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꼭꼭 숨은 ‘방주’…2000년간 보물찾기

 

 




[한겨레] 닥친 일정이 만만치 않다.
디야르바크르를 떠난 뒤 반을 거쳐 목적지 아라랏 산이 있는
 도우바야즈트까지 580여km를 가야한다. 구릉 지대를 치달아야하고, 도로 사정도 안 좋다.
 
 아침 7시 호텔을 떠나 두 시간쯤 달렸다.
 고즈루트에서 티그리스 강을 건넜다. 강폭은 200m쯤 되나, 깊이는 얕아 보인다.
강을 넘자 군데군데 새하얀 꽃잎이 나풀거리는 담배밭이 펼쳐졌다.
햇볕에 말린 오종종한 밀짚 더미도 눈에 띈다. 반 호숫가에 있는 인구 5만의 타트반에 이른 뒤
 일곱 무지개 색을 띤다는 아름다운 반호(반 괴뤼)를 왼편에 끼고 두 시간여를 달려 동부 최대의
도시 반에 닿았다.
 
반호는 터키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보기 드문 염수호(소금호수)다. 호수 넓이가 3713㎢,
둘레 길이는 무려 500여km나 된다. 전능한 신이 염수호 대신 담수호를 선물했다면,
 터키 동부의 면모는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 역사가 불허한 가설을 되새기면서,
 해발 223의 가라자슈 준령을 넘었다.

 
 

축구장보다 긴 135m 배 흔적 산등성이에 도장 찍힌 듯
배 어디에 있는지 실체 찾으려 탐사 잇따르지만 아직도 수수께끼


반은 호반의 도시답게 정갈했다. 도심 교차로를 지나는데,
상징물인 큰 고양이 조형물이 나타났다. 무심코 지나치는데,
안내원이 고양이 눈 색깔을 보라고 했다. 새하얀 털빛에 한쪽 눈은 파랗고,
 다른 쪽은 노랗다. 눈 색깔은 서로 엇바뀌기도 하는데, 다른 곳에 보내면
눈 색깔이 없어진다고 하니 정말 이색적인 변이(變異)동물이다.
 
히타이트 식당에서 명물인 닭고기 케밥으로 점심을 때운 뒤 성채를 구경했다.
기원전 9세기 전반, 여기서 문명을 꽃피운 우라루트 왕국의 살두르 1세가 돌산을 따라
도시 외곽에 지은 다층 구조물이다.
 
길이 1.5km의 우람한 성채는 셀주크, 오스만 시대를 거치면서
석회암과 벽돌 등으로 증축되었다.

해가 기울자 여정을 다그쳐 도우바야즈트로 향했다.
채석장, 늪 지대를 지나 갑자기 울퉁불퉁한 검은 용암 지대가 펼쳐졌고,
내리막길에 접어들자 멀리 머리에 흰눈을 인 아라랏 산이 눈에 들어온다.
“아, 아라랏 ! ”일행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오후 5시 넘어 산 기슭에 있는,
인구 10여만의 도우바야즈트에 도착했다. 고원이라 날씨는 한결 시원하다.

이튿날(8월 19일) 새벽 5시 33분, 호텔 옥상에서 아라랏 산 너머 벙긋 솟은 황홀한 해돋이
경치를 카메라 렌즈에 담았다. 정말 장엄한 순간이다.
 
아침 식사를 대충 마치고 서둘러 호텔을 나섰다. 이제 ‘노아의 방주’를 찾아 떠나는 길이다.
 성경 <창세기>의 아라랏 산이 바로 일행이 찾은 아르메니아 고원에
우뚝 선 저 해발 5164m의 사화산이다. 현지어로는 ‘아으르산’이다.
 
‘노아의 방주’는 이 산 어디에 표착했다고 한다. 그러나 여태껏 ‘방주’는
숱한 수수께끼에 싸여있었다. 과연 어디에?
 ‘방주’는 실체인가? 실체라면 어떤 모습일까?
 

일단 방주의 실체라고 알려진 곳부터 찾는 게 순서일 것 같았다.
이란 국경까지 가는 동쪽길(35km)을 따라 3km쯤 가다가 오른쪽의 고불고불한 산능선 길을 따라
한참 올라갔다. 이윽고 ‘방주박물관’이 나타났다.
 
머리가 희끗희끗한 핫즈 하산 오제르 관장은 전망대로 안내하면서 건너편 골짜기 언덕에
비스듬히 드러난 배 모양의 한 형체(길이 167m, 가장 넓은 부분이 47m)를 가리켰다.
 
그것이 1977년 윌리엄 와트를 위시한 미국 고고학발굴단이 발견한 방주 화석이란 설명이다.
 원래 건너편 아라랏 산에 있다가 홍수에 떠밀려 옮겨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발굴단 안내를 맡았던 그는 사비를 털어 박물관을 지었다고 한다.
 ‘방주’쪽 접근은 금지된 상태였다. 일행은 방명록에
“성산 아라랏산을 찾아서ㅡ한겨레실크로드답사단 일행”이란 글귀를 남겼다.
 
 
 

‘창세기’에 표착했다는 기록

멀리 서북쪽 맞은편 솟은 대아라랏 산(그 뒤에 높이 3,896m의 소아라랏 산이 보임)을 바라보면서,
4500년 전 어떻게 축구장 길이보다 더 큰 배(성경의 기록으로는 길이 13, 너비 22., 높이 13.)가
만들어졌으며, 또 어떻게 여기까지 떠밀려 올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들이 꼬리를 물었다.
 
방주를 탐사한 역사적 전말을 돌이켜보면, ‘방주’ 화석의 발견도 의문을 풀어줄 수 없다.
 
 
왜냐하면 유사한 ‘발견설’이 백출했기 때문이다.
기원 초 아르메니아 수도자 하고피안이 방주를 찾아 세 번째로 이 산에 올랐을 때,
하나님은 사람이 올라와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때부터 2천여년 동안 아라랏 산은 성역으로 간주되어 입산이 금지되었다.
1829년 간 큰 독일인 파로트가 금기를 깨고 산꼭대기에 올랐으나 방주는 찾지 못했다.
 
 
1883년에는 지진 피해를 조사하던 터키 관리들이 산등성이를 타고 흘러내린 빙하 속에서
검은 나무 구조물을 발견했는데,
안에 높이 쯤 되는 칸막이가 줄지어 있었다고 한다.
물론 이는 발견자의 말일 뿐, 사진 등 입증자료가 없어 유야무야되어 버렸다.
 


이후 1, 2차 세계대전 당시 공군 조종사들의 목격담에 따라 방주의 실체가 재론되기 시작했다.
1916년 러시아 항공 분견대의 로스코비카 중위는 시험 비행 중 산 남쪽 기슭의
얼어붙은 호숫가에서 ‘둥그스름한 지붕에 덮인, 묘하게 생긴 배’ 한 척을 발견한다.
 
 
그는 대장과 현장을 확인한 뒤 로마노프 황제에게 보고했다. 뒤이어 황제는 2개 중대와
탐험대를 파견해 한 달 만에 몇 백 개 칸막이가 달린 소나무 배를 발견해 크기도 재고
사진도 찍었다. 이듬해 황제에게 사진과 보고서를 보냈으나 그해 일어난 러시아 10월 혁명
와중에 없어졌다고 한다. 2차 대전 때도 소련 공군의 마스케린 소좌가 소문만 떠도는
기록을 확인하려고 부하를 보내 정찰을 했다. 그 결과 얼어붙은 호숫가에 반쯤 파묻힌 채 거의
화석으로 변한 길이 120여m의 배를 발견했다.
 
 
 한편, 미국 전술비행 중대의 슈잉하머 소위도 산 위를 돌다 ’낙타등과 같이 생긴 산등성이
‘(대·소 아라랏산 사이) 밑에서 너비 12m에 달하는, 평저선 모양의 네모난 배를 발견했으나,
빠르게 지나치는 바람에 사진은 찍지 못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슬람에선 주디산에 있다고 믿어

2차 대전 뒤 방주 탐사는 더욱 열기를 띠었다.
55년 프랑스 탐험가 나비라는 아라랏 산에 올라 해발 4000m 지점의 얼음 구덩이에서
검은 역청이 칠해진 1. 길이의 나뭇조각을 가져왔다.
 연대 측정이 엇갈리는 가운데 나비라는 1974년 <내가 손으로 만진 노아의 방주>란 책을 펴냈다.
 
 
같은 해 미국 자원탐사기술위성이 산 위 740km 상공에서 어렴풋한 물체를 찍었는데,
크기나 모양이 방주와 같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에 대해 자주 비행 측정을 해온 터키 정부는
 화산암 침식으로 우연히 배 모양을 나타낸 것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최근 미국 한 일간지는 디지털글로브사가 2003년 찍은 위성 사진을 공개하면서,
높이 4663m의 산 허리에서 발견한 인공 구조물이 길이,
너비 비율에서 방주와 같다는 점 등을 들어 방주 가능성이 높다는 일부 연구자들의 주장을 전했다.
 이밖에 최근 이란 테헤란 서북쪽 엘부르즈 산 정상 부근의 고도 4000m 지점에서
 방주로 추정되는 나무 배를 발견했다는 미국 성서 연구단체의 발표도 있었다.
 

‘방주’를 찾아 현장에 다녀온 길은 또하나의 수수께끼만 남겼다.
아라랏 산을 뒤로 하면서 도우바야즈트 북쪽 5km 지점 산허리에 자리잡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시대의 이스하끄 바샤 궁전에 들렀다. 대를 이어 99년간 부지 7600㎡ 위에
 지은 이 화려한 셀주크식 궁전은 방수만 366개에 달한다.
 
하나 덧붙일 것은, 터키를 비롯한 이슬람 세계에서는 경전 <꾸르안>에 바탕해
 ‘ 방주’가 안착한 곳은 아라랏 산이 아닌, 티그리스 강 발원지인 해발 2114m의 주디산
이라고 믿고 있다. 매해 9월 무슬림들은 이 산 정상에서 감사제를 지내곤 한다.
 
그래서 터키 등 이슬람 세계에서는 아라랏 산의 방주 화석이나 박물관에 별 관심이 없다.
 

‘노아의 방주’를 둘러싼 2천여년 간의 설왕설래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아무도 예단할 수 없다.
신앙적으로는, 방주의 표착이 성경에 나온 이상 왈가왈부할 것 없이 믿으면 된다.
 반면 세월의 무게 속에서 방주의 실존 여부를 가리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어찌 보면 영원한 수수께끼가 될 수도 있다.

글 정수일 문명사연구가, 사진 김경호 기자 jijoe@hani.co.kr

조회 수 :
487
등록일 :
2008.09.23
21:00:3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6/1237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24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21 2009-03-14
19 현생 인류와 우주의 일년, 우주일년의 신비 file 태일[太一] 272 2014-10-02
지구 일년에서 볼 때 씨앗을 뿌리고, 싹이 나서 생명활동을 시작하듯이, 우주에서 인간씨를 뿌리고, 인간이 생명활동을 하도록하는 시기입니다. 바로 木과 生의 정신이 만물을 주도하는 법칙인데, 이로 인해 우주에서는 인류와 만물을 아낌없이 탄생키는 것입...  
18 지난 우주일년의 유물들 file 태일[太一] 243 2014-10-02
지난 우주일년의 유물들 이라크에서 발견된 고대의 배터리 고대 배터리 구조도 고대의 컴퓨터 고대의 컴퓨터 구조도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2.8억년전의 쇠공 2800만년전의 사람 이빨 화석 화석으로 발견된 수백만년전의 배터리 스파크 플러그 화석으로 발견된...  
17 수메르문명을 베낀게 사실로 드러나자 성서학자들 충격 file 태일[太一] 2292 2014-11-10
수메르문명을 베낀게 사실로 드러나자 성서학자들 충격. 인류 문명의 발상지중 가장 그 기원이 오래된 곳은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사이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다. 이곳에서 인류 최초로 수메르 문명이 꽃을 피웠고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설형문자들을 발...  
16 고대의 외계인 08. 시즌2 - 4화 file 태일[太一] 206 2014-12-20
 
15 지난 우주일년의 유물들 ? file 태일[太一] 250 2014-12-26
지난 우주일년의 유물들 이라크에서 발견된 고대의 배터리 고대 배터리 구조도 고대의 컴퓨터 고대의 컴퓨터 구조도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2.8억년전의 쇠공 2800만년전의 사람 이빨 화석 화석으로 발견된 수백만년전의 배터리 스파크 플러그 화석으로 발견된...  
14 고대의 외계인 10. 시즌3 - 1, 2, 3, 4, 5, 6 file 태일[太一] 450 2014-12-27
 
13 지구에는 현생인류를 앞선 문명이 있었다 file 태일[太一] 820 2014-12-28
현생인류는 저것을 만들 수 없다. 인류보다 앞선 문명은 저것을 쉽게 만들었다. 쉽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저렇게 많이 보편적으로 쓸 수 있었다. 어떤 기술인지는 모르나 저것을 쉽게 제작한 것만은 분명하다. 페루 쿠스코 쿠스코의 벽은 잉카시대 훨씬 이...  
12 텔로스와 지저도시들 file 태일[太一] 1833 2015-01-01
(텔로스는 미국 서부의 샤스타 산 지하에 있는 약 1만 2천년 전 25,000명의 레무리아인들이 레무리아 대륙이 침강했을 때 피신해 살면서 독자적인 문명을 이루었으며, 후에 지중문명(내부지구문명)과 결합하여 고도의 영적, 기술적 문명을 이루고 있다.) 텔로...  
11 도곤族과 시리우스의 미스테리 file 태일[太一] 1469 2015-01-09
도곤족과 시리우스의 미스테리 아프리카 말리는 33개나 되는 여러 종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에 걸쳐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사라하 사막이 이 나라를 지나간다. 또 말리는 국가의 4면 어느 곳도 바다를 끼고 있지 않은 국가 이다. 그런데, ...  
10 '신들의 흔적' 고대의 이해할 수 없는 암석 가공기술 file 태일[太一] 867 2015-04-20
분명한 것은 고대인들은 저것을 쉽게 가공했습니다. 무식한 방법으로 힘들고 어렵게 가공한 것이 아닙니다. 특별한 테크놀로지가 있었고 어쩌면 그것은 암석을 무르게 해서 석고를 자르듯이 쉽게 가공한 것입니다. 가공후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단단해지는 기...  
9 고대문명의 미스터리 file 태일[太一] 884 2015-10-06
 
8 '지상 최대 수수께끼' 페루 나스카라인, 143개 추가 발견 file 태일[太一] 144 2020-01-26
'지상 최대 수수께끼' 페루 나스카라인, 143개 추가 발견윤슬빈 여행전문기자 입력 2020.01.06. 16:41 https://news.v.daum.net/v/20200106164134963 (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외계인이 남긴 지상화'로 불리며, 지상 최대 수수께끼로 알려진 페루...  
7 17만 년 전 석기인, 채소도 요리해 먹었다..'직접적 증거' 첫 발견 (사이언스紙) file 태일[太一] 149 2020-02-01
17만 년 전 석기인, 채소도 요리해 먹었다..'직접적 증거' 첫 발견 (사이언스紙)윤태희 입력 2020.01.03. 13:01 https://news.v.daum.net/v/20200103130106787 석기시대 조상들은 적어도 17만 년 전부터 탄수화물이 풍부한 채소도 불에 구워 먹었던 것으로 밝...  
6 약 32억년 전 지구는 망망대해 펼쳐진 '물의 세계'였다 file 태일[太一] 196 2020-03-04
약 32억년 전 지구는 망망대해 펼쳐진 '물의 세계'였다 엄남석 입력 2020.03.03. 16:51 https://news.v.daum.net/v/20200303165135394 우주에서 본 지구의 대양 [NASA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가 약 32억년 전에는 케빈 코스트너 주...  
5 샤먼들의 가르침 [1] file 태일[太一] 303 2020-03-15
하늘을 날아오른 동명왕 이규보의 동명왕편에 보면 "동명왕이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세간의 전설을 듣고는 '과연 이것을 믿어야할지...말아야 할지..'하면서 고개를 갸웃거리다가, 중국 사서에 기록된 동명왕편을 본 후에 '허황되기보다 차라리 신...  
4 스키타이 왕국의 흥망성쇠 file 태일[太一] 397 2020-03-21
스키타이 왕국의 흥망성쇠 김현일 (상생문화여구소 연구원) 고대의 유목민하면 얼핏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흉노와 스키타이이다. 흉노는 사마천의 《사기》 열전에 〈흉노전〉이라는 장이 따로 있을 정도로 한나라 때 중요한 역할을 한 북방유목민이었다. 흉노...  
3 <불가사의>고대 거석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별모양의 드릴 구멍 file 태일[太一] 502 2020-05-31
<불가사의>고대 거석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별모양의 드릴 구멍 페루 삭사이와만 달의 궁전 아래 동물 돌 조각상의 이빨, 발톱, 받침대 부분의 세로 줄무늬는 돌을 정으로 쪼고 쇠붙이로 여러번 긁어서 만든 선이 아니다. 플라스틱처럼 쉽게 녹는 재료(바위)...  
2 환단고기가 밝히는 일본 문화와 역사 file 태일[太一] 248 2021-01-28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일본 편 1부ㅣ환단고기가 밝히는 일본 문화와 역사 https://youtu.be/YVTavscbAfE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일본 편 2부ㅣ환단고기가 밝히는 일본 문화와 역사 https://youtu.be/c9ezX8Qu_KI ★ 개벽,역사,영혼,수행 관련 생존비밀 무료소책...  
1 하늘 땅 인간의 조화, 유라시아 유목문화 file 태일[太一] 191 2021-02-17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카자흐스탄 편 1부ㅣ하늘 땅 인간의 조화, 유라시아 유목문화 https://youtu.be/qYU1WMhODH8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카자흐스탄 편 2부ㅣ환단고기, 유목문화의 시원을 밝히다 https://youtu.be/40DlKX6yqSk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카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