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신과 인간의 만남(神)

움직이는 수행, 고요한 수행

 

p7.jpg

동공(動功)과 정공(靜功)

   동정(動靜)의 문제

 옛적에는 불가에서 앉아있는 것, 즉 가만히 있는 것을 정(靜)이라고 했고, 수행은 그런 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주역 「계사전」에 ‘적연부동(寂然不動) 감이수통(感而遂通) 천하지고(天下之故) -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끼어 드디어 천하의 일을 통한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때의 적연(寂然)도 정(靜)의 상태를 이른다.

  그러나 이 정(靜)은 기실 동(動)이 극(極)하여 통일되어 일어나는 상황으로 실지는 동(動)의 최대의 상태이다. 동이 극에 이르면 순간 조용해지는 그런 고요함[靜]이다.

  송대 성리학에서는 정(靜)을 중요시하지 않고 동지 때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것이 ‘천지의 마음을 보는 것’이라 하여 양기가 일어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실지 몸은 가만히 앉아있고 엉뚱한 생각에 마음이 갇히면 몸이 급속도로 허약해진다.

  예를 들어, 어린애들이 2시간 가량 운동하고 나면 그 다음날 벌떡 잘 일어나지만 2시간 동안 컴퓨터 게임 등에 몰두하면 다음날 잘 일어나지 못한다. 그것은 몸을 움직이지 않고 뇌인 양기를 모손시킴으로써 몸의 원기가 모손되고 따라서 몸도 쇠약해지기 때문이다.

  옛적 신의(神醫) 화타는 ‘흐르는 물은 썩지 않고 문지도리는 부패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육체는 움직여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동공을 함으로써 본인은 물론 제자들도 100세가 되어도 건강했다. 장삼봉도 진희이(陳希夷)도 동공을 했으며, 퇴계 이황도 도인(導引)에 힘썼다.

  구결을 외우고 주문수행을 하는 것도 사실 동공이다. 가만히만 있으면 양기 즉 뇌(腦)를 쓰므로 원기가 상한다. 가만히 있을 때는 음으로 과거가 생각되므로 이 때는 참회반성을 하는 것이 좋다.

  불가의 7조인 신회가 6조인 혜능이 항상 가만히 앉아있자 ‘무엇이 보이는가’하고 물었다. 이에 6조가 말하길 ‘나는 보이기도 하고 안 보이기도 하는데 보이는 것은 나의 허물이요, 안 보이는 것은 남의 허물이다’고 답한 적이 있다.

  중국 불교 조계종은 가만히 앉아서 수행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선종은 깨달으면 그것으로 그만이다. 자기가 부처이므로 절에 있는 불상도 중요치 않다. 우리 나라는 조계를 받아들였으나 주로 가만히 앉아있는 북방불교를 혼용했다 한다. 천지는 쉬지 않고 변하므로 순수한 정(靜)은 있지 않으며 동정(動靜)은 변화의 모습일 뿐이다.

  문제의 핵심은 신(神)의 조화이다. 인간의 양신[火土]은 음형[水土]에 갇혀 있으므로 음형 내의 양신을 잘 보존 보양하여 중(中)의 조화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옛날에 진인은 휴식[息]이 있을 뿐 수(睡)는 없다고 하였다. 태모님께서도 수마(睡魔), 마신(魔神), 척신을 이겨야 한다고 하셨다. 신이란 정과 더불어서만 그 존재를 유지할 수 있다. 문제는 ‘사람의 신(神)’인 의식, 즉 마음을 몸과 어떻게 간직하느냐에 있다. 천지부모의 마음을 얻으면 수행은 저절로 된다. 그것은 곧 천지일월을 받드는 것이요, 마음에 모시는 것이다.

  불가는 마음만 강조하고 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주로 앉아있는 것에 치중하여 청령한 음신을 기른다는 비판을 받았다. 거꾸로 선가는 몸의 직접 단련으로 인체에 단(丹)을 맺고자 하여 동공을 강조하였다. 이는 마음이란 몸에 실려있기 때문에 동공을 통해 몸도 튼튼해지고 또한 무아지경에도 쉽게 이르기 때문이라고 본 것이다. 그래서 양신을 기른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혹자는 남녀가 교합하고 나서 사정이 되면 즉시 회음혈을 누르고 밖으로 내보내지 않으면 이것이 환정보뇌(環精保腦)하는 불로장생의 비결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절대불가하며 몸을 망치는 지름길임을 밝혀둔다. 역사적으로 이 폐단이 적지 않았다. 한번 궁을 떠난 정액은 몸으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발설치 않으면 패혈되어 폐색되고, 전립선이 붓는 등 아주 좋지 않은 질병으로 화한다.

  정(精)을 갈무리하기 위해서는 교합을 삼가고, 혹 드물게 교합을 하더라도 아예 사정을 하지 말아야 한다. 때로 해저(海底)혈 즉 회음혈은 곤륜 즉 머리의 백회혈과 짝이 되는 중요 혈이므로 수행시 힘을 주기도 한다. 이 역시 정의 누설을 방지하는 법 중의 하나이다.

  정이란 온몸에 다 있으며 신장은 조절 기준이 될 뿐이다. 신장의 정수가 튼튼한 사람은 억만명 중 한 명 있을까말까 하다. 신장의 정(精)이 맑아지면 온몸의 모든 정(精)도 순수화(純粹化)된다고 봐야한다. 신장은 오직 보(補)만 있을 뿐이라 한다.

조회 수 :
64
등록일 :
2012.07.25
12:57:3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1/11743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
옵션 :
: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1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4 2009-03-14
21 강좌 4. 신성의 존재 유무 file 태일[太一] 66 2008-10-05
* 신성의 존재 유무 그러면 영혼이 있느냐, 없느냐. 이런 말 굉장히 많이 했는데, 소련에서 이미 영혼이 있다, 없다. 이게 인제 구시대의 유물입니다. 그죠? 사람이 죽기 직전과 그 다음 죽은 후에, 밑에다, 뭐죠? 저울을 달아가지고 무게를 재봤거든요. 그 ...  
20 강좌 5. 데쟈뷰 현상 file 맑은바람 86 2008-10-05
* 데자뷰 현상 아마 여러분이 이런 걸 느껴본 적 있으실겁니다. 왜 누군가 이렇게 이야기할 때 우리 이거 어디서 경험해 본 것 같지 않나? 이런거 없습니까? 누군가 이러면서 이렇게 해가지고 이렇게 이렇게 해가지고 이 일이 이렇게 결정됐다. 굉장히 낯익고...  
19 강좌 6. 죽음 직후의 현상 file 맑은바람 67 2008-10-05
* 신도 세계는 우리 삶의 연장 자, 이렇게 신들의 세계가 이루어져 있는 겁니다. 그런데 특별한 건 아니구요, 인간하고 똑같습니다. 저는 귀신보다 사람을 더 무서워하거든요. 밤길 가면 사람이 무섭지 귀신 안무섭습니다. 왜냐? 길 가다가 만약에 밤길 가는데...  
18 강좌 7. 신명계의 구조 file 맑은바람 126 2008-10-05
* 신명계의 구조 그럼 이 차원이 어떻게 돼 있느냐 하면, 뭐 이렇게 해가지고 9천까지 돼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뭐라고 그럽니까? 그 한이 9천을 맴돌고 있다 이렇게 말하죠, 그죠? 그러면서 각 천마다 33천이 있습니다. 왜 이렇게 되어야 되는지는 나중에 ...  
17 강좌 8. 윤회하는 삶 file 맑은바람 51 2008-10-05
* 윤회하는 삶 그래서 이 세계 속에 있으면서 1천, 2천은 굉장히 어둡고, 흔히 범죄자나 이기적인 집단들이 가고, 3, 4천 이렇게 간다고 그랬죠. 그래 이 속에서 숙명적인 사람들은 윤회를 하게 됩니다. 윤회, 아까 시간에서 윤회는 인간이 성숙하기 위해서 ...  
16 강좌 9. 理神事의 법칙 file 맑은바람 35 2008-10-05
* 理神事의 법칙 자, 그렇게 해서 일단 신명세계를 우리가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제 더 중요하게 들어가야 되겠죠. 이 신명세계가 더 중요한 것은, 신명 따로 있고, 나 따로 있고 하면 뭐 아무 상관 없잖아요. 아, 죽어서 저기로 가는 구나. 문제는 신명계와 ...  
15 강좌 10. 우주의 실상을 보는 도통의 관건 file 맑은바람 84 2008-10-05
* 우주의 실상을 보는 도통의 관건 자, 그래서 이런 것에 대해서 상제님께서 이런 성구 말씀을 하셨습니다. 슬라이드 좀 보여주세요. 우주의 실상을 보는 도통의 관건 4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천지간에 가득 찬 것이 신(神)이니 5 풀잎 하나라도 신이 떠...  
14 강좌 11. 보호신과 척신 file 맑은바람 77 2008-10-05
* 보호신과 척신 자, 그런데 신명세계에는 여러 신명들이 있습니다. 아까도 농신 뭐 뭐 이래 많이 있는데 크게 두 부류로 저는 나눕니다. 뭐냐면 나를 도와주는 보호신명, 그 다음에 나를 헤꼬지하는 척신, 잡신 뭐 이렇게 저는 나누거든요. 항상 진단을 할 ...  
13 강좌 12. 척신의 사례 file 맑은바람 29 2008-10-05
*척신의 사례 - 학생의 공부 방해 그 다음 학생들한테는 어떤 식으로도 하느냐면요, 야~ 저 이거 끌르는데 일년 걸렸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졌었느냐 하면, 애가 고 3인데 잠을 자게 만드는 거예요. 고3인데 잠자게 만드는 겁니다. 도장을 오고 난 다음에 고3...  
12 강좌 13. 신명 노름에 빠지지 않을려면 file 태일[太一] 142 2008-10-04
* 신명 노름에 빠지지 않을려면 자, 이런 척신 난동이 오고 난 다음에 이걸 극복하고 나면 우리가 더 성숙이 되겠죠, 그죠? 아마 여기 계신 분들이 오늘 내일 강의를 듣고 가시고 나면 “와~ 그래 이거 맞아. 진짜 맞을 거야.” 나가는 순간에 “아이 뭐 세상이 ...  
11 강좌 14. 60년 공덕을 들이는 천상 선령신 file 태일[太一] 100 2008-10-04
* 60년 공덕을 들이는 천상 선령신 자, 그럼 이 조상님들이 우리한테 얼마나 우리를 생각하시고 타내실 때 어떻게 힘들게 타내시는지 슬라이드 잠깐만 보겠습니다. 60년 공덕을 들이는 천상 선령신 1 하늘이 사람을 낼 때에 무한한 공부를 들이나니 2 그러므...  
10 강좌 15. 척신과 싸우는 조상신명 file 태일[太一] 89 2008-10-04
* 척신과 싸우는 조상신명 정말 제가 입도시키기 힘든 애가 있었습니다. 와, 저는 걔를 진짜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걔하고 한번 통화를 할라고 그러면 몇 수십통을 해도 통화가 안되는 겁니다. 너무너무 제가 포기할려고 화병까지 다 생겨서 포기할려고, 그 ...  
9 강좌 16. 제사때 오시는 조상님 file 태일[太一] 149 2008-10-04
* 제사때에 오시는 조상님 자, 이렇게 조상님들이 너무너무 애를 쓰고 계십니다. 한 순간도 못 쉬고 계십니다. 이렇게 하시면서, 그러면 어떻게 해야 됩니까? 내 힘을 기르고, 조상님한테 힘을 줘야 돼죠? 조상님한테 힘 주는 건 뭡니까? 조상님의 밥은 태을...  
8 강좌 17. 기의 체험 ; O-ring 테스트 file 태일[太一] 86 2008-10-04
* 기의 체험 ; O-ring 테스트 자 그러면 이런 여러 가지 아까 도력을 넓히고 조상님한테 태을주 밥을 줘야 된다고 했잖아요, 그죠? 그래서 이제 수행에 대해서 간단하게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수행에 대해서 하기 전에 간단한 놀이를 제가 하나 해...  
7 강좌18. 태을주의 유래와 의미 file 태일[太一] 137 2008-10-04
* 태을주의 유래 자 그래가지고 증산도에서는 제일 중요한 주문으로 태을주 주문이 있습니다. 자, 태을주 주문 잠깐만 말씀드릴께요. 훔 치 훔 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 증산 상제님 김경수 대성사 구축병마주 태을주는 간단하게 역사 ...  
6 강좌19. 수행의 효과와 자세 file 태일[太一] 40 2008-10-04
* 수행의 효과 그러면 이거 수행을 하면은 어떤 일들이 벌어지느냐면 수승화강이 되거든요. 수승화강 들어보셨죠? 그죠? 신장에 있는 수기운, 심장에 있는 화기운 있습니다. 뜨거운 기는 계속 올라가요, 찬 기는 계속 내려갑니다. 이래 됩니까, 그죠? 화기운 ...  
5 강좌20. 마무리 file 태일[太一] 55 2008-10-04
* 마무리 자, 오늘 이렇게 해서 제가 여러 가지 말씀 드렸는데 기억 나십니까? 사람의 참모습이 있었고, 그 가는 신도 세계가 있었고 거기서 윤회의 의미, 성숙을 위한 윤회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그죠? 제일 중요한 것은 그 신도세계와 내가 맞물려서 서로 영...  
4 [★동영상★ ] 영혼의 존재를 인정할수 밖에 없는 임사체험 file 태일[太一] 44 2008-09-30
가수이자 주부였던 팸 레이놀즈가 수술도중 몸밖으로 자신의 영혼이 튕겨져 나가 모든 수술실의 장면을 지켜보게 됩니다. 두개골을 절단할 때 썼던 톱의 모양이며 수술도구들 그리고 의사들의 대화내용까지도 모두 나중에 이야기하는 것이 수술당시의 기록과 ...  
3 한국죽음(死)학회 최준식 교수의 사후세계 체험기 file 태일[太一] 106 2008-09-30
“그들은 강 저편에서 ‘돌아가라’는 계시를 들었다” 죽음 뒤 세계는 존재하는가. 인간의 영혼은 소멸하는가. 먹고 사느라 바쁜 사람들에겐 부질없는 질문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죽음의 고비를 넘긴 사람들의 사후세계 체험담을 듣노라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2 [명부이야기] 저승세계의 생활 모습 맑은바람 61 2008-09-23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 구술하고 임유양이 기록한 것으로, 여주선생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실화입니다. -원제 : 유명문답록(幽冥問答錄)- ⊙ 저승에서는 어떻게 이승 사람을 써서 저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