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전생과 윤회세계

卍 불교성전


현각스님의 '만행-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에서 옮긴 글입니다]


'나의 전생'에 관해 아주 재미있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1990년 한국에 처음 왔을 때 큰스님 밑에서 계룡산 신원사 동안거에
들어갔다. 안거가 끝나고 나는 수유리 삼각산 화계사로 돌아왔다.

어느 날 점심 공양을 마치고 절 뒤뜰을 거니는데 대웅전 앞을 오르려다 갑자기 어느 스님 선방에서 울려퍼지는 웬 음악소리에
발길을 멈췄다. 그 음악의 멜로디가 내 발길과 귀를 사로잡은 것이다.

나는 완전히 충격에 사로잡혀 더이상 걸을 수가 없었다.
천천히 스님 방 앞으로 발길을 옮겨 방문 앞에 섰다. 멜로디를 계속듣는 동안 내 안에서는 아주 벅찬 느낌이 솟아놀랐다. 슬픈 아니 슬프다기보다는 애잔하다고나 할까. 목구멍까지 뜨겁게 달아올랐다.

그리고는 심지어 내 눈에서 갑자기 눈물이 한 줄기 흘러내렸다.
그동안 살아오면서 노래 한 곡에 그렇게 내 감정이 울렁거린 경험은 처음이었다. 노래가 흘러나오는 동안 스님 방문 앞을 떠날 수가 없었다.

나는 이 노래가 아마 한국의 오랜 전통 민요이거나 농부들 사이에서 구전되어오는 판소리 가락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내 내가 그동안 참선수행을 너무 열심히 해서, 첫사람에 빠진 사람처럼 한국에 대해 무슨 콩깍지 같은 게 씌워져서 좀 이상해졌나 하는 생각까지 하면서 방으로 돌아왔다.

동안거를 마치고 다시 미국으로 돌아간 뒤에는 그 노래를 다시 들을 수 없었고 내 기억속에서 노랫가락도 희미해져갔다.
그러나 다시 그 노래를 만난게 1995년 여름이었다. 이미 출가를 해 화계사에서 살고 있는데 동국대에서 여름방학 기간 동안 불교경전을 영어로 강의해 달라는 부탁이 왔다.

내 강의 스타일은 좀 독특하다. 가능하면 교실 밖을 벗어나 식당이나 잔디밭에 둘러앉아 노는 것인지 공부하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편하게 한다. 어떤 날은 식당에서 떡국이나 라면을 함게 먹으면서 수다를 떨 듯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날, 그러니까 8월 15일이었다. 그날이 광복절이란 것은 익히 알고 있었다. 원래 그날은 공휴일이라 휴강일이었으나 학생들 중 몇몇이 강의를 원해 우리는 식당에 자리를 잡고 앉아 공부를 하고 있었다.

식당에는 큰 텔레비젼이 있었는데 마침 8.15광복절 50주년 기념식이 생방송으로 방영되고 있었다. 김영삼 대통령을 비롯한 내로라 하는 정치닝들, 퇴역군인들, 광복인사들이 참여하는 큰 행사였다.

그런데 갑자기 텔레비젼에서 어떤 노랫가락이 흘러나왔다. 장중하지만 너무 친근하게 다가오는 저 가락, 갑자기 내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렸다. 가슴속에 아주 깊고 무거운 것이 가라앉는 느낌이 생겼다.

한 학생이 내 얼굴을 보더니 "아니고, 현각스님이 우시네.현각스님 왜 우시는거예요?"하며 놀려댔다. 나는 너무 창피해서 뛰다시피 화실로 갔다. 휴지를 집어들고 눈물을 닦으면서 바로 그 노래가 5년 전 화계사 스님 방 앞에서 들었던 '그 노래'라는 것을 기억해냈다.

'이게 도대체 무슨 노래지? 무슨 노래인데 들을 때마다 이런 느낌이 드는 걸까?"

그해 겨울이 돌아왔다.
나는 경주 남산의 작은 암자인 천룡사에서 혼자 백일 기도를 했다. 작은 토굴에서 매일 2천배를 하고 참선수행을 했다. 하루 네다섯시간만 잤다. 밤 아홉시에 다시 이러나 열한시까지, 그리고 새벽 한시반에 일어나 세시반까지 새벽수행을 했다. 끼니는 아침과 점심만 먹었다.

천룡사 2백미터 아래에는 작은 집이 하나 있었는데 그곳에 사는 노보살님 한 분이 내 아침과 점심공양을 채겨주셨다. 그 보살님은 천룡사를 관리하는 분이기도 했다.

당시 나는 묵언수행을 할 때라 보살님과는 그저 눈인사만 나누었다.
내가 매일 아침, 점심공양을 먹으러 그곳에 갈 때마다 그 노보살님은 부엌에서 음깃을 만들거나 옆방에서 다라미질을 하거나 바느질을 하셨는데 항상 TV를 켜놓고 계셨었다.

어느 날 그곳에서 점심공양을 하고 있을 때였다. 밥을 먹다가 나는 갑자기 옆방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소리를 듣고 입으로 가져가려던 숟가락을 그대로 든 채 멈췄다.

바로 그 노래였다.
나는 노래가 끝날 때까지 가만히 듣고 있다가 이내 숟가락을 놓고 다시 암자로 향했다. 토굴로 다시 돌아왔지만 그 노래에 대한 생각 때문에 참선수행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노래냐. 유행가냐, 영화음악이냐, 한국의 전통 노래 같긴 한데 도대체 무슨 노래인지 모르겠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그날도 점심공양을 하는 날이었는데 갑자기 TV소리가 커지더니 보살님이 바깥에서 일하는 할아버지를 큰소리로 불렀다.

빨리 와 텔레비젼을 보라고 난리를 치셨다. 나도 무슨 일인가 궁금해 보살님 방으로 건너가 TV를 보았다. 북한에서 일가족이 귀순해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있었다.방송이 끝나고 다시 내 방으로 돌아와 점심을 먹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그 노래가 또 울려 퍼졌다.

굼금함을 참을 수 없었지만 묵언수행중이었기 때문에 아무에게 물어볼 수가 없었다. 마침내 백일 기도를 마친 후 나는 남산을 여기저기 오르다 남산의 한 암자에서 수행하는 나이 든 스님 한 분을 만났다.

그 스님은 암자에서 수행을 하면서 사셨다. 마침 젊은 스님 한 분이 옆에 계셨는데, 그 스님께 이것저것 전해주기 위해 들었다고 했다. 그분들과 차를 마시며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 갑자기 젊은 스님이 나이 든 스님을 가리키며 '이 분은 전생을 아주 잘 보시는 스님'이라고 소개했다.

나는 마침 지난 기도 기간 내내 궁금했던 것이 하나 있었다며 그 스님에게 여쭈었다. 걸망에서 영한사전을 들고 서툰 한국말을
이어갔다.

"스님.제가 한국에 와서 어떤 노래를 들을 때마다 눈물이 막 나왔어요
목과 가슴에서 막 슬퍼요. 이런 일 나에게 한번도 없었어요."
"무슨 노래야?"
"몰라요."
"제목이 뭐예요?"
"몰라요."

"가사가 뭐예요?"
"잘 몰라요......"
"멜로디 알아요?"
나는 잠시 멈추었다 노랫가락을 애써 기억해냈다.
".....딴 따아아아따따 따안.... 따 따딴."

내 허밍이 끝나기도 전에 갑자기 스님들이 웃어댔다.
"그건 애국가 아냐. 애국가."
"애국가? 애국가가 뭐예요?"
"우리나라 국가, 나라노래 말이예요."

나는 사전을 뒤졌다.
'국가 = Nation anthem.'
"오 나라노래! 그런데 저는 왜 그 노래를 들을 때마다
눈물 막 흘려요? 그리고 목, 가슴 마악 아파요?"

"전생에 스님은 한국사람이었어요. 나는 아주 잘 보입니다."

그러면 그렇지. 평소 내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을 그 스님에게서 확인받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후 나는 이 이야기를 몇 년 동안 아무에게도 하지 않았다. 하도 신비한 경험이라 나 혼자만 가슴속에 묻어두고 싶었다.
언젠가는 큰스님께 여쭤볼 기회가 있으면 여쭙기로 하고 말이다.
그런데 작년 여름 화계사 국제선원에서 하안거를 할 때 드디어 큰스님께(숭산스님) 나의 전생에 대해 여쭐 기회가 생겼다.
매일 아침 큰스님은 국제선원에서 아주 짧은 법문을 하셨는데 법문 후 질의 응답이 있었다.

나는 모든 스님들 앞에서 큰스님께 궁금증을 털어놓았다. 그동안 화계사, 동국대, 남산에서 겪었던 일을 다 얘기했다.

"큰스님, 왜 이런 일이 제게 일어나지요? 한국 사람들조차 애국가를 들어도 그 정도는 아니라고 하는데 왜 저만 그렇게 유난스러울 까요?"

큰스님은 하하하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는 이미 스님의 업을 알고 있어요.
전생에 스님은 한국 독립군이었습니다."
"예?"
"전생에 스님은 일본 군인이 쏜 총에 맞아 죽은 한국인이었다.
이말입니다. 스님은 한국이 일본 식민지 통치를 받고 있을 때
일본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운동을 했습니다.

그러다 전쟁에 나가 열심히 싸워 일본군을 많이 무찔렀지요. 그런데 어느 날 군인의 총탄에 맞아 죽게 된 것입니다.

죽을 때 스님은 너무 한이 맺혀

'아 나는 다음 생에는 아주 강한 나라에 다시 태어나고 싶다.(큰스님은 이 부분에서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그리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조국을 위해 살겠다.'고 소원했습니다.

그래서 스님은 미국에서 태어나 다시 한국으로 온 것입니다. 스님은 한국과 아주 강한 업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 보통 한국 사람들보다 애국가를 들을 때 더 강한 느낌을 갖는게 당연하지요. 하하하."

큰스님의 웃음에 좌중은 웃음바다가 되었다. 나도 따라 웃었다. 나는 큰스님 말씀을 듣고 놀랐다거나 하지는 않았다.
비로소 가슴속의 체증이 풀리는 듯한 시원함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이미 내가 강하게 확신하고 있었던 내 전생을 큰스님으로부터 확인받았다는 생각에 안도감이 느껴졌다.

'독립군이라... 아아! 바로 그것 때문이었구나......'

조회 수 :
216
등록일 :
2008.10.05
15:05:0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2/118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38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1 2009-03-14
59 죽음을 경험했던 사람들 file 태일[太一] 188 2010-08-19
죽음을 경험했던 사람들 Near Death Experience라는 말이 있습니다. Near Death Experience(혹은 NDE)란 '가까운 죽음,또는 완벽한 죽음을 경험했던 사람이 시체실이나 응급실, 또는 장례식에서 깨어나는 일'을 뜻합니다. 특히 미국은 응급구조시스템의 발달로...  
58 일부러 장애인으로 환생하는 사람들 file 태일[太一] 545 2010-01-20
일부러 장애인으로 환생하는 사람들. 루쓰몽고메리는 미국의 유명한 저널리스트이며, 여러 명의 보호신들로부터 죽은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 아주 쉽고도 간결하게 묘사한 것으로 더욱 더 알려져 있다. 대표 저서인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책에 사람이...  
57 미국 소년이 700년만에 환생한 승려 file 태일[太一] 327 2009-11-21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소년이 700여 년 전 죽었다가 환생한 승려라고 주장하고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보스톤에서 평범한 부모 밑에 성장한 지그메 왕추크(11)는 2년 전부터 특이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보통 아이들처럼 놀지 않고 전생에 대한 이야...  
56 혈통의 뿌리를 찾아라 file 태일[太一] 147 2009-10-02
이 때는 원시반본(原始反本)하는 시대라. 혈통줄이 바로잡히는 때니 환부역조(換父易祖)하는 자와 환골(煥骨)하는 자는 다 죽으리라. (증산도 도전 2편 26장 1절~2절) *부모를 경애하지 않으면 천지를 섬기기 어려우니라. 천지는 억조창생의 부모요, 부모는 자...  
55 윤회이야기 : 금생부모 file 태일[太一] 351 2009-08-06
윤회이야기 : 금생부모 글: 소련 머릿말: 나와 다른 사람의 전생에 대해서는 좀 썼는데 부모님 간의 연분은 이전에는 수수께끼였다. 최근 며칠 전 나는 그들 전세의 연분에 대해 알게 되었다. 당연히 그들과의 연분은 일생에 그치지 않을 것이나 지금 나로서...  
54 오성을 찾아온 백악산의 야차 file 진리의 빛 161 2009-07-03
오성을 찾아온 백악산의 야차 *야차(夜叉)란? 산스크리트 야크샤(Yaka)의 음역으로 약차(藥叉)라고도 쓴다. 볼 수 없고 초자연적인 힘을 지니고 있어 두려워할 귀신적 성격을 가졌는데, 공양(供養)을 잘하는 사람에게는 재보(財寶)나 아이를 갖게 하는 힘을 가...  
53 [동영상]개는 영혼을 본다 실화 내용 file 진리의 빛 296 2009-06-28
[동영상]개는 영혼을 본다 실화 내용 TV'위험한 초대'에 방영되었던 실화입니다. 새 집에 이사온 날 부터 혼령에게 시달림을 당하는데 , 하루는 남편이 축구중계를 보고있는 가운데 여자귀신이 자기를 따라가야한다고 계속 괴롭히고 남편은 전혀 눈치채지를 ...  
52 신도 세계는 우리 삶의 연장 file 태일[太一] 69 2009-06-23
신도 세계는 우리 삶의 연장 자, 이렇게 신들의 세계가 이루어져 있는 겁니다. 그런데 특별한 건 아니구요, 인간하고 똑같습니다. 저는 귀신보다 사람을 더 무서워하거든요. 밤길 가면 사람이 무섭지 귀신 안무섭습니다. 왜냐? 길 가다가 만약에 밤길 가는데 ...  
51 죽고난 다음 생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file 진리의 빛 334 2009-06-08
삶과 삶 사이 한 사람에게도 여러 번의 전생이 있다. 瀏굘?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태어나기까지 그 중간세에서 영혼은 무엇을 하고, 중간세에서는 어떤 일이 있을까? 전생퇴행을 하는 과정에서 그 중간세(中間世)를 체험하는 사람들도 있다. 삶과 삶 사이, 티...  
50 어사 박문수가 겪은 이야기 file 진리의 빛 176 2009-05-20
어사 박문수가 겪은 이야기    * 이 세상에 조선과 같이 신명(神明) 대접을 잘하는 곳이 없으므로 신명들이 그 은혜를 갚기 위하여 각기 소원을 따라 꺼릴 것 없이 받들어 대접하리니 도인(道人)들은 아무 거리낌없이 천하사(天下事)만 생각하게 되리라.  ...  
49 [+사후세계+] 우리 아이들이 생각하는 삼신할머니 file 진리의 빛 162 2009-04-27
우리 아이들이 생각하는 삼신할머니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어릴 때 흔히 하는 질문 중의 하나가 이 말이다. 내가 살던 고장 (부산에서도 ‘영도’라는 섬 같지 않은 섬) 에서는 "영도다리 밑에서 주워왔다"고 했다. 이 얼마나 서럽고 서러운 말인가! 어둡...  
48 [차길진의 식스센스] 현생은 이미 프로그램 되어있다 file 태일[太一] 636 2009-04-24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차길진의 식스센스] 현생은 이미 프로그램 되어있다! 영가는 내생에서 받을 전생 죄의 불이익 정도를 선택 가능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어서….' 누구나 한번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좋은 일이 ...  
47 [차길진] 전생의 업보로 고단한 인생 file 진리의 빛 514 2009-04-12
[차길진] 전생의 업보로 고단한 인생 두번의 전생서 사형집행관…불운 따라다녀 Y씨는 정말 운이 없는 사나이였다. 태어나자마자 집에 불이 나는 바람에 양친이 모두 죽고 어린 그 사람만 남았다. 그는 친척집을 전전하며 살았는데 이상하게 그를 돌봐주는 친척...  
46 환생(還生)을 거듭하며 대를 이어가는 달라이 라마 file 진리의 빛 179 2009-03-31
환생(還生)을 거듭하며 대를 이어가는 달라이 라마      하루는 신경수가 돼지 한 마리를 기르다가 도둑 맞고 와서 아뢰니,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 돼지를 찾지 말라. 네가 전생에 남의 눈을 속여서 손해를 끼쳤으므로 이제 금세(今世)에 그 보복을 ...  
45 1.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윤회에 대한 믿음 file 진리의 빛 105 2009-03-15
★ 영적 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길래 이 고통을 당하며 살아야 하나…" TV에서, 혹은 주위 어른들로부터 우리가 가끔 듣는 말이다. 지금 살아 가고 있는 우리의 삶이 전생과 어떤 연관이 있길래 우리네 부모님들은 이런 얘기를...  
44 2. 현생에 이어지는 전생의 업 file 진리의 빛 323 2009-03-15
2. 현생에 이어지는 전생의 업 '자신의 과거를 알고 싶으면 자신의 현재의 삶을 보라. 자신의 미래를 알고 싶으면 자신의 현재를 보라'는 석가모니의 말씀은 전생과 이생과 내생이 긴밀한 관계로 이어지고 있음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실지로 전생 퇴행(...  
43 3. 삶과 삶 사이 file 진리의 빛 76 2009-03-15
3. 삶과 삶 사이 한 사람에게도 여러 번의 전생이 있다. 그런데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태어나기까지 그 중간세에서 영혼은 무엇을 하고, 중간세에서는 어떤 일이 있을까? 전생 퇴행을 하는 과정에서 그 중간세를 체험하는 사람들도 있다. 삶과 삶 사이, 티벳...  
42 4. 자신이 선택하고 계획해서 태어난 삶 file 진리의 빛 181 2009-03-15
4. 자신이 선택하고 계획해서 태어난 삶 K박사는 인터내셔널 사무기(IBM) 회사 연구원이다. 머리도 좋고 건장하며 멋진 데다가 인망까지 두터웠고, 회사에서는 실력도 인정받아 모두의 부러움을 사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K박사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마음의 갈...  
41 5. 왜 윤회를 하는가? file 진리의 빛 93 2009-03-15
5. 왜, 윤회를 하는가? 그러면 왜 그러한 삶을 선택해야만 하는 것인가? 단순히 카르마를 씻기 위해서인가? 윤회를 통해 인간이 진정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앞서 소개했던 A라는 남자는 퇴행 상태에서 자신의 죽음과 그 이후를 보면서 이런 이야기...  
40 6. 성숙을 향한 우리 영혼의 간절한 바램 file 진리의 빛 110 2009-03-15
6. 성숙을 향한 우리 영혼의 간절한 바램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고 하는데 나의 부모 형제, 부부, 친구, 그리고 직장 동료들. 나와 가까운 이들은 전생에서부터 보통의 인연으로 이렇게 만난 것이 아닌 것 같다. 각각의 영혼은 자신의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