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신과 인간의 만남(神)

 

우리 민족이 신을 ‘삼신’으로 불러온 이유

 

일신은 삼신

천지 개벽은 무無가 스스로 자화함으로써 열린 최초의 창조사건이다. 창조된 천지는 곧 영적인 대광명으로 둘

러싸이게 됐다. 영적인 대광명은 바로 하늘과 땅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신神이 자리하고 있다.

 

전체를 포괄하고 있는 신에 대하여 증산도 <도전>은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1 태시(太始)에 하늘과 땅이 ‘문득’ 열리니라.

2 홀연히 열린 우주의 대광명 가운데 삼신이 계시니, 삼신(三神)은 곧 일신(一神)이요 우주의

  조화성신(造化聖神)이니라. <도전1:1>

 

 

신은 ‘하나의 신(一神)’이요 ‘삼신三神’이며 ‘조화성신造化聖神’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각각은 어떤 의미에서

그렇게 말해지는 것일까?

 

신을 일신一神으로 말한 것은 전체를 감싸고 있는 신성을 지칭한다. 이것은 근원적인 본체의 측면에서 보니까

전체적인 하나가 된다는 의미이다.

 

신을 삼신三神으로 말한 것은 신이 각기 셋으로 존재한다는 뜻이 아니라 현실적인 작용의 측면에서 보니까 개

별적인 세 영역으로 용사用事한다는 의미이다. 신을 조화성신으로 말한 것은 천지의 어디에나 신이 침투해 들

어가 작용함으로써 모든 창조변화를 짓는 근원이 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신이 왜 셋으로 작용하는가?

신은 유형적인 것이든 무형적인 것이든 만유의 존재가 나오는 근원이라는 의미에서 보면 전체이며 하나의 본

체이지만, 그 작용의 중심에서 본다면 삼신이다. 문제는 전체이며 하나인 신이 왜 셋으로 작용하는가 이다.

 

그것은 신이 스스로 창조 변화의 섭리로 펼쳐질 때에는 반드시 각기 셋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신을

전체의 바탕에서 보면 하나의 본체이지만 그 작용의 측면에서 보면 삼신이라는 의미에서 삼신일체三神一體의

논리를 이끌어낼 수 있다.

 

 

삼신일체의 논리

삼신일체의 논리를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꼭 맞는 것은 아니지만, 비근한 예로 인간의 신체는

하나의 전체인데, 머리, 몸통, 팔다리로 구분하고, 작용으로 드러나는 머리 부분의 기능, 몸통 부분의 기능, 팔

다리 부분의 기능을 분리하여 이해하는 방식이든가, 아니면 인간의 영혼은 하나의 전체인데, 그 작용으로 펼

쳐지는 이성의 기능, 기개의 기능, 욕망의 기능으로 각기 이해하면 좋은 예가 될 것 같다.

 

삼신일체의 논리는 동북아 한민족의 최초의 경전이라 불리는 “천부경天符經”의 표현으로 보면 “하나는 시작

이나 무에서 비롯된 하나이다. 세 극으로 나뉜다 하더라고 그 근본은 다함이 없다(一始無始一 析三極無盡本)”

고 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한민족 정신의 잠재의식 속에는 옛날부터 본체에 있어서는 ‘하나’이지만 작용으로 드러날 때는 ‘셋’으로 펼쳐

진다는 사고를 깔고 있었고, 그것을 3수 법칙으로 간주하여 인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였을까? 동방 한

민족의 경전이라 할 수 있는 <三一神誥>에는 ‘하나는 즉 셋(一卽三)이라는 논리가 핵심사상으로 등장하고 있

다. “셋은 하나를 본체로 삼고 하나는 셋을 그 작용으로 삼는다(三一其體一三其用)<소도경전본훈>”는 논리가

그것이다. 여기에서 하나는 본체의 의미에서 말하는 것이고, 셋은 본체本體가 실제로 작용作用으로 드러남의

의미에서 말한 것이다. 하나와 셋은 체體와 용用의 관계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삼신일체는 체용의 논리로 파

악된 것이다.

 

삼신일체를 체용의 논리로 이해할 때, 하나의 본체가 없는 셋으로의 작용은 근거가 없는 것이고, 셋으로의 작

용이 없는 하나의 본체는 공허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존재와 인식의 관계로 풀이해 보자면, 삼신의 본체

는 그 작용으로 말미암아 인식이 되고, 삼신의 작용은 본체를 근거로 하여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인 즉

셋이요 셋인 즉 하나(卽一卽三 卽三卽一)”라는 법칙이나 “하나를 잡으면 셋을 포함하고, 셋이 모여 하나로 돌

아간다(執一含三 會三歸一)<소도경전본훈>” 는 3수 법칙은 삼신일체의 논리에 근거를 두고서 나온 법칙이 되

는 셈이다.

 

 

신이 삼신이라 불리는 이유

결과적으로 말해서 천지만물의 창조변화는 전체이며 하나인 신으로부터 비롯되는데, 그 중심에는 삼신이 자

리하고 있고, 이것이 각기 세 영역으로 작용하여 펼쳐진다. ‘일신 즉 삼신’이란 말의 핵심이 그것이다. 즉 삼신

의 본체가 세 측면으로 작용하여 천지만물의 창조변화를 끊임없이 지어내는 것이다.

 

그래서 삼신은 하나로 통하면서 우주만물의 창조변화를 일으키는 원뿌리요 근원이 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다. 이것이 바로 신은 왜 삼신이라고 말해야 하는가의 직접적인 이유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해 볼 때 신에

대한 실제적인 명칭(正名)은 삼신으로 불러야 마땅할 것이다.

 

                                                               <“생명과 문화의 뿌리, 삼신”, 문계석 지음, 상생출판, 27~31쪽>

 

조회 수 :
66
등록일 :
2012.10.20
16:48:3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1/11750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
옵션 :
: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4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6 2009-03-14
41 ‘꿈 녹화’ 더이상 꿈 아니네 file 태일[太一] 113 2010-10-29
‘꿈 녹화’ 더이상 꿈 아니네 23면2단| 기사입력 2010-10-28 20:55 | 최종수정 2010-10-28 22:35 [한겨레] 미, 두뇌활동 영상화 시스템 개발중…“꿈 읽어낼 것” 꿈은 잠에서 깨어나면 사라지는 신기루일 뿐일까?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앞으론 꿈을 저장하고 ...  
40 마음은 뇌를 닮고 뇌는 마음을 닮아 file 태일[太一] 97 2010-10-22
마음은 뇌를 닮고 뇌는 마음을 닮아 | 기사입력 2010-10-22 18:07 [한겨레21] [사이언스온] 새로운 발견으로 자연과 윤리의 상호관계까지 밝히는 뇌과학… 뇌는 마음의 바탕이자 결과이고 타인의 뇌와 공명 일으키기도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그가 속한 가정과 사...  
39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file 태일[太一] 58 2010-10-06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삶과 죽음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道典 2:109:7∼9)    인간의 죽음이란 곧 신명으로의 탄생이며, 신명...  
38 가장 지존지대한 분은 내 조상 file 태일[太一] 194 2010-09-20
가장 지존지대한 분은 내 조상    만성 선령신(萬姓先靈神)들이 모두 나에게 봉공(奉公)하여 덕을 쌓음으로써 자손을 타 내리고 살길을 얻게 되나니 너희에게는 선령(先靈)이 하느님이니라. 너희는 선령을 찾은 연후에 나를 찾으라. 선령을 찾기 전에 나를 ...  
37 삶과 죽음, 그리고 영혼의 세계 file 태일[太一] 209 2010-08-23
삶과 죽음, 그리고 영혼의 세계 만물은 형(形)과 이를 주관하는 신(神)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생물에서 오오라(AURA)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혼과 죽음의 문제를 ...  
36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file 태일[太一] 131 2010-06-14
여주선생의 저승문답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란 사람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얘기입니다. 우리가 간간이 들어왔던 저승에 대한 얘기를 명부에서 벌어지는 재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  
35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한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57 2010-05-23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한 이야기 꿈, 전생, 원한, 기도, 보은, 조상님 제사... 이 세상에는 인간과 신명에 얽힌 신이(神異)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며 신명계를 다녀온 사람들의 체험담도 흥미롭다. 그러면 지금부터 하늘과 땅, 신명계에...  
34 워보카와 영혼의 춤(Ghost Dance) file 태일[太一] 138 2010-01-21
워보카와 영혼의 춤   -김재남-   이 영적인 움직임은 '고스트 댄스'(Ghost Dance, 영혼의 춤)라고 불려졌는데, 미국 전지역의 인디언들에 의해서 시작된 최초의 조직적인 운동이었습니다."      좌)Wovoka and the Ghost Dance  by Michael Hittman ...  
33 죽을때......[동영상] file 태일[太一] 111 2009-06-10
사람이 죽음의 질서에 들어가면 ... 자, 우리 인간이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는 것을 제 강의의 서두를 내면서, 우선 그 안전벨트에서 인간의 몸이 분리되는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있거든요. 제 영상물은 그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자, 그거 하나 잠...  
32 인간완성의 길 윤회 file 진리의 빛 60 2009-06-05
윤회란 인간이 완성으로 가는 하나의 과정입니다. 사람이 무수한 전생을 경험한다는것은 그만큼 성숙해졌다는 의미와 같지요 흔히들 경험많은 사람들이 좀더 성숙한자세를 보이는것을 알수가 있듯이 수많은 전생체험을 했다는것도 마찬가지로 그 경험의 일체...  
31 인간의 탄생과 죽음의 비밀 file 태일[太一] 104 2009-03-17
 
30 살아계신 조상님 file 진리의 빛 80 2009-02-21
신명계에 살아계신 조상님    죽음은 끝이 아니라 영계에서의 새로운 생활의 시작이다. 지상에서의 제삿날은 영계의 생일날과 같다. 비록 육신은 없지만 신명이 되어 천상 신명계에서 다시 살아가는 것이다.      조상님들은 천상에서 영혼의 모습으로 늘...  
29 [+사후세계+] 인간의 몸속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file 태일[太一] 158 2009-02-20
인간의 참모습 : 혼과 넋  * 사람마다 몸 속에 신이 있느니라. (道典 3:116:4)  *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魄)이 있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  
28 <에디슨이 발명한 귀신 탐지기> 달팽이 118 2009-02-04
1919년 세계 발명인 협회에서 에디슨을 만난 유럽의 한 대학교수는 에디슨에게 다음 발명품은 무엇이냐고 묻다 그가 귀신의 존재를 감지할수 있는 기계를 만든 다고 하자 현재까지 만든다고 하면 모든것을 만들어낸 에디슨의 새 발명품에 커다란 관심을 갖게 ...  
27 영혼 세계의 비밀을 알려드려요 (동영상강의) file 태일[太一] 82 2009-01-20
영혼 세계의 비밀을 알려드려요 (동영상강의) <<..소책자클릭,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_^...  
26 자손에게 살길을 열어주신 조상선령님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04 2008-12-08
자손에게 살길을 열어주신 조상선령님 이야기  꿈에 조상님께 종아리를 맞고 보니  증산도사상연구소 연구원을 통해서 증산도를 만난 분 중에 이런 분이 있답니다. 이 분은 사회적으로 고위 관직에 계시는 분인데, 하루는 꿈에 조상님으로부터 호되게 종아...  
25 새 운수의 길을 열어주신 조상님의 음덕 file 태일[太一] 98 2008-10-05
 천상에 계신 조상님으로부터 영감을 받아서 진리를 찾아온 이야기      사람들이 천지만 섬기면 살 줄 알지마는 먼저 저희 선령에게 잘 빌어야 하고,  또 그 선령이 나에게 빌어야 비로소 살게 되느니라.  이제 모든 선령신들이 발동(發動)하여 그 선...  
24 강좌 1. - 시간의 존재 :::: 들어가기 file 태일[太一] 60 2008-10-05
강사 : 정명희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 시간의 존재 예, 오늘 이 야심한 밤에 하필이면 신관인데. 흔히 말하는 귀신 얘기 해야 되는데. 이 야심한 밤에 정말 분위기가 참 좋은 거 같습니다. 저는 누구를 만나든지 시간에 관한 이야기를 굉장히...  
23 강좌 2. 의식과 무의식 file 태일[太一] 68 2008-10-05
* 의식과 무의식 오늘 제 강의를 이해하시기 위해서 제가 제 소개부터 해야 되겠습니다. 저는 경대 간호학과를 나왔는데요, 제가 굉장히 부끄러움이 많고 하여간 성격이 너무너무 내성적입니다. 남 앞에서 말도 못하고. 그런 너무너무 힘든 성격에서 제가 성...  
22 강좌 3. 죽음의 질서 file 태일[太一] 43 2008-10-05
* 사람이 죽음의 질서에 들어가면 자, 우리 인간이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는 것을 제 강의의 서두를 내면서, 우선 그 안전벨트에서 인간의 몸이 분리되는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있거든요. 제 영상물은 그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자, 그거 하나 잠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