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인간과 귀신, 영혼, 신도세계

귀신(영혼)에 대한 동서양의 탐구

"영혼의 무게는 21g"… 귀신은 정말 있을까 ?

동서양 막론 끊임없는 귀신 탐구 … 氣·파동 등 이용한 과학적 접근 잇따라  (이범진 주간조선 기자 )

   해마다 여름이면 호사가의 단골소재로 등장하는 귀신. 최근엔 가수 MC몽, 연예인 신정환 등이 ‘귀신을 봤다’고 주장해 관심을 끌기도 했고, 쓰나미가 몰아쳐 폐허가 됐던 태국 푸껫 등지에선 ‘해변·리조트 등에 귀신이 떠돌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다는 내용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귀신은 정말 있는 것일까?

동양의 귀신 탐구

   용재총화(齋叢話), 추강냉화(秋江掠話),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어우야담(於于野譚) 등 우리 선조는 귀신에 관해 여러 문헌을 남겼다.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조선전기의 학자 김시습(金時習·1435~1493)이 쓴 ‘금오신화(金鰲新話)’다.

    이 글에서 김시습은  “산에 사는 요물을 소라 하고, 물에 사는 괴물을 역이라 하며,  계곡에 사는 괴물은 용망상(龍芒象)이라 하고,  나무와 돌에 사는 귀신을 기망량(夔)이라 한다”  며 귀신의 종류를 밝혔다.

  이어  “ 만물을 해치는 요물을 여라 하고,  만물을 괴롭히는 요물은 마(魔)라 하며,  만물에 붙어사는 요물을 요(妖)라 하고,  만물을 유혹하는 요물은 매(魅)라 하는데, 이들을 모두 귀(鬼)라 한다”며 귀신을 분류했다.

  그는 귀신의 특성에 대해 “산, 물, 계곡, 나무, 돌 등 곳곳에 존재하며 만물을 유혹하고 괴롭힐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개념은 조선후기의 이익(李瀷·1681~1763)으로 이어진다.

  이익은 저서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귀(鬼)는 지각을 가지고 있으니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고, 귀는 기(氣)이므로 어디든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 없다” 며   “귀의 성질은 사람을 현혹시키기 때문에 생각지도 못한 곳에 나타나 사람을 깜짝 놀라게도 하고 속이기도 한다” 고 말했다.

이익은 “귀(鬼)는 음(陰)의 영(靈)이고 신(神)은 양(陽)의 영(靈)이며,  정령(精靈)은 백(魄)으로 되어 있고 신명(神明)은 혼(魂)으로 되어 있다” 며  “ 먼저 정령이 있고 그 다음에 신명이 있으니,  이 두 가지 영(靈)이 물체를 떠났을 때 혼(魂)· 백(魄) 또는 귀신(鬼神)이 된다”고 적었다.

그는 귀신의 특성에 대해 “ 영원히 존재하지 못하고 언젠가는 속멸된다”고 했다.

귀신에 관한 우리의 사상은 중국의 사상과도 상통한다.

   귀신의 존재를 언급한 최초의 중국 문헌으로 알려진 것은 주나라 때 지어졌다는 유가(儒家) 최고의 경전 ‘상서(尙書=서경·書經)’다.

  이 책은 죽은 사람을 ‘신(神)’이라 표현,  ‘사람이 죽으면 신이 될 수 있다’ 는 개념이 당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이후 법가(法家)의 기틀을 다진 제(齊)나라의 정치가 관자(管子·?∼BC 645)가  ‘내업(內業)’에서  “사람이 태어나는 것은 하늘이 정기(精氣)를 주고 땅이 지기(地氣)를 내줘 이뤄지는 것이니,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면 살고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살지 못한다(凡人之生也 天出其精 地出其形 合此以爲人 和湍生 不和不生)”라며

 “사람이 생명을 다하게 되면 신(神)은 하늘로 돌아가고 백(魄)은 땅으로 돌아간다”고 귀신의 성질을

기록했다.

  이러한 귀신을 사람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기술한 학자는 묵자(墨子·BC 480~BC 390)다.

  그는 ‘명귀(明鬼)’ 라는 글에서  “선현이나 성왕들은 귀신을 공경하고 제사를 중시했다” 며 귀신의 영명합(鬼神之明)에 주목했고, 도가(道家)의 기틀을 다진 장자(莊子·BC 369~BC 289?)는  “정(精)·기(氣)·신(神), 세 가지가 모여 인간의 몸을 이룬다”며 신(神)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후 송나라 때의 ‘태평광기(太平廣記)’,  청나라 때의 ‘요재지이(聊齋志異)’ 등은 귀신· 요괴 등과 관련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채집·수록해 전했다.

이 문헌들은 모두 ‘사람이 죽고 나면 이후 귀신이 될 수 있다’ 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귀신의 존재를 조망했다.

▶서양의 귀신 탐구

   심령학계에선 1848년 3월 31일을 주목한다.   

 ‘뉴욕 하이즈빌(Hydesville)에  살던 폭스(K. Fox)란 여성이 살해된 사람의 영혼과 교신하는 데 성공한 날’이란 것이다.

 이를 계기로 심령학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양 여러나라로 퍼져갔고,  심령학자들은 이날을 근대 심령학이 탄생한 날로 기리고 있다.

이후 서양에선 영혼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이뤄지기 시작한다.

작업의 선두에 섰던 사람은 적자생존론을 주장했던 생태학자 알프레드 러셀 왈러스(Alfred Russel Wallace·1823~1913) 박사였다.

   심령주의(spiritualism)에 관심을 가진 왈러스 박사는  ‘심령주의와 과학(Spiritualism and Science)’  ‘심령주의와 사회적 책무(Spiritualism and Social Duty)’ 등의 저술을 발표하면서 영(靈)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켰다.

 ‘셜록 홈스’의 작가 코넌 도일(Doyle, Arthur Conan·1859~1930)도 대열에 합류했다.

말년에 심령학에 심취한 그는 세계심령학회 회장을 지내며 인세수입 상당액을 심령학 연구에 투자했다.

   방사성 물질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1861년 탈륨(thallium)을 발견하고 원자량을 측정했던 과학자 윌리엄 크룩스(William Crookes·1832~1919)경도 심령학에 심취한 학자다.

그는 공중부양(levitation)에 관심을 갖고 탐구, 연구결과를 학술 계간지 ‘과학 저널(Quarterly Journal of Science)’에 싣기도 했다.


 

                            ▲ 영화 드라큘라의 한 장면.


   이러한 분위기 덕으로 서양학계에선 “심령현상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는 주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같은 배경을 깔고 태어난 것이 영국 심령연구협회(The Society for Psychical Research; SPR)다.

   1882년 케임브리지 대학 학자 중심으로 런던서 창립된 이 협회는 미국학계에 영향을 끼쳤고, 그 결과 1885년 미국에서도 심령연구협회(American Society for Psychical Research; ASPR)가 발족된다.

하버드대학 교수 중심으로 뉴욕서 발족한 이 학회는 인간의식과 영혼의 문제를 파고들었다.

그 결과의 하나가 유명한  ‘영혼의 무게는 21g’ 이란 주장이다.

던컨 맥두걸( Duncan MacDougall·1866~1920) 박사가 1907년 과학저널(Scienti? Journal)에 발표해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이 실험은 ‘인간의 영혼 역시 하나의 물질’이란 가설에서 시작한다.

   맥두걸 박사는 ‘사람이 죽은 뒤 정말로 영혼이 육체를 떠난다면,  물리적으로 그 실재(physical presence)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 는 의문을 품었다.

박사는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초정밀 저울을 이용해 임종 환자의 무게를 측정했다.    그 결과 사람이 숨을 거둘 때 반드시 체중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땀· 속변 등의 수분과 폐에 들어있던 공기가 신체에서 빠져나가기 때문” 이란 것이다.

박사가 주목한 것은 이 부분이었다.

 6명의 환자 몸무게를 정밀 측정한 결과  “수분과 공기를 합한 무게보다 21g이 더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맥두걸 박사는 “이 21g이 바로 영혼의 무게”라고 주장했다.

그는 “숨진 환자의 몸에 인위적으로 숨을 불어넣어 봤지만 한번 줄어든 의문의 21g은 다시 회복되지 않았다”며 “떠나간 영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어떻게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개 15마리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했다.  하지만 “사람과 달리 개는 죽을 때  몸무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박사는 그 이유에 대해 “사람에겐 영혼이 있지만, 개에겐 영혼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그 해 3월 11일자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와 미국 의약학회지(American Medicine) 4월호에 속개되면서 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샘플 규모가 너무 작은 데다,  임종환자 몸무게 변화치의 신뢰도가 크지 않다” 는 반론이 힘을 얻게 되면서 박사의 연구는 점차 잊혀져갔다.

하지만 이 연구결과는 2003년  ‘21그램’ 이란 제목의 영화로 제작돼 다시 한번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후 서양의 심령학 연구는 체계를 갖춰 초능력을 탐구하는 초심리학(parapsychology)으로 발전했다.

1969년 세계 최대의 과학단체인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는 초심리학을 과학으로 인정, 미국 초심리학회(PA; Parapsychological Association)를 협회의 정식회원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후 미국에선 초심리학회를 중심으로 정신감응(telepathy), 투시(clairvoyance), 염력(psychokinesis), 심령요법(psychic healing), 예지(precognition) 등에 관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 영화 디 아이의 한 장면.


▶ 한국의 귀신 탐구

  기(氣)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혼(魂)과 영(靈)의 문제에 접근해 보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정신과학학회, 초능력학회 등 관련 학회들이 발족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과학적’이란 표현을 붙일 수 있을 정도로 실증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못했다. 

 정신과학학회의 김종업 박사(기학·氣學)는  “영혼에 대한 서양의 탐구가 물질적이라면 동양의 탐구는 상대적으로 관념적이며 체험적이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귀신과 영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 본다”며 귀신에 대해  “ 형체는 없지만 의식을 가진 에너지”라고 말했다.

김 박사는 “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선 경험을 통해 영(靈)에 접근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으로 영의 존재를 밝히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연세대학교 박민용 교수(전자공학)는 “서양에선 킬리언 사진과 같은 여러가지 장치를 고안해 영(靈)의 존재를 살펴보려는 시도가 있었다”며  “하지만 관측의 정확도에 의문이 있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이를 입증하진 못했다”고 말했다.

    킬리언 사진이란 세묜 킬리언(Semyon Kirlian)이란 러시아인이 1939년 고안한 방식으로 젤라틴에 할로겐화은을 섞어 만든 감광제를 이용해 전압이나 습도 온도 등을 화상에 나타내는 기술을 말한다.

일부에선 킬리언 사진을 이용하면 귀신을 촬영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중앙대학교의 이종원 교수(기계공학)는  “ 개인적으로 영이 있다고 본다” 면서 “하지만 증명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 현대의학으로 봤을 때 육체적으로는 정상인데도 정신상태가 비정상적인 사람을,  속위 퇴마사(退魔徙)란 사람이 치료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김재수 박사(재료공학)는 “사람의 몸은 존재하는 파동대에 따라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세팅(setting)돼 있다” 며 “따라서 세팅이 돼 있지 않은 파동은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마찬가지로 전파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없다고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정신과학학회의 설영상 이사는  “나무가 불에 타서 없어질 경우 형체는 사라지지만 그 에너지는 그대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오래 전 입증됐다”며  “귀신 역시 마찬가지로, 사람의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에너지”라고 말했다.

그는 “ 종교는 영(靈)의 존재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며 “ 영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종교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조회 수 :
72
등록일 :
2009.07.28
06:38:4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3/120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1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4 2009-03-14
71 쌍둥이 낙태아의 저주, 토요미스테리 극장 file 진리의 빛 112 2009-07-18
쌍둥이 낙태아의 저주, 토요미스테리 극장 쌍둥이 낙태아의 저주입니다. 이런말을 들은적이 있어요, '나이가 들어서도 유난히 과자나 사탕 단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의 형제나 동생중 낙태아가 있을 소지가 있다.' 꼭 그런건 아니니 걱정하지마세요^^; 그 ...  
70 빙의되었는지 아는 방법: 빙의된 사람의 눈빛을 보면.. file 진리의 빛 1207 2009-07-21
빙의되었는지 아는 방법: 빙의된 사람의 눈빛을 보면.. .. .. .. <퍼온글> 빙의에 대하여 (귀신들린 사람을 이야기함^^) 비유해서 말하자면 여기 자전거가 한 대 있다고 칩시다. 그 자전거는 인간으로 말하면 육체에 해당되고 그 자전거를 탄 사람은 영혼에 ...  
» 귀신(영혼)에 대한 동서양의 탐구 file 진리의 빛 72 2009-07-28
귀신(영혼)에 대한 동서양의 탐구 "영혼의 무게는 21g"… 귀신은 정말 있을까 ? 동서양 막론 끊임없는 귀신 탐구 … 氣·파동 등 이용한 과학적 접근 잇따라 (이범진 주간조선 기자 ) 해마다 여름이면 호사가의 단골소재로 등장하는 귀신. 최근엔 가수 MC몽, 연...  
68 [귀신/영혼]불교의 귀신론 file 태일[太一] 237 2009-08-02
귀신은 마음의 작용 …수행통해 극복 가능 관정경엔 부처가 귀신왕 믿으라 말하기도  모들아카데미와 종교문화연구원, 한신대학교 신학연구소 등 3개 종교 연구소가 주최한 ‘열린인문학 강좌’에서 열린선원 법현 스님이 서울 수유동 한신대 신학대학원에서 지...  
67 [차길진의 영혼수첩] 부자가 되는 길 file 태일[太一] 184 2009-09-26
1. 효도하라 2. 약속 지켜라 부자가 되려면 우선 효도를 해야 한다. 조상을 알고 위하는 자는 대대로 그 뜻을 유지하지만 효심이 없는 부자는 당대에서 끝나게 마련이다. 흔히들 부자가 되려고, 혹은 부를 유지하기 위해 명당을 찾아 전국방방곡곡을 헤맨다...  
66 부자들이 밝히지 않은 돈 버는 비법 file 태일[太一] 283 2009-09-26
부자들이 밝히지 않은 돈 버는 비법 차길진 조회수9851 등록일2009.04.06 10:30 사람들은 부자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하지만 주위를 잘 살펴보면 노력과 돈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부자 중엔 ‘저렇게 악질 같은 사람...  
65 국회에 처녀 귀신이 산다? file 태일[太一] 107 2009-10-03
국회에 처녀 귀신이 산다? "국회에 처녀 귀신이 산다?" 한 여름 열대야와 장마가 겹친 가운데 최근 국회 귀신 괴담이 이슈로 급부상 했다. 국회 곳곳에 귀신 괴담이 난무하면서 등골이 오싹해지는 싸늘함을 느끼게 한다. 올들어 국회 귀신이야기는 지난 5월에 ...  
64 에디슨이 발명한 귀신 탐지기 file 태일[太一] 305 2009-11-08
1919년 세계 발명인 협회에서 에디슨을 만난 유럽의 한 대학교수는 에디슨에게 다음 발명품은 무엇이냐고 묻다 그가 귀신의 존재를 감지할수 있는 기계를 만든 다고 하자 현재까지 만든다고 하면 모든것을 만들어낸 에디슨의 새 발명품에 커다란 관심을 갖게 ...  
63 영혼이 정말로 존재할까 file 태일[太一] 138 2010-01-09
영혼이 정말로 존재할까, 아직도 이런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사람이 죽어 그냥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만을 제대로 알아도 인생의 많은 부분이 달라진다. 죽음이 다가옴을 시시각각 인식하고 있는 삶과 죽음을 망각한 채, 마치 현재가 전부인 ...  
62 세기의 미스테리..귀신 file 태일[太一] 140 2010-01-23
 
61 핀란드신문에..지옥소리 file 태일[太一] 152 2010-02-04
 
60 죽은지 18분만에 부활한 남자 file 태일[太一] 70 2010-02-10
죽은지 18분만에 부활한 남자 | 기사입력 2010-02-09 10:36 | 최종수정 2010-02-09 10:39 심장이 멎고 18분이나 지난 후 되살아난 남자가 있어 화제다. 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죽은지 18분만에 부활한 롭 와겟(31)씨를 소개했다. 여느 때와 다...  
59 죽었다 깨어나는 ‘라자루스 신드롬’ 눈길 file 태일[太一] 67 2010-02-20
죽었다 깨어나는 ‘라자루스 신드롬’ 눈길 | 기사입력 2010-02-20 10:51 [서울신문 나우뉴스]콜롬비아에서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나는 라자루스 신드롬(Lazarus Syndrome)이 발생해 눈길을 모았다. 라자루스 신드롬은 심폐소생술을 중단하고 사망선고가 내려진...  
58 밤마다 귀신이 출몰하는 하산 아바드 미해병 OP file 태일[太一] 115 2010-02-24
(그림설명: 사진으로 촬영된 귀신) 지난해 여름 아프가니스탄 남부 헬만드 주에 주둔하는 미 해병 8연대 2대대가 탈리반으로 부터 탈환하고 1개 정찰중대를 배치한 하산 아바드 전진기지 전방 감시초소 '  
57 구 소련에서 녹음한 지옥의 소리 file 태일[太一] 153 2010-03-02
지옥에서 나는 소리를 구 소련의 과학자가 녹음을 한거라더군요. 빌위스 지옥체험 간증 앞부분에 나오던 비명소리는 연출이 아니라, 아래의 과학자가 녹음한 파일의 일부입니다. The following article appeared in the well respected Finland newspaper, Amm...  
56 '영혼 담긴 유리병 팔아요'…뉴질랜드 이색경매 주목 file 태일[太一] 101 2010-03-25
'영혼 담긴 유리병 팔아요'…뉴질랜드 이색경매 주목 | 기사입력 2010-03-03 17:47 [노컷뉴스 김효희 기자] 뉴질랜드 경매 사이트에 한 유저가 영혼이 든 두개의 유리병을 팔겠다고 나서 주목을 받고 있다. 3일 뉴질랜드 경매 사이트 트레이드미에 올라온 한 ...  
55 나무에도 정령이 깃들어 있을까? file 태일[太一] 127 2010-03-31
나무에도 정령이 깃들어 있을까? 식물이 바라본 사람은 우주에 흩뿌려진 별과 같은 존재 지금까지 식물은 인간과 아무런 관계가 없이 그저 자연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우리가 감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식물도 마치 인간들처럼...  
54 죽었다 살아난 3세 소년 “천국 다녀왔다” file 태일[太一] 133 2010-04-19
죽었다 살아난 3세 소년 “천국 다녀왔다” | 기사입력 2010-04-19 10:30 [서울신문 나우뉴스]3시간 동안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난 3세 소년이 “천국에 다녀왔다.”고 주장해 가족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고 독일 빌트가 최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베를린에 ...  
53 귀신도 수명이 있다 file 태일[太一] 119 2010-04-20
⊙ 귀신이 사람으로 변하고, 사람이 귀신으로 태어난다면 결국 이 세간에는 사람이 먼저입니까, 귀신이 먼저입니까? → 여기에 대해서는 마땅히 두 방면으로 나누어서 말해야 할 것입니다. 먼 상고시절 이전에 혼돈이 처음 열리고 순박(醇朴)한 기운이 흩어지지...  
52 자기장과 귀신의 연관성 file 태일[太一] 651 2010-05-10
● 귀신(鬼神)은 있다? - 가위, 귀신의 장난? 우리는 주변에서 ‘가위눌린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또 실제 가위를 경험한 사람도 많다. 흔히 피곤하거나 기가 약해졌을 때 가위에 눌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귀신의 장난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귀신 중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