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신과 인간의 만남(神)
 

오래 전 인디언에 관한 책을 읽어보면, 그들은 자연과 교감하며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약초 한 뿌리를 캐더라도 먼저 양해의 인사를 했었지요.

우리나라의 심마니들도 비슷한 예의를 갖추곤 한다고 합니다.

식물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분명히 있다고 믿었는데,

최근에 그 대화자를 알게 되었습니다. 성함은 로어 셰퍼드라고 합니다.

이 곳에서 소개하고 싶습니다.


식물과의 대화

2010-09-02

Roar Sheppard


사랑과 죽음에 대한 식물들과의 대화


-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 사실은, 저희 식물들은 어떤 질문이든 그 질문의 정답은 사랑이라는 것을 항상 알고 있습니다. 만약 하늘이 식물을 사랑한다면, 씨앗이 자라나지요. 그것은 명백한 일입니다. 그렇기에 들판의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새로운 씨앗들을 길러낼 때는 사랑의 마음으로 해주세요.


사랑은 조건 없이 하는 것입니다. 사랑은 있는 그대로 맑음 그 자체입니다.


사랑은 비움과 믿음을 전제로 합니다. 왜 이런 것들을 갖추기가 어려운 걸까요? 비움과 믿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소박하고 맑은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상태는 여러분들이 무엇을 얻거나 성취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노력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식물들은 사랑과 믿음 그 자체입니다. 그것이 식물입니다. 그것이 자연이지요. 자연으로부터 배우세요. 그러면 당신은 삶과 사랑과 그리고 믿음에 관한 비밀들을 알게 될 거예요.


-죽음에 대해서 식물들은 어떻게 느끼시는지요?


= 당신이 저의 나뭇잎 하나를 당길 때도, 참을 수 없는 고통을 느낍니다. 당신이 저의 나뭇가지 하나를 잡아당길 때도, 더 이상 계속 괴롭히는 것을 원치 않아요. 하지만 죽음은 모두에게 옵니다. 죽음에도 이유와 원인과 가르침이 있습니다. 식물들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자신들의 역할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유일한 바람은 인간이 식물들에 대해 이해해주기를, 우리와 더 좋은 관계를 맺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 그러면 인간들은 자연을 사랑함으로써 사랑을 배울 수 있을까요?


= 네, 그것이 가장 빠른 길입니다. 당신들은 자연과 사랑 속에서 태어나지 않았습니까? 만약 당신들이 진실로 근원적인 눈으로 자연을 바라볼 수 있다면 사랑을 느끼고, 사랑을 재발견 할 수 있을 겁니다. 당신들은 자신이 사랑으로 태어났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나요? 자연과 의사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당신들은 도반들과 인류에 대한 사랑을 다시 느낄 수 있을 거에요. 그리고 인류도 구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식물들이 당신들을 돕기 위해 여기 모여 있습니다. 우리는 당신들이 지구에서 인간관계 때문에 겪은 고통들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당신들은 항상 우리 식물들을 신뢰해도 됩니다. 우리는 그대들을 신뢰합니다. 자연을 잘 대하는 법을 배울 의향이 있으십니까? 인간들은 자연과 인간과 하늘과 사랑을 주고 받는 법을 잊어버렸습니다. 모든 분야들이 필요합니다.


- 구체적으로, 우리는 어떻게 사랑에 대해 배울 수 있을까요?


= 식물들은 인간이 원하는 모든 것을 대표합니다. 일정기간 단지 그들을 바라봐줌으로써 마음을 열게 하는 아름다움을 공유합니다. 가만히 서서 식물들 곁에 머무르세요. 침묵의 기운과 경이로움과 삶의 에너지가 느껴질 것입니다. 인간들은 이런 생명력과 아름다움, 무에서 탄생했습니다.


온몸으로 그것을 느끼려고 노력해보세요. 누가 이것을 만들었을까? 누가 당신을 만들었을까? 누가 전 세계를 만들었을까? 그러한 침묵의 에너지 속에서, 우리는 모두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될 거에요. 모든 하나의 창조물도 하나의 분자세포와 같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증오나 분열이 어디에 있습니까? 그 아름다운 생명력에 집중하며 가만히 머물러 보세요.


 


 

2010-09-02


Plants Speak on Love and death


 

- May I ask your feelings about the death?


= Indeed. Plants always know the only answer to any question is love.


If love covers the plains, seeds grow. That is clear. Then Suseonjae needs love to grow its fields and raise new seeds. Love has no conditions. It is a state of itself where purity is as is.


Love requires emptiness and belief. Why are these so hard to have? One must be in a simple and pure state to maintain them. It is a state where you don’t try to achieve or get something. A state of being here and now is love and belief. That is a plant. That is nature. Learn from nature and you can quickly find the secrets to life- love and belief.


- How do plants feel about death?


= When you pull off a leaf, the pain is insufferable. When you pull off the branch, the plant no long wants to go on. But death comes to everyone. There is always a reason and a cause, and a lesson as well. Plants accept their fate and understand their role, but only wish for more understanding and better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So humans can learn from love nature?


=It’s the fastest way. Are you not born from nature and love? If you can truly look at nature with your original eye, you’ll feel and re-discover love. Can’t you remember the love you were born from?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nature, you can feel that love again for fellow trainees and humanity, and save humankind.


Plants are here to help you. We can help heal your pains that you have suffered on the earth through human relationships. You can always trust plants. We trust you. Will you now learn to treat nature well too? Humans have forgotten the giving and loving relationship with nature, humans, heaven. All areas are needed.


-Specifically, how can we learn about love?


=Plants represent everything humans want. They share beauty that can open any heart just by staring at them for a period of time. Stay fixed on a plant. An aura of silence, magic and life energy can be felt. Humans came from this same life force, beauty and emptiness.


Try to feel that with your whole body. Who made this? Who made you? Who made the whole world? In that silent energy force, we are all one. Every single creation is united as one molecular cell. Where is hate or division? Stay focused on that beautiful life force.

조회 수 :
71
등록일 :
2011.02.23
18:29:2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21/11711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크기 제한 : 2.00MB (허용 확장자 : *.*)
옵션 :
: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45 2009-03-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6 2009-03-14
81 강좌 12. 척신의 사례 file 맑은바람 29 2008-10-05
*척신의 사례 - 학생의 공부 방해 그 다음 학생들한테는 어떤 식으로도 하느냐면요, 야~ 저 이거 끌르는데 일년 걸렸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졌었느냐 하면, 애가 고 3인데 잠을 자게 만드는 거예요. 고3인데 잠자게 만드는 겁니다. 도장을 오고 난 다음에 고3...  
80 강좌 9. 理神事의 법칙 file 맑은바람 35 2008-10-05
* 理神事의 법칙 자, 그렇게 해서 일단 신명세계를 우리가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제 더 중요하게 들어가야 되겠죠. 이 신명세계가 더 중요한 것은, 신명 따로 있고, 나 따로 있고 하면 뭐 아무 상관 없잖아요. 아, 죽어서 저기로 가는 구나. 문제는 신명계와 ...  
79 강좌19. 수행의 효과와 자세 file 태일[太一] 40 2008-10-04
* 수행의 효과 그러면 이거 수행을 하면은 어떤 일들이 벌어지느냐면 수승화강이 되거든요. 수승화강 들어보셨죠? 그죠? 신장에 있는 수기운, 심장에 있는 화기운 있습니다. 뜨거운 기는 계속 올라가요, 찬 기는 계속 내려갑니다. 이래 됩니까, 그죠? 화기운 ...  
78 강좌 3. 죽음의 질서 file 태일[太一] 43 2008-10-05
* 사람이 죽음의 질서에 들어가면 자, 우리 인간이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하는 것을 제 강의의 서두를 내면서, 우선 그 안전벨트에서 인간의 몸이 분리되는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있거든요. 제 영상물은 그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자, 그거 하나 잠시 ...  
77 [★동영상★ ] 영혼의 존재를 인정할수 밖에 없는 임사체험 file 태일[太一] 44 2008-09-30
가수이자 주부였던 팸 레이놀즈가 수술도중 몸밖으로 자신의 영혼이 튕겨져 나가 모든 수술실의 장면을 지켜보게 됩니다. 두개골을 절단할 때 썼던 톱의 모양이며 수술도구들 그리고 의사들의 대화내용까지도 모두 나중에 이야기하는 것이 수술당시의 기록과 ...  
76 강좌 8. 윤회하는 삶 file 맑은바람 51 2008-10-05
* 윤회하는 삶 그래서 이 세계 속에 있으면서 1천, 2천은 굉장히 어둡고, 흔히 범죄자나 이기적인 집단들이 가고, 3, 4천 이렇게 간다고 그랬죠. 그래 이 속에서 숙명적인 사람들은 윤회를 하게 됩니다. 윤회, 아까 시간에서 윤회는 인간이 성숙하기 위해서 ...  
75 신도세계의 구조 file 태일[太一] 53 2011-06-09
신도세계의 구조  신명이란?  요즘 세태는 보이지 않는 것은 믿지 않으려고 하는 극단적인 과학주의에 빠져 있습니다. 이것도 음양(태극)의 원리로 설명하자면 감성으로 대표되는 정신이 최저점에 와 있는 반면에 과학적 이성으로 대표되는 물질은 최고점에 ...  
74 제사는 내 생명의 뿌리에 대한 보은 file 태일[太一] 54 2011-09-09
제사는 내 생명의 뿌리에 대한 보은 그러면 돌아가신 우리 조상님들, 이승을 떠난 사람들은 지금 천상에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또 이미 돌아가신 그 분들이 나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하늘에는 조상들의 웃어른이 다 있느니라.  사람은 죽어서 신명...  
73 강좌20. 마무리 file 태일[太一] 55 2008-10-04
* 마무리 자, 오늘 이렇게 해서 제가 여러 가지 말씀 드렸는데 기억 나십니까? 사람의 참모습이 있었고, 그 가는 신도 세계가 있었고 거기서 윤회의 의미, 성숙을 위한 윤회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그죠? 제일 중요한 것은 그 신도세계와 내가 맞물려서 서로 영...  
72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file 태일[太一] 58 2010-10-06
자기성숙을 향한 긴 여행, 윤회  삶과 죽음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道典 2:109:7∼9)    인간의 죽음이란 곧 신명으로의 탄생이며, 신명...  
71 강좌 1. - 시간의 존재 :::: 들어가기 file 태일[太一] 60 2008-10-05
강사 : 정명희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 시간의 존재 예, 오늘 이 야심한 밤에 하필이면 신관인데. 흔히 말하는 귀신 얘기 해야 되는데. 이 야심한 밤에 정말 분위기가 참 좋은 거 같습니다. 저는 누구를 만나든지 시간에 관한 이야기를 굉장히...  
70 인간완성의 길 윤회 file 진리의 빛 60 2009-06-05
윤회란 인간이 완성으로 가는 하나의 과정입니다. 사람이 무수한 전생을 경험한다는것은 그만큼 성숙해졌다는 의미와 같지요 흔히들 경험많은 사람들이 좀더 성숙한자세를 보이는것을 알수가 있듯이 수많은 전생체험을 했다는것도 마찬가지로 그 경험의 일체...  
69 명의(名醫)와 역질신명과의 한판 대결 file 태일[太一] 60 2020-02-01
명의(名醫)와 역질신명과의 한판 대결  당시 명성이 자자한 어느 의원이 있었다. 하루는 그 의원과 각별히 지내는 제상의 외아들이 병에 걸렸다. 물론 그가 약을 쓰게 되었는데, 진맥을 해보니 불행히도 역질신명에게 잡혀갈 아이였다. 원래가 편작과 같은 재...  
68 [명부이야기] 저승세계의 생활 모습 맑은바람 61 2008-09-23
이 글은 1945년경 중국의 유명한 재판관인 여주선생이 구술하고 임유양이 기록한 것으로, 여주선생이 실제 살아서 저승에 가서 명부 재판관을 지냈다는 믿기 어려운 실화입니다. -원제 : 유명문답록(幽冥問答錄)- ⊙ 저승에서는 어떻게 이승 사람을 써서 저승...  
67 조상님이 자손을 살리다 file 태일[太一] 64 2011-10-14
"지진이 나면 무조건 높은 곳으로 피해라" "갑자기 물이 빠지면 그만큼 다시 온다" 지난 쓰나미 해일때 살아남은 사람들은 그들의 조상대대로 전해내려온 당부를 잊지않았기에 무시무시한 쓰나미로부터 무사할 수 있었다. '경험'에 의해 대대로 내려온 조상들...  
66 움직이는 수행, 고요한 수행 file 태일[太一] 64 2012-07-25
움직이는 수행, 고요한 수행 동공(動功)과 정공(靜功) 동정(動靜)의 문제 옛적에는 불가에서 앉아있는 것, 즉 가만히 있는 것을 정(靜)이라고 했고, 수행은 그런 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주역 「계사전」에 ‘적연부동(寂然不動) 감이수통(感而遂通) 천...  
65 강좌 4. 신성의 존재 유무 file 태일[太一] 66 2008-10-05
* 신성의 존재 유무 그러면 영혼이 있느냐, 없느냐. 이런 말 굉장히 많이 했는데, 소련에서 이미 영혼이 있다, 없다. 이게 인제 구시대의 유물입니다. 그죠? 사람이 죽기 직전과 그 다음 죽은 후에, 밑에다, 뭐죠? 저울을 달아가지고 무게를 재봤거든요. 그 ...  
64 우리 민족이 신을 ‘삼신’으로 불러온 이유 file 태일[太一] 66 2012-10-20
우리 민족이 신을 ‘삼신’으로 불러온 이유 일신은 삼신 천지 개벽은 무無가 스스로 자화함으로써 열린 최초의 창조사건이다. 창조된 천지는 곧 영적인 대광명으로 둘 러싸이게 됐다. 영적인 대광명은 바로 하늘과 땅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신神...  
63 강좌 6. 죽음 직후의 현상 file 맑은바람 67 2008-10-05
* 신도 세계는 우리 삶의 연장 자, 이렇게 신들의 세계가 이루어져 있는 겁니다. 그런데 특별한 건 아니구요, 인간하고 똑같습니다. 저는 귀신보다 사람을 더 무서워하거든요. 밤길 가면 사람이 무섭지 귀신 안무섭습니다. 왜냐? 길 가다가 만약에 밤길 가는데...  
62 강좌 2. 의식과 무의식 file 태일[太一] 68 2008-10-05
* 의식과 무의식 오늘 제 강의를 이해하시기 위해서 제가 제 소개부터 해야 되겠습니다. 저는 경대 간호학과를 나왔는데요, 제가 굉장히 부끄러움이 많고 하여간 성격이 너무너무 내성적입니다. 남 앞에서 말도 못하고. 그런 너무너무 힘든 성격에서 제가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