원경이 포착한 백조성운의 '원시 별 공장' file 태일[太一] 2020-01-27 161
75 태양계에 지구보다 큰 9번째 행성 있다 file 태일[太一] 2016-02-02 1097
74 언젠가 우리 은하와 만날 ‘두 은하’ file 태일[太一] 2015-09-29 708
73 우주 탄생 이전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file 태일[太一] 2015-01-02 661
72 태초의 우주를 닮은 '구멍 은하' 발견 file 태일[太一] 2014-10-11 461
71 브라이언 그린의 우주의 구조 - 무한의 우주공간 file 태일[太一] 2014-01-27 241
70 우주 생성 비밀 담은 초신성 폭발 장면 ‘포착’ file 태일[太一] 2014-01-07 277
69 7100만km/h로 이동하며 '에너지 토해내는' 블랙홀 최초 발견 file 태일[太一] 2013-11-23 282
68 별 탄생 순간 포착, ‘지구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서의 신비로운 모습’ file 태일[太一] 2013-08-25 144
67 5분만에 보는 지구와 달의 탄생영상 file 태일[太一] 2013-08-17 181
66 [BGM]아직 밝혀지지 않은 우주 file 태일[太一] 2013-07-24 225
65 아름다운 별의 '최후'…"50억년 후 태양도 이렇게…" file 태일[太一] 2013-07-16 186
64 이웃 태양계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 file 태일[太一] 2013-07-09 901
63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3곳 발견 file 태일[太一] 2013-04-20 230
62 우주 구성하는 ‘암흑물질’ 단서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013-04-06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