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인간과 귀신, 영혼, 신도세계

“그들은 강 저편에서 ‘돌아가라’는 계시를 들었다”

죽음 뒤 세계는 존재하는가. 인간의 영혼은 소멸하는가. 먹고 사느라 바쁜 사람들에겐 부질없는 질문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죽음의 고비를 넘긴 사람들의 사후세계 체험담을 듣노라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죽음을 통해 삶을 이해하자”고 갈파하는 한국죽음학회 최준식 교수의 ‘근사(近死) 체험’ 연구.

 
 

세계적인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1875~1961)은 1944년 초 심근경색으로 의식불명이 됐다. 산소호흡기에 의지해 목숨을 지탱하며 삶과 죽음의 문턱을 넘나들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융은 아주 특별한 경험을 한다.

그는 아주 높은 곳으로 올라가고 있었다. 아래쪽엔 새파란 빛 가운데 지구가 떠 있고, 거기엔 감청색 바다와 대륙이 보였다. 발 아래 저쪽 먼 곳에 실론 섬이 있고 앞쪽은 인도였다. 시야에 지구 전체가 들어오진 않았지만, 지구의 형체는 확실히 보였다. 그 윤곽은 푸른빛이었다.

그가 방향을 돌리려 하자 뭔가가 시야로 들어왔다. 운석과 같은 새까만 돌덩이가 우주공간을 떠다니고 있었다. 돌덩이 한가운데에는 힌두교 예배당이 있었다. 바위 입구로 들어선 순간, 그의 머릿속에 삶의 단편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 이 모든 사건이 그때껏 자신의 존재를 형성해왔음을 불현듯 깨닫는 순간이었다.

그는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의식을 되찾았다. 혼수상태에 빠진 그를 줄곧 지켜본 간호사는 “의식을 잃은 융이 밝은 빛에 싸여 있는 것 같았다”고 했다. 1944년 우주선 아폴로호(號)가 찍은 지구 사진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융은 생사의 기로에서 이미 푸른 색으로 빛나는 지구를 본 것이다.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낫다?

세상엔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현상이 많다. 특히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가까스로 살아 돌아온 이들이 털어놓는 ‘죽음의 이미지 체험’이 그렇다. 의식불명 상태에서 융은 새파란 지구를 봤고, 전쟁터의 부상병들은 생사의 기로에서 죽은 조상을 보았다고 고백한다. ‘근사(近死) 체험’이라는 특이한 현상을 경험한 사람이 세상에 적지 않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라게 된다.

죽음 이후의 세계를 믿는가. 사후생(死後生)이 있다면 우리는 죽음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먹고 사는
데 급급한 우리 사회에 ‘죽음’의 화두를 던진 인물이 있다. 6월4일 동료 교수 및 전문가 20여 명과 함께 한국죽음학회를 창립한 이화여대 최준식(崔俊植·49) 교수(한국학)다.

“근사 체험(과거엔 ‘임사(臨死) 체험’이라고 표현했으나, 최 교수는 ‘Near Death Experience’를 ‘근사 체험’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말한다) 연구를 통해 죽음과 삶을 새롭게 바라보자”는 그의 문제 제기는 ‘죽으면 모든 게 끝’이라는 한국적 가치관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듯하다.

“한국 종교계야말로 구조조정 대상 1순위”라며 야멸찬 독설을 퍼붓는 종교학자, ‘전통의 재발견’을 통해 한국미를 재조명한 한국학자…. 이름 앞에 붙는 다양한 타이틀이 말해주듯 그는 한국 사회의 가려운 곳을 찾아내 일침을 놓곤 했다. 그가 새롭게 천착한 ‘근사 체험을 통한 죽음 연구’는 그래서 더욱 관심을 끈다.


6월8일 이화여대 인문관에서 최 교수를 만났다. 재킷을 멋스럽게 걸친, 자유분방해 보이는 첫인상의 최 교수는 인사를 나누면서 대뜸 카드 하나를 내밀었다. ‘한국 UFO 조사분석센터 회원증’이었다.

“나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신비한 현상에 관심이 많아요. UFO도 그런 차원에서 관심을 갖게 된 건데, 최근 사람이 줄어 이 조사분석센터가 없어지고 말았어요. 안타깝죠.”

UFO와 근사 체험을 믿는 학자와의 대화는 처음부터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 신념의 바탕엔 어떤 생각이 깔려 있을까.



-왜 죽음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까.

“사는 게 지루하고 재미없지 않아요? 어린 시절부터 죽음 뒤의 생에 관심이 많았어요. ‘소년’ 같은 잡지에서 죽음과 전생에 대한 이야기만 골라 읽었지요. 아마 내가 한국에서 죽음과 관련한 책을 가장 많이 보유한 사람이 아닐까 싶어요.”


-종교가 없는 사람들은 대개 죽음을 ‘완전한 소멸’로 여깁니다.

“그게 많은 한국인의 생각입니다.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낫다’ ‘죽은 정승이 산 개보다 못하다’는 속담도 있잖아요.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을 반영하는 단적인 사례들이에요. 수천 년 동안 내세보다 현세를 중시하는 의식세계를 가져왔기 때문이죠. 내세관이 없는 유교문화의 영향도 있고요.

문제는 한국인이 유달리 생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죽음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는 데서 출발합니다. ‘마지막 가시는 길인데…’ 하며 엄청난 장례비를 들이고, 말기암 환자는 대부분 항암제를 복용하며 혼수상태에서 죽음을 맞습니다. 죽음에 대한 강렬한 거부감은 엄청난 의료비와 장례비로 귀결되고, 그 부담은 살아남은 자들이 떠안는 거죠.

근사 체험 연구는 죽음과 내세에 대해 적절한 가치관이 형성돼 있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거예요. 죽음 뒤의 세계가 존재하고 그 세계가 어떤 원리로 움직인다는 걸 알면 우리 삶이 완전히 달라지지 않겠어요                 

                                                   [한국죽음(死)학회 최준식 교수의 사후세계 체험기]

조회 수 :
51
등록일 :
2008.09.16
07:55:2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3/1198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33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31 2009-03-14
31 영혼을 부르는 사람 file 진리의 빛 196 2009-04-12
[영혼세계] 영혼을 부르는 사람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이 귀신들에게 통제받고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내용을 담은 책이 출간되어 화제다. [실화소설 '영혼을 부르는 사람'의 표지(左)와 책 속에 등장하는 저자의 매형이 신들린 채 썼다는 신...  
30 사람속으로] 성안스님의 재미있는 귀신이야기. file 태일[太一] 202 2009-03-06
<귀신아 이젠 너의 길을 가 환생하거라!> 지난해 늦가을 한 방송국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믿지 못할 내용이 방영되고 있었다. 한 젊은 스님에 의해 귀신이 쫓겨나가는 장면이 방영됐던 것.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너무나 멀쩡하던 여인이 목탁소리와...  
29 퇴마사-성안스님 이야기 file 태일[太一] 207 2012-06-30
한 방송국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믿지 못할 내용이 방영되고 있었다. 한 젊은 스님에 의해 귀신이 쫓겨나가는 장면이 방영됐던 것.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너무나 멀쩡하던 여인이 목탁소리와 함께 구명의식에 들어가자 얼굴색과 표정이 변하며 할머...  
28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file 태일[太一] 207 2014-11-10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삼신은 우주 생명의 주관자 신교문화에서 우주 생명을 주관하는 신은 삼신三神으로 불린다. 그런데 삼신은 단순히 인격신이거나 비인격적인 신성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둘 다의 의미를 갖는다. 삼신은 이위일체二位一體의 신으로 ...  
27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file 태일[太一] 208 2016-02-10
‘삼신三神’은 어떤 신인가? 삼신은 우주 생명의 주관자 신교문화에서 우주 생명을 주관하는 신은 삼신三神으로 불린다. 그런데 삼신은 단순히 인격신이거나 비인격적인 신성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둘 다의 의미를 갖는다. 삼신은 이위일체二位一體의 신으로 ...  
26 그리스 신화 속 ‘저승’ 실제장소 찾았다 file 태일[太一] 210 2012-12-02
그리스 신화 속 ‘저승’ 실제장소 찾았다 서울신문 | 입력 2012.11.30 16:51 | 수정 2012.11.30 17:41 http://media.daum.net/foreign/newsview?newsid=20121130165114861 [서울신문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  
25 알렉스 그레이, 양자적 영역에서 본 인간의 모습 file 태일[太一] 216 2020-05-01
알렉스 그레이, 양자적 영역에서 본 인간의 모습 그러면 인간의 삶과 죽음이란 무엇일까요?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 사후세계는 어떤 모습인지 명쾌하게 밝힌 진리는 아직 없었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한 번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합니다. ​ “사람이...  
24 9일간의 저승체험 file 태일[太一] 220 2009-03-22
이 이야기는 퍼온 내용 입니다. 실화 라네요 제가 아는 분이 이번에 저승에 다녀오는 신비한 체험을 해서 들은대로 적어봅니다. ^^ 평범한 직장인인데.. 어느날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차와 충돌.. 심하게 사고가 났습니다. 심장만 뛰는..중상을 입어서 급...  
23 구천九天으로 이루어진 천상 신명계 file 태일[太一] 223 2012-12-25
구천九天으로 이루어진 천상 신명계 * 하루는 김송환이 여쭈기를 “하늘 위에 또 하늘이 있습니까?” 하니 대답하여 말씀하시기를 “있느니라.” 하시고 또 여쭈기를 “그 위에 또 있습니까?” 하니 말씀하시기를 “또 있느니라.” 하시며 이와 같이 아홉 번을 대답하...  
22 불교에서 본 영계 file 태일[太一] 224 2008-10-06
불교에서 본 영계 인간의 활동은 좀더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무언가를 하는 행위, 생각 하는것 , 느끼는 것 무의식의 충동까지 포함해서 인간의 모든 생명활동에 의해 새겨진 낙인 자국을 불교에서는 업이라고 부른다. 좀더 크게 말하자면 업은 사랍의 마음...  
21 휴대전화에 찍힌 유령, 대낮에 정장입고… file 태일[太一] 224 2013-04-28
휴대전화에 찍힌 유령, 대낮에 정장입고… | 기사입력 2013-04-20 11:3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3&sid2=245&oid=421&aid=0000255048 온라인 커뮤니티. News1 "합성이다", "정말 무섭다" 등 다양한 ...  
20 죽은후의 저승세계는? 귀신이 말하는 수행하는 이유 file 태일[太一] 225 2012-07-01
구술: 여주선생, * 수록: 임유양 * 번역: 박금규(원광대학교 사범대 한문교육과 교수) 선생은 일찍이 무슨 무슨 중요한 안건을 심판하였습니까? 일체의 모든 안건이 모두 다 매우 평범한 안건으로서 절대로 인정과 사리의 밖엣 것은 없었습니다. 또 그 죄상도 ...  
19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file 태일[太一] 228 2015-09-29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정보 기사입력 2015-09-28 00:0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322&oid=215&aid=0000369143 정보 [화제의 동영상] "귀신이 나타났다"‥보기만 해도 '오싹'...  
18 과학자들이 본 사후세계 file 태일[太一] 230 2013-03-05
영혼이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죽은 사람의 넋’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혹은 귀신이라는 말 뜻 또한 같은 의미지요. 신이 아닌 이상 귀신이 있다 없다 단정 지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각자 자기가 아는 만큼의 ...  
17 귀신도 수명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 2012-11-07
귀신도 수명이 있다 ⊙ 귀신이 사람으로 변하고, 사람이 귀신으로 태어난다면 결국 이 세간에는 사람이 먼저입니까, 귀신이 먼저입니까? → 여기에 대해서는 마땅히 두 방면으로 나누어서 말해야 할 것입니다. 먼 상고시절 이전에 혼돈이 처음 열리고 순박(醇朴)...  
16 [귀신/영혼]불교의 귀신론 file 태일[太一] 237 2009-08-02
귀신은 마음의 작용 …수행통해 극복 가능 관정경엔 부처가 귀신왕 믿으라 말하기도  모들아카데미와 종교문화연구원, 한신대학교 신학연구소 등 3개 종교 연구소가 주최한 ‘열린인문학 강좌’에서 열린선원 법현 스님이 서울 수유동 한신대 신학대학원에서 지...  
15 [동의보감] 잠자는 법, 악몽을 물리치는 방법 file 태일[太一] 246 2008-10-28
잠자는 법... 누워서는 몸을 옆으로 하고, 무릎을 구부리면 심기(心氣)를 보익(補益)하는것이며, 잠을 깨어서는 다리를 바로 뻗으면 정신이 흩어지지 않는다. 사지를 죽 뻗고 바로 누우면, 마(魔)와 매를 끌어들이는 것이다. 공자의 말씀에 침불시(寢不尸) - ...  
14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 file 태일[太一] 264 2012-12-25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 일원적 다신관(一元的 多神觀) *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이니, 풀잎 하나라도 신이 떠나면 마르고 흙 바른 벽이라도 신이 떠나면 무너지고, 손톱 밑에 가시 하나 드는 것도 신이 들어서 되느니라. (道典 2:87:4)   사람...  
13 최민수, "폐가에서 귀신과 같이 살았다" file 태일[太一] 274 2011-08-25
최민수, "폐가에서 귀신과 같이 살았다" 2011,08.24일 연예가 뉴스. [마이데일리 = 함상범 기자] 배우 최민수가 산속 폐가에 살면서 겪은 미스터리한 사건을 털어놨다. 최민수는 23일 밤 방송된 SBS 예능 프로그램 '강심장'에 출연해 산속에서 지내며 귀신과 ...  
12 구한말 권력 실세 민영환 자결로 과오 씻고 충절 남기다 file 태일[太一] 281 2009-04-16
구한말 권력 실세 민영환 자결로 과오 씻고 충절 남기다 기사입력 2009-04-15 00:58 |최종수정 2009-04-15 01:07 [중앙일보]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으로 조선은 허울만 남은 나라가 되었다. 같은 달 30일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은 왕조의 몰락에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