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인간과 귀신, 영혼, 신도세계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삼신은 우주 생명의 주관자

신교문화에서 우주 생명을 주관하는 신은 삼신三神으로 불린다.

 

그런데 삼신은 단순히 인격신이거나 비인격적인 신성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둘 다의 의미를 갖는다. 삼신은

이위일체二位一體의 신으로 파악돼야 한다. 달리 말하면 신교문화는 인격적 실재와 비인격적 실재를 하나로

“조화시키는 비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삼신은 만유 생명의 뿌리

삼신은 우선 대자연의 순수 영기와 같은 것으로 인간을 비롯한 만유 생명의 뿌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난다.

산이나 들, 짐승과 식물, 하나의 돌멩이, 나아가 자연과 인간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 등 그 모든 것들을 그러하

게끔 하는 궁극의 바탕자리는 신이라는 것이다. 삼신의 일차적 의미는 우주에 충만한, 그 창조적(조화를 짓는)

신성이다.

 

 

삼신은 만물의 한 근원의 조상

삼신은 곧 만물이 나고 그리로 돌아가는 공통된 한 근원을 또는 “한 근원의 조상”(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을

이루는 것. 하늘도 땅도 인간도 그곳에 한가지로 뿌리박고 있다.

 

하늘(天), 땅(地), 인간(人)을 일러 각기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이라 한다. 하늘, 땅, 인간은 하나같이 삼

신의 거룩한 몸뚱이란 것이다. 다시 말해 무궁한 생명성과 창조성을 지닌 삼신이 하늘, 땅, 인간의 삼재三才로

드러나는 것이다. 한민족의 고유한 경전인 <천부경>에는 “천일일天一一 지일이地一二 인일삼人一三”이란 구

절이 등장한다. 하늘의 이치에 부합되는 글이란 뜻을 가진 <천부경>은 모두 81자로 구성돼있는데, 우주의 본성

과 변화이치에 대한 한민족의 깨달음을 담고 있다. 동방 최초의 경전으로 꼽힌다.

 

 

<천부경>에서 말하는 삼신의 원리

인용한 “천일이 지일이 인일삼”에서는 세 가지 사실을 읽을 수 있다.

 

첫째는 하늘, 땅, 인간이 한 근원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둘째는 양을 대표하는 근본인 하늘이 먼저 나고(천

일일), 만물을 낳아주는 어머니 음인 땅이 다음에 나고(지일이) 그리고 하늘, 땅의 교합에 의해 인간이 생겨났

다는(인일삼) 것이다.

 

셋째 하늘(일)과 땅(이)은 인간(삼) 안에서 그를 통해 조화되고 그 이상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가장 귀하다. 인간을 인일人一이라고 하는 대신 태일太一이라고 말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

은 하늘, 땅의 모든 것을 하나로 꿰뚫으며 그것들을 살아있게 하는 하나(一)는 신이며 신은 곧 삼신이라는 점

을 잊지 않는 일이다.

 

이렇게 본다면 삼신은 우주 만유의 목숨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우주의 명신命神’으로 불릴 만 하다. 생명이

있는 모든 곳에 삼신이 있다. 천지의 모든 것에는 삼신의 숨결이 깃들어 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신 앞에 삼

三이 붙은가? 신이 세 분이란 말인가?

 

 

삼신인가?

삼신의 ‘삼’은 세 분의 신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한 신이 만물의 변화작용을

세 가지 신성으로 다스린다는 뜻이다.

 

그 세 가지 신의 본성을 조화造化, 교화敎化, 치화治化라고 한다. 삼신은 조화신으로서 만물로 하여금 성품을

트이게 하고, 교화신으로서 목숨을 열고 천명天命을 알게 하며, 그리고 치화신으로서 정기를 보존하여 스스로

를 다스리게 한다.

 

삼신은 곧 만물이 생겨나고 자라고 성숙되는 삶의 전 과정을 이끄는 것이다. 이는 각기 아버지(父), 스승(師),

임금(君)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곧 “삼신의 본성이 군사부”인 셈이다.

 

이렇듯 삼신은 세 가지 신성으로 우주 만물의 생명을 주관하는 한 조물자 하나님을 표현한다. 조교치의 신성

은 삼신이 우주 만물을 다스림에서 작용하는 혹은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에 속한 것이다. 이른바 일즉삼一卽

三 삼즉일三卽一의 논리로 하나 속에 셋이, 셋 속에 하나가 전제돼 있다는 것이다. 체體로 모으면 하나고 용用

으로 펴면 셋이다.

 

 

삼신은 곧 일기一氣

삼신은 모든 것의 바탕을 이루고 온갖 조화를 짓는 힘이지만, 얼굴 없는 자연신으로서 한 뿌리의 기운(一氣)일

따름이다.

 

   삼신은 곧 천일 지일 태일의 신들이니 한 뿌리의 기운이 스스로 능히 움직임을 이루어 조화 교화 치

   화의 신이 된다.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삼신은 그렇게 비실체적, 허령한 기운으로서 눈에 보이는 유형의 어떤 것도 아니다. 그래서 고정된 장소를 갖

는 것도 아니다. 그 텅 빈 것을 일러 ‘0’이라 하고 무無라 해야 한다.

 

그렇지만 특정한 자기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어디에 매일 필요가 없는 삼신은 없는 데가 없고 어느 것 하

나 감싸지 않는 것이 없다. 그것은 바람처럼, 빛처럼 천지를 채우는 동시에 천지를 품는다. 삼신은 한 뿌리의

생명 기운으로서 텅 빈 무면서 또한 가장 큰 것이다. 삼라만상이 그에 실려 존재하는 우주의 큰 수레(大乘)다.

가장 넓은 울, 한울이다. 그 한울을 벗어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신은 곧 기운이고 기운은 곧 허이며 허는

곧 한(一)”(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이란 소리다.

 

 

삼신은 우주 대광명

그 점에서 삼신은 밝은 빛과 같다. 빛은 손에 잡히는 어떤 것도 아니면서 모든 곳을 두루 비치며 보이는 모든

것을 보이게 하는 것. “홀연히 열린 우주의 대광명 가운데 삼신이 계시니...”(도전1:1) “大虛有光 是神之像”(태

백일사 소도경전본훈), 크고 텅 빔의 빛남, 그것이 신의 모습이다. 곧 삼신의 본질이 빛과 영성이란 것이다.

 

 

신과 기는 동전의 앞뒷면

여기서 신神과 기氣가 다른 것이 아니다. 동일한 것을 본성이나 조화 작용에서 보면 신神이고 바탕이나 실질

(器)에서 보면 기氣다.

 

   대저 살아 있는 것들의 본체는 이 한 뿌리의 기운이요 한 뿌리의 기운이란 안으로 삼신이 있음이요

   슬기의 근원 또한 삼신에 있음이요 삼신이라 함은 밖으로 한 뿌리의 기운을 감싸고 있음이다.(태백

   일사 소도경전본훈)

 

만약 그렇지 않고 기와 신이 이질적인 것이라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세계의 근원은 적어도 둘

이 될 것이다. 이 경우 신교문화에서 일一은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할 것이다.

 

이제까지 한 뿌리의 양기良氣로서 천지조화의 바탕자리를 이루는 삼신에 대해 알아보았다.

 

 

삼신과 상제

그런데 주목할 것은 삼신은 또한 세상일을 다스리며 인간의 기도에 감응하고 제사를 받는 인격신으로서 모습

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삼신은 하늘나라에 살며 대권능의 조화(權化)로써 만물을 만들고, 오제五帝나 오령五靈 등 신의 힘을 행사하

여 만물을 다스리며, 비를 내려 주고 황충을 없애달라는 기원을 받으며, 기뻐함과 싫어함의 감정을 지닌 “한

분이신 상제님”(태백일사 신시본기)로도 나타나는 것이다.

 

만유 생명의 본원으로서의 삼신이 빛이라면, 하늘의 주재자 삼신은 해에 해당한다. 그는 ‘하늘의 주재자로서

태양을 의상儀象으로 하며 화복 보응報應을 정의로“(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삼는 자다. 만물은 해의 빛에 의

해 생명으로 밝게 빛난다.

 

이 같은 의미의 삼신에 대해서는 곳에 따라 상제 이외에 “제帝”, “천신天神”, “일신一神”, “삼신상제”, “삼신일

체상제” 등이 쓰이기도 한다. 이런 호칭들에는 상대적으로 삼신의 유일성이나 인격성이 더 잘 표현되어 있다.

 

 

조상 삼신과 국조 삼신

이밖에도 삼신은 만물을 낳은 자연의 삼신을 대행하여 천상에서 자손을 타내리는 조상신과 삼신의 도를 민족

의 역사 정신으로 열어준 국조삼신(환인 환웅 단군)을 가리키도 한다. 이자손을 타내리든, 나라와 겨레를 세

우든, 모든 생명 창조의 신은 삼신의 이름으로 불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신교 문화에서 삼신은 얼굴 없는, 바람 같고 빛 같은 비인격적인 우주 신성과 동시에 인격신인 주재자

상제를 가리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교", 황경선 지음, 상생출판, 28~35쪽>

조회 수 :
207
등록일 :
2014.11.10
00:45:0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3/121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25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24 2009-03-14
31 영혼을 부르는 사람 file 진리의 빛 196 2009-04-12
[영혼세계] 영혼을 부르는 사람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이 귀신들에게 통제받고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내용을 담은 책이 출간되어 화제다. [실화소설 '영혼을 부르는 사람'의 표지(左)와 책 속에 등장하는 저자의 매형이 신들린 채 썼다는 신...  
30 사람속으로] 성안스님의 재미있는 귀신이야기. file 태일[太一] 202 2009-03-06
<귀신아 이젠 너의 길을 가 환생하거라!> 지난해 늦가을 한 방송국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믿지 못할 내용이 방영되고 있었다. 한 젊은 스님에 의해 귀신이 쫓겨나가는 장면이 방영됐던 것.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너무나 멀쩡하던 여인이 목탁소리와...  
29 퇴마사-성안스님 이야기 file 태일[太一] 207 2012-06-30
한 방송국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믿지 못할 내용이 방영되고 있었다. 한 젊은 스님에 의해 귀신이 쫓겨나가는 장면이 방영됐던 것.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너무나 멀쩡하던 여인이 목탁소리와 함께 구명의식에 들어가자 얼굴색과 표정이 변하며 할머...  
»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file 태일[太一] 207 2014-11-10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삼신은 우주 생명의 주관자 신교문화에서 우주 생명을 주관하는 신은 삼신三神으로 불린다. 그런데 삼신은 단순히 인격신이거나 비인격적인 신성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둘 다의 의미를 갖는다. 삼신은 이위일체二位一體의 신으로 ...  
27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file 태일[太一] 208 2016-02-10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삼신은 우주 생명의 주관자 신교문화에서 우주 생명을 주관하는 신은 삼신三神으로 불린다. 그런데 삼신은 단순히 인격신이거나 비인격적인 신성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둘 다의 의미를 갖는다. 삼신은 이위일체二位一體의 신으로 ...  
26 그리스 신화 속 ‘저승’ 실제장소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10 2012-12-02
그리스 신화 속 ‘저승’ 실제장소 찾았다 서울신문 | 입력 2012.11.30 16:51 | 수정 2012.11.30 17:41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21130165114861 [서울신문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  
25 알렉스 그레이, 양자적 영역에서 본 인간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16 2020-05-01
알렉스 그레이, 양자적 영역에서 본 인간의 모습 그러면 인간의 삶과 죽음이란 무엇일까요?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 사후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명쾌하게 밝힌 진리는 아직 없었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한 번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합니다. ​ “사람이...  
24 9일간의 저승체험 file 태일[太一] 220 2009-03-22
이 이야기는 퍼온 내용 입니다. 실화 라네요 제가 아는 분이 이번에 저승에 다녀오는 신비한 체험을 해서 들은대로 적어봅니다. ^^ 평범한 직장인인데.. 어느날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차와 충돌.. 심하게 사고가 났습니다. 심장만 뛰는..중상을 입어서 급...  
23 구천九天으로 이루어진 천상 신명계 file 태일[太一] 223 2012-12-25
구천九天으로 이루어진 천상 신명계 * 하루는 김송환이 여쭈기를 “하늘 위에 또 하늘이 있습니까?” 하니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 “있느니라.” 하시고 또 여쭈기를 “그 위에 또 있습니까?” 하니 말씀하시기를 “또 있느니라.” 하시며 이와 같이 아홉 번을 대답하...  
22 불교에서 본 영계 file 태일[太一] 224 2008-10-06
불교에서 본 영계 인간의 활동은 좀더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무언가를 하는 행위, 생각 하는것 , 느끼는 것 무의식의 충동까지 포함해서 인간의 모든 생명활동에 의해 새겨진 낙인 자국을 불교에서는 업이라고 부른다. 좀더 크게 말하자면 업은 사랍의 마음...  
21 휴대전화에 찍힌 유령, 대낮에 정장입고… file 태일[太一] 224 2013-04-28
휴대전화에 찍힌 유령, 대낮에 정장입고… | 기사입력 2013-04-20 11:3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3&sid2=245&oid=421&aid=0000255048 온라인 커뮤니티. News1 "합성이다", "정말 무섭다" 등 다양한 ...  
20 죽은후의 저승세계는? 귀신이 말하는 수행하는 이유 file 태일[太一] 225 2012-07-01
구술: 여주선생, * 수록: 임유양 * 번역: 박금규(원광대학교 사범대 한문교육과 교수) 선생은 일찍이 무슨 무슨 중요한 안건을 심판하였습니까? 일체의 모든 안건이 모두 다 매우 평범한 안건으로서 절대로 인정과 사리의 밖엣 것은 없었습니다. 또 그 죄상도 ...  
19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file 태일[太一] 228 2015-09-29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정보 기사입력 2015-09-28 00:0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322&oid=215&aid=0000369143 정보 [화제의 동영상]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18 과학자들이 본 사후세계 file 태일[太一] 230 2013-03-05
영혼이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죽은 사람의 넋’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혹은 귀신이라는 말 뜻 또한 같은 의미지요. 신이 아닌 이상 귀신이 있다 없다 단정 지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각자 자기가 아는 만큼의 ...  
17 귀신도 수명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 2012-11-07
귀신도 수명이 있다 ⊙ 귀신이 사람으로 변하고, 사람이 귀신으로 태어난다면 결국 이 세간에는 사람이 먼저입니까, 귀신이 먼저입니까? → 여기에 대해서는 마땅히 두 방면으로 나누어서 말해야 할 것입니다. 먼 상고시절 이전에 혼돈이 처음 열리고 순박(醇朴)...  
16 [귀신/영혼]불교의 귀신론 file 태일[太一] 237 2009-08-02
귀신은 마음의 작용 …수행통해 극복 가능 관정경엔 부처가 귀신왕 믿으라 말하기도  모들아카데미와 종교문화연구원, 한신대학교 신학연구소 등 3개 종교 연구소가 주최한 ‘열린인문학 강좌’에서 열린선원 법현 스님이 서울 수유동 한신대 신학대학원에서 지...  
15 [동의보감] 잠자는 법, 악몽을 물리치는 방법 file 태일[太一] 246 2008-10-28
잠자는 법... 누워서는 몸을 옆으로 하고, 무릎을 구부리면 심기(心氣)를 보익(補益)하는것이며, 잠을 깨어서는 다리를 바로 뻗으면 정신이 흩어지지 않는다. 사지를 죽 뻗고 바로 누우면, 마(魔)와 매를 끌어들이는 것이다. 공자의 말씀에 침불시(寢不尸) - ...  
14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 file 태일[太一] 264 2012-12-25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 일원적 다신관(一元的 多神觀) *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이니, 풀잎 하나라도 신이 떠나면 마르고 흙 바른 벽이라도 신이 떠나면 무너지고, 손톱 밑에 가시 하나 드는 것도 신이 들어서 되느니라. (道典 2:87:4)   사람...  
13 최민수, "폐가에서 귀신과 같이 살았다" file 태일[太一] 274 2011-08-25
최민수, "폐가에서 귀신과 같이 살았다" 2011,08.24일 연예가 뉴스. [마이데일리 = 함상범 기자] 배우 최민수가 산속 폐가에 살면서 겪은 미스터리한 사건을 털어놨다. 최민수는 23일 밤 방송된 SBS 예능 프로그램 '강심장'에 출연해 산속에서 지내며 귀신과 ...  
12 구한말 권력 실세 민영환 자결로 과오 씻고 충절 남기다 file 태일[太一] 281 2009-04-16
구한말 권력 실세 민영환 자결로 과오 씻고 충절 남기다 기사입력 2009-04-15 00:58 |최종수정 2009-04-15 01:07 [중앙일보]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으로 조선은 허울만 남은 나라가 되었다. 같은 달 30일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은 왕조의 몰락에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