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놀라운 동양예언
미래를 내다 본 ‘예언가' 조헌

 

김진수 js@gimpo.com

 

   
▲ 중봉 조헌

김포출신 중봉 조헌 선생 인물에 대한 이미지는 그 동안 학자, 정치개혁가, 문인(시인), 의병장 등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조헌 선생이 임진왜란을 예언하고, 천문과 지리에 밝은 도가사상의 전문가였다면 조헌선생의 이미지에 누가 되는 것일까?
조헌 선생은 예언가로서 또 다른 모습을 갖고 있었음을 지나칠 수 없다. 어쩌면 학자로서, 정치개혁가로서 그의 진면목은 도가사상에 뿌리를 두었던 것이 아닌가도 생각해본다. 이 부분에 대해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예언을 했다’거나 ‘음양에 밝았다’거나, ‘점을 쳤다’거나 ‘천문지리에 밝았다’는 등의 이야기들이 붙게 되면 학자로서 인식이 평가절하 되는 편견들이 있다. 그 동안 정통 학자로서 가치를 부여해온 인물을 ‘예언가'로 규정한다면 어떻게 받아들일까?


‘예언가'로 활동한 새로운 조헌선생을 만나보자.

조선왕조실록의 선조수정실록 선조25년(1592) 8월1일자 기사는 조헌이 ‘예언가임을 말해주고 있다. 기사 제목을 보면 ‘조헌이 천문과 인사의 길흉을 헤아렸다’고 보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목으로만 보면 분명 조헌은 천문, 지리에 밝은 ‘예언가'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도통한 한학자로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이는 지금까지 조헌 선생에 대한 인식이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할 부분이 될 수 있다.

 

“<중략>그러나 그 계책이 채택되지 않자 밤마다 천문(天文)을 우러러 살피면서 통곡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온종일 먹지 않기도 하였는데, 곁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 이상하게 여겼다. 그리고 늘 처자로 하여금 무거운 것을 지고 걷는 일을 연습하게 하였으며, 또 문인(門人)으로 하여금 글을 읽는 여가에 날마다 30리씩 걷는 연습을 시키면서 말하기를 ‘머지않아 왜적의 난리를 피해야 할 것이니 이것이 시급한 업무이다’ 하였는데, 문인들이 모두 감히 어기지 못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는 일본이 조선을 침공할 것이라는 예언의 내용으로써 30리씩 걷는 연습을 시켰다는 것은 피난준비를 했다는 말이다. 상식적으로 조선의 성리학자로 볼 수 없는 행동거지다.

 

하늘의 징조를 보고 천문을 예언


 

계속해서 같은 자료의 내용이다. “<중략>신묘년(1591/선조24년) 가을에 문인 박정로(朴廷老)와 함께 금산사(金山寺) 누각에 올랐는데, 붉은 기운 세 가닥이 하늘 북쪽에 길게 뻗치고 서남쪽으로 반쯤 뻗쳐 있는 것을 보고 박정로에게 말하기를 ‘수길(秀吉)의 군사가 이미 움직였으니 내년에 틀림없이 이 기운처럼 대대적으로 침입해 올 것이다. 모름지기 일찍 피난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 하였다. 그리고는 이 해 봄에 선조의 묘소에 성묘하고 제문을 지어 제사하며 난리가 일어날 것이므로 하직한다는 뜻을 고하였다. 그 뒤 처(妻)의 장례를 치르려고 친척과 빈객이 와서 모여 있었는데 갑자기 공중에서 우레처럼 요란한 소리가 들렸다. 이에 ‘왜병이 바야흐로 바다를 건넜다’ 하고는 장례를 재촉하여 끝내고 공주(公州)로 돌아왔는데, 적이 과연 그날 우리 지경을 침범하였다” 조헌이 하늘의 징조를 보고 즉 천문 예언을 하고 있는 장면이다.
 
또한 조선 인조 때의 문신 김상현의 시문집인 청음집★
 제28권 ‘고(故) 의병장(義兵將) 증(贈) 이조판서 중봉(重峯) 조선생헌(趙先生憲)의 신도비명 병서’에도 조헌의 예언에 대한 내용이 전해지고 있다.

 

“<중략> 그러나 상소를 올린 지 3일이 지나도록 비답이 내려지지 아니하였다. 이에 선생은 주춧돌에 이마를 찧어 피가 얼굴에 흘러내렸다. 이를 본 어떤 사람이 선생께서 괜히 자신을 괴롭게만 하는 것이라고 조롱하였다. 그러자 선생은 말하기를 ‘내년에 산골짜기로 피난을 가게 되어서는 반드시 내가 한 말을 떠올릴 것이다’하였다.<중략>”라고 예언하고, 또 자료는 “선생은 <주역>의 점술에 아주 능하였다. 임진년 4월에 동남쪽에서 우레가 울리는 것과 같은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는 크게 놀라 말하기를 ‘이는 하늘의 북소리이다’하였다. 그리고 또 어느 날 밤에는 천문을 살펴보다가 북쪽을 향하여 통곡하더니 한참 뒤에는 다시 하늘을 우러러 보고 탄식하면서 말하기를 ‘나는 화(禍)가 행조(行朝)에 미쳤는줄 알았는데, 다시금 자세히 살펴보니 북쪽으로 가신 두 왕자께서 필시 적중에 빠졌겠구나’하였다. 문인들이 이를 기록해 두었는데, 그 뒤에 보니 같이 밝아서 딱 들어맞지 않는 것이 없었는데, 반드시 천리와 인심의 정도에 근거를 두고 시무(時務)와 사의(事宜)의 변칙(變則)을 참고하였는바, 이는 실로 추산하거나 억측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자료는 구체적으로 조헌이 <주역>의 점술에 능하였다고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헌의 예언 능력은 예사롭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조헌은 이 같은 예언의 능력을 어디에서, 또는 누구를 통해 배웠을까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 해답은 정철(鄭澈)의 아들 정홍명(鄭弘溟)이 인조21년(1643)에 지은 <기옹만필(畸翁漫筆)★★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중략> 조중봉(趙重峰 조헌)은 토정에게 배웠는데, 경서와 역사에 깊이 잠심하여 노력을 남보다 더하였다. 그의 저술한 글을 보면, 앞일을 아는 슬기가 자연히 부합되니, 이것이 이른바 ‘지성(至誠)은 미리 안다’는 것인가. <중략>중봉은 천문학에 밝았는데, 신묘년(1591, 선조 24) 세모에는 매양 왜구를 근심하여 전후 상소를 올린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임진년 초봄에 아내가 죽어 장사지내는데, 미처 구덩이를 덮기 전에 문득 매우 놀라 두려워하며 말하기를, ‘천고(天鼓)가 동하였으니, 반드시 평수길(平秀吉)이 군사를 일으켰다’하였다. 그리고 집안사람과 장례에 참석한 친척들에게 말하기를, ‘너희들은 각기 돌아가서 빨리 피난할 준비를 하라. 나는 죽음으로써 나라에 보답할 것이다’ 하니, 듣는 사람들이 대부분 믿지 않았는데, 얼마 안 되어서 적의 경보가 이르렀다” 고 말하고 있다.

 

이 내용으로 보면 조헌의 예언능력은 토정 이지함 선생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천문학에 전문가이고, 일본의 토요테미 히데요시가 군사를 끌고 조선을 침공할 것이므로 피난준비와 조헌 본인의 운명을 예언하고 있다. 이 예언대로 임진왜란이 일어났고, 조헌은 자신이 예언한 대로 의병들과 함께 전사했다.

 

그러면 조헌의 예언의 능력과 토정 이지함과는 어떤 인연이 있는 것일까? 그리고 토정 이지함은 그는 누구인가?

 

토정 이지함은 조헌의 스승

   
▲ 토정 이지함

 

조헌과 이지함은 어떤 관계인가? 우선 ‘토정 이지함’하면 우리에게 낯익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존재다. 이제는 그러한 풍속도 거의 사라져 버리고 없지만, 매년 해가 바뀌어 새해 정초가 되면 사람들마다 ‘올해 신수가 어떤가를, 즉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본다. 사람마다 자기 나이와 생일을 어떻게 보태고 빼고 하면서 숫자를 내고, 그 숫자에 맞추어 토정비결 책에 나온 운수풀이 수효를 읽는 것인데 이 운수풀이가 수백 년 동안 이 땅에서는 가장 많이 읽힌 책이다. 바로 이 토정비결을 쓴 사람이 이지함인 것으로 알려져 내려왔다. 더욱이 토정 이지함은 김포와 특별한 인연을 갖고 있는 인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토정 이지함 선생은 조강포 나루터에서 조수간만의 때를 측정하여 ‘조강물참’이라는 일화를 남겼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이지함 선생은 조수간만의 차이를 찾으며 강화와 유도 및 강령포구를 거쳐 조강포로 오면서, 조강포 뒷산에 있는 큰 우물 둥치에 움막을 짓고 생활하면서 달뜨는 시간과 좀생이별을 보고 밀물과 썰물의 기준을 파악했다는 것이다. 

 

토정 이지함은 1517년(중종12)에 낳아 1578년(선조11)에 사망한 예언가로 천문(天門), 지리(地理)로부터 음양(陰陽), 술서(術書)에 이르기까지 모두 도통한 한학자요, 기인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한의학의 태두이다시피 소문난 명의이기도 했으며 점을 치는 데도 귀신이요, 또 수학에도 남이 따를 수 없는 비상한 재주를 가진 사람이었다.

더욱이 이지함은 농업중심의 사회에서 상업이나 수공업 해양자원의 적극적인 개발, 국제무역까지 주장한 그의 혁신적인 사회경제 사상은 조선 후기 북학사상의 원류가 된다는 것이 최근 연구결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16세기를 대표하는 학자 이이, 조식, 성혼, 서경덕 등과 친분이 두터웠다. 특히 이지함은 서경덕의 문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학자로서 학문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추구한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지고 있다. 서경덕에게서 상수학과 <주역>을 배웠다.

중봉 조헌과 토정 이지함과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선조수정실록 선조25년(1592) 8월 1일자 기사를 통해서 확인된다.

 

“<중략> 그 뒤 성혼과 이이가 무함을 당하게 되었으나 조헌은 더욱 정철과 가깝게 지내고 이발 등과는 엄격히 교제를 끊었다. 이 때문에 당인(黨人)들이 원수처럼 여기게 되었으며, 서로 알고 아끼는 사람들까지도 그의 언론이 과격하고 처신이 고벽(孤僻)한 것을 보고는 사정에 오활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지함(李之?)만은 언제나 칭송하기를 ‘지금 세상에 초야(草野)에서 인재를 보기가 드문데, 조여식(趙汝式)만은 안빈낙도하며 명예와 이익을 털어버리고서 지극한 정성으로 임금을 사랑하며 나라를 걱정하고 있으니, 옛날 사람 중에서 찾는다 해도 실제로 그와 짝할 만한 이가 드물다. 이 사람을 빼놓고는 나는 다른 사람은 모른다’ 하였는데, 남들이 더러 그가 평론을 잘못했다고 의심하자, 이지함이 말하기를 ‘뒷날 응당 알게 될 것이니 내 말만 기억하라.’ 하였다”

 

이 내용은 조헌이 동인과 서인의 분립 과정에서 과격한 언론으로 말미암아 정치적인 어려움을 겪자 토정 이지함이 조헌의 인물됨을 피력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조헌과 이지함 사이가 특별한 사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더욱이 토정 이지함은 후에 조헌이 어떻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말하고 있다.

 

조헌은 1570~71년 무렵 파주ㆍ홍부목의 교수직으로 관직 생활을 하면서 이들과 사제관계를 맺었다. 1571년 홍부목에 있을 때 그는 토정 이지함의 학식이 대단함을 알고 찾아가 사제의 인연을 맺고 가르침을 청했다. 이때 이지함은 스승으로서는 이이, 성혼, 송익필, 학우로서는 그의 조카인 이산보와 서기를 추천했다고 한다.

 

특히 우계 성혼은 조헌이 27세(1570)에 파주목 교수가 된 후 직접 우계를 찾아가 학문을 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헌은 스승인 우계 성혼에게 우주만물은 물론 길흉화복까지도 꿰뚫을 수 있다는 역경(易經)을 가르쳐 줄 것을 청하자 성혼이 수락하여 가르쳤다. 

조헌은 율곡과 우계 성혼에게서 <주역>을 배운 뒤 미래의 일을 점치는 것이 능통하였으며, 천문과 지리에도 밝아 실제로 인사에 활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1589년 11월4일 유배에서 풀려난 뒤 올린 <청절왜사제삼봉사>에서 조헌은 천문을 관측하여 병란의 조짐이 있음을 살피고 왜란의 침입을 경계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조헌, 27세 차 스승 이지함과 돈독한 우정

조헌은 이지함을 가장 존경하는 스승으로 받들었다. 선수19년(1586) 10월 1일자 기사에서 조헌은 붕당의 시비와 학정의 폐단을 논한 상소문에서 스승 이지함에 대해 얼마나 존경의 마음을 갖고 있었던가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중략> 이지함은 제자들을 가르치고 깨우치는데 더욱 힘을 기울였다. 이산보(李山甫)(이지함의 조카)의 효우충신(孝友忠信)과 박춘무의 염정자수(焰靜自守)가 모두 이지함에게서 근원하였으며, 심지어 서기 같은 사람은 천민 출신으로 가난하여 학문에 전념하지 못하자 재물을 아끼지 않고 도와주어 성취시켰다’라고 하여 제자들을 기르는 데 힘을 기울인 이지함의 열정을 소개하고 국가적으로 치제해야 할 인물임을 역설한다.

 

상소문에서 조헌은 이지함의 뛰어난 행실을 칭송하고, 이지함이 조식과 정신적인 교제를 돈독히 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결론적으로 이지함이 문무의 재능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 국가의 쓰임에 대비하고, 밝은 시대에 벼슬길에 나아가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작을 추증하고 제사를 지내줌이 마땅하다고 건의한다. 이처럼 조헌은 이지함을 평생의 스승으로 삼은 골수 ‘이지함맨’이었다.

 

조헌은 이지함에 대해 ‘선생의 동정과 언행은 모두 처세의 교훈을 암시해주었다’고 격찬하였으며, 이지함 역시 조헌의 재능을 인정하고 있었다. 당시 이지함은 조헌에 대해 ‘세상 사정에 어둡고 능력이 없다’는 평판이 나돌자 이에 대해 반발했고, 조헌이 늘 자기 분수를 지키면서 왕을 아끼며 나라의 운명을 걱정하는 우국충정을 높이 평가했다. 이지함은 또한 ‘다만 여식(조헌의 자)이 나를 스승으로 하는 것을 알뿐 여식이 진정 내 스승인 물은 모른다’라고 하여 27세의 나이 차를 극복하고 자신이 조헌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는 점을 암시했다. 둘은 비록 세대는 달랐지만, 학문과 사상, 현실 인식의 측면에서 그야말로 동지관계였던 것이다.


조헌의 예언가 계보

<동패락송>과 같은 야사에도 조헌이 이지함과 함께 자주 등장한다. 토정 이지함의 스승은 이사연(李思淵)이다. 이사연의 호는 운홍(雲鴻)으로 조선시대의 대표적 도가서인 <청학집(靑鶴集)>에도 등장하는 인물이다.

 

<청학집>은 조여적(趙汝籍)이 1588년(선조21) 과거에 낙방하고 실의에 빠져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사연을 만나 그 문하에 들어가 60여 년간을 스승으로 섬기면서 견문한 선가(仙家)들의 행적을 집성한 도가서이다. 이 책에서는 이사연의 스승을 청학산인(靑鶴山人) 위한조(魏漢祚)라 하였고, 이지함은 위한조의 제자로 계보화 해두었다.

 

이사연의 4대손인 이의백(李宜白)은 저서 <오계집(梧溪集)>에서 조헌이 미래의 일을 알 수 있게 된 것은 운홍(이사연)에게서 전수받은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종합하면 이지함과 조헌은 <청학집>에 나타난 도가의 계보를 매개로도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예언가로서의 면모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또한 누구도 조헌의 예언가로서의 진면목에 대해서 관심을 갖지 않았다.

 

조헌이 토정 이지함과 스승과 제자 관계였다는 것과 두 사람 모두 도가사상의 뿌리인 이사연의 제자라는 사실이 조헌을 재평가해야 하는 근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지금까지 학자와 문인, 그리고 나라를 위해 싸운 의병장의 모습으로 고정화된 조헌에 대해 ‘예언가'로서 새로운 가치평가를 시도해야하지 않을까?

 

중봉 조헌은 예언가로서 조선의 미래를 바라보았고, 그리고 자신의 죽음도 보았기에 그 운명을 받아들인 것이다.

 

★청음집[淸陰集]   조선 인조 때의 문신·학자 김상헌(金尙憲)의 시문집. 목판본. 40권 14책. 1861년(철종 12) 간행. 권1∼8은 시(詩) ·가곡(歌曲), 권9는 조천록(朝天錄), 권10은 청평록(淸平錄), 권11∼13은 설고집(雪集), 권14는 표전(表箋) ·교서(敎書) ·상량문 ·책문(策文), 권15는 애사(哀辭) ·제문 ·명(銘) ·찬(贊) ·송(訟), 권16은 게첩(揭帖) ·국서(國書), 권17∼22는 소차(疏箚), 권23은 계사(啓辭) ·의(議), 권24∼29는 비명(碑銘), 권30∼33은 묘갈(墓碣), 권34∼35는 묘지(墓誌), 권36은 묘표(墓表), 권37은 행장(行狀), 권38은 기(記) ·서(序), 권39는 제발(題跋) ·잡저, 권40은 서독(書牘)으로 되어 있다. 효종 때 편간(編刊)된 후 여러 판본(版本)이 전해지는 가운데 조천록과 설고집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중에 저자가 편찬한 것으로, 저자의 서(序) ·발(跋)과 이강선(李康先)의 문집 서, 장연등(張延登)의 조천록 서문 등이 실려 있다.

★★기옹만필[畸翁漫筆]   조선 인조 때의 문신으로 정철의 아들인 정홍명(鄭弘溟)의 수필집. 사계 김장생의 제자.  필사본. 1책.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선학(先學)에 대한 평어(評語), 시문(詩文)에 관한 설화, 친지와 고구(故舊)의 일화, 선친 정철(鄭澈)과 스승 김장생(金長生) 및 이들과 친교가 있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 등이 수록되었고, 간혹 중국의 시문과 문헌에 관한 평해(評解)도 들어 있다. 1643년(인조 21)에 편찬되었으며, 《대동야승(大東野乘)》에도 수록되어 있다.

조회 수 :
350
등록일 :
2010.06.17
19:01:2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19/106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38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42
공지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우주1년과 가을개벽 file 태일[太一] 1124
143 고대중국의 사상사 순자는 말세론에서 말세의 징후를 5가지로 제시했다 file 태일[太一] 233
고대중국의 사상사 순자는 말세론에서 말세의 징후를 5가지로 제시했다 순자는(荀子/BC 298~BC 238) 경의 인물입니다. 순자에서 자(子)는 씨, 근본(根本)의 뜻입니다. 인간의 근본이되며 사람다운 사람을 만들어내는 사람을 말합니다. 씨앗이 땅에 떨어져 일월...  
142 성배의 민족은 누구인가 file 태일[太一] 234
성배의 민족은 누구인가 성배의 민족은 바로 이 혼돈을 극복할 새 삶의 ‘원형의 예언자 집단’이다. 이미 고인이 된 독일인 루돌프 슈타이너(1861-1925) 는 러시아의 브라바트스키에 이은 유럽 최고의 대신비가였다. 유럽 녹색운동과 유기농운동,그리...  
141 [예언-신지비사]'구변지도'끝에 이루어지는 '대한' file 태일[太一] 237
[예언-신지비사]'구변지도'끝에 이루어지는 '대한' 9천년 역사를 이어온 우리 한민족의 국운을 예언한 위대한 인물이 있다. 바로 고조선 6대 달문 단군(BC2083-BC2048) 때의 신지神誌 발리發理이다. 그는 대우주의 조화옹하나님이신 삼신상제님을 예찬하고, 한...  
140 숭례문을 만들 당시 정도전이 태조 이성계에게 한가지 예언! file 태일[太一] 239
숭례문을 만들 당시 정도전이 태조 이성계에게 한가지 예언을 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내가 만든 숭례문이 훗날 불타 소실될 날이 올것이니, 이 징조는 한양이 그 운을 다하고 수명을 다한 것을 알리는 것이며, 국운도 곧 쇠태할 것이...  
139 "원효대사 결서--해도금묘장" 태일[太一] 240
"원효대사 결서--해도금묘장" 이 비결서는 서기 827년 정미년에 문무대왕의 해중릉으로 알려진 대왕암에 봉안되었다가 1967년 정미년에 다음과 같은 사연으로 세상으로 나오게 되었다. 박정희가 경주를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조성하는 문제를 놓고 여러 관료...  
138 일본 도쿄 포기설, 송하비결 "이국천도, 광랑입경" 예언대로 인가요? file 태일[太一] 242
일본 도쿄 포기설, 송하비결 "이국천도, 광랑입경" 실현되는가 일본의 도쿄 수도 포기설 일본의 도쿄 수도 포기설이 솔솔 흘러나오는 모양이군요. 日?新聞は以下のような報道をしています。 <닛케이 신문>은 다음과 같은 보도를하고 있습니다. 《首相官邸》 "...  
137 인류문화사 최초의 계시록 천부경 file 태일[太一] 243
HD 환단고기 북콘서트 세계환단학회 연세대 천부경 편ㅣ인류문화사 최초의 계시록 천부경 https://youtu.be/Mju5w5eD8QQ ★ 개벽,역사,영혼,수행 관련 생존비밀 무료소책자 → 신청 바로가기  
136 영화 "일본 대침몰"로 보는 한반도의 미래 file 태일[太一] 245
요즘 일본에서 지진이 많이 나고 있죠? 그 여파가 부산까지 오고 있는데 정말 걱정됩니다. 오늘은 80년대초 왜놈들이 만든 일본침몰에 대한 영화의 일부를 감상하겠습니다.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영화, 일본침몰 中) “일본이 침몰하면 거대한...  
135 [일본침몰] 한순간에 가라앉을 수밖에 없는 이유 file 태일[太一] 250
[일본침몰] 한순간에 가라앉을 수밖에 없는 이유 :/*/*/*/*/*/*/*/*window.open*/*/*/*/*/*/*/*/('image_view.php?image_id=14878', '', 'scrollbars=yes,width=680,height=565');"> * 아래의 글은 김용욱(한국동력자원연구소)님이 쓰신 글 그 내용 중에 일본...  
134 유난히 동서양 예언 중에 겹치는 것 file 태일[太一] 255
유난히 동서양 예언가들의 예언 중에 겹치는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일본은 반드시 침몰한다는 이야기 인데요~ 그것을 증명하는 영화나 과학적 증거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일단 일본침몰을 예언한 예언가들에 대해서 볼까요 ~? 예언가들이 경고하는 일본침몰...  
133 미국 NBC에서 방영된 '예언의 세계' 내용 file 태일[太一] 259
미국 NBC에서 방영된 "예언의 세계내용......고대비빌예연 1994년 4월 미국의 4대 방송사 중 하나인 NBC에서는 일요일(10일) 오후8시 황금시간대에 (고대의 예언들(Ancient Prophecies))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여 미국 시청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던져준 바...  
132 금산사 시루의 비밀 file 태일[太一] 263
금산사 시루의 비밀 금산사에 크레인까지 가져가서 찍은 영상입니다. 그동안 미륵불상밑의 시루는 사진으로 밖에 못봤는데 상세하게 촬영돼 있습니다. 이 촬영을 하는날이 수능시험날이라 아줌마들과 할머니들이 많이 와있네요. 하도 만져서 맨질맨질하게 시루...  
131 <송하비결> 북한의 국지적 전쟁 예언 file 태일[太一] 266
<송하비결> 북한의 국지적 전쟁 예언 북한의 대남 위협 발언 올 2012년 들어, 북한의 위협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 4월에는 조선중앙TV에서 "3~4분안에 남한 초토화", 하겠다고 했고, 인민군 최고사령부 명의로는 "혁명무력의 대남 특별행동이 곧 개시될 것"이...  
130 마이산 탑사의 3가지 불가사의 file 태일[太一] 266
마이산 탑사의 3가지 불가사의 첫째는 이갑룡이란 도인이 1884년부터 1914년까지 30여년간 쌓았다는 80여기의 탑, 제갈공명의 팔진도법을 응용해 쌓았다는 이 탑들은 천지탑 일광탑, 월광탑, 중앙탑 용탑 등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갖고 있다. 각기 다른 탑형은 ...  
129 60년주기로 되풀이되는 역사 file 태일[太一] 268
[김상회 풍경소리]60년주기로 되풀이되는 역사… 위기를 기회로 삼기를 역술의 세계는 한 개인의 운명을 가늠해보는 명(命), 어떤 사안이나 사물의 추이와 길흉을 점치는 복(卜), 질병을 치료하고 심신의 건강을 도모하는 의(醫), 인상이나 풍수지리 등이 인생...  
128 한국의 미래! file 태일[太一] 269
한국은 세계 일등국이 되리라 !   1.공자   「간(艮)은 동북방(나라로는 조선을 말함)을 상징하는 괘이니, 만물이 열매를 맺어 종지부를 찍음과 동시에 시작(새출발)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따라서 조물주의 창조의 이상섭리가 간방에서 이루어진다.」 艮 東...  
127 2012년, 北이 지구를 멸망시킨다? file 태일[太一] 271
【서울=뉴시스】신동립의 잡기노트 <181> = 자고나면 지진소식이다. ‘아바타’만 안 나왔어도 영화 ‘2012’의 공포는 현재진행 형일는지 모른다. 호환, 마마, 지진보다 무서운 것이 휴전선 위쪽에 똬리를 튼 김씨조선이다. 종말론에 대입하면 곧 인류의 주적이...  
126 [밀레니엄 대예언] 불법의 바퀴가 멈췄다! file 태일[太一] 277
[밀레니엄 대예언] 불법의 바퀴가 멈췄다! 모든 물체는 추진력을 상실하고 멈춰 버릴 수밖에 없다는 엔트로피 법칙은 물리학에만 고유한 것이 아니다. 불법의 수레는 멈춘다 부처의 추종자들은 진실, 즉 다르마法의 운행도 힘을 잃고 소멸할 수밖에 없다고 믿...  
125 화개살 낀 2009년, 큰 별 5개 떨어진다 file 태일[太一] 278
“화개살 낀 2009년, 큰 별들 질 운세” 역술인들 “자살 등 피 부르는 백호살 겹쳐” 채현식기자 hschae@munhwa.com 기축(己丑)년인 2009년 들어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등 ‘큰 별’들이 줄줄이 세상을 떠나면서 올해 한국의 명리학...  
124 『진인도통연계(眞人道通聯系)』 file 진리의 빛 282
『진인도통연계(眞人道通聯系)』 주장춘(명나라 신종때 절강성 오흥현사람. 자는 대복 신종 만력 때(1573-1620년)에 진사에 올라 형주부사까지 벼슬 오름. 저서로 관자각이 있음) 山之祖宗은 昆崙山이니 原名은 須彌山也라. 산의 근원은 곤륜산이니, 곤륜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