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미스테리5.gif

놀라운 동양예언

최수운 대신사-동학의 진정한 의미와 그의 예언

[한국의 창종자들]동학은 근세 민족종교의 시발점
혁명의 실천에서, 사회운동과 문화·정치·이념에까지 영향

수운이 수행하고 득도한 경주 용담정. 정자는 최근 새로 복원했다.

동학을 세운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3)는 경주 인근 몰락한 양반의 늦둥이로 세상에 났다. 어릴 적 이름은 복술이, 본명은 제선(濟宣)이고 자는 도언(道彦)이다. 그는 자신의 시대만큼 불우한 삶을 살았다. 여섯 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열일곱 살에 아버지를 잃었으며, 스무 살 때 얼마 되지 않은 가산마저 모두 불에 타버렸다. 이듬해 가족을 처가에 맡기고 행상으로 전국을 유랑했다. 10년을 떠돌며 그가 본 것은 길 잃은 조선의 절망이었다.

그는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에서 “임금과 신하와 아비와 자식이 제 도리를 하지 못하는” 시대에 팔도를 다 돌아봐도 “혹은 궁궁촌을 찾아가고 혹은 만첩산중에 들어가고 혹은 서학에 입도”하여 서로 옳다 주장하지만 맞지 않음을 느꼈다고 적고 있다.

체제의 모순은 극에 달했고 무력을 앞세운 서양 세력이 곳곳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현실 속에 국가는 이미 붕괴 직전인 위태로운 현실을 절감했다. 사람들은 각자 살길을 찾아 옛 예언서를 들고 우왕좌왕하거나 서학(西學)인 천주교에 귀의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세상은 마음 둘 곳을 잃어버렸다.

유랑을 끝낸 그는 처가로 돌아와 농사를 지으며 한동안 조용히 지냈다. 일상 중에 몇 차례 종교적 신비를 체험하자 본격적인 종교 수련에 나서기로 했다. 비몽사몽간에 금강산에서 왔다는 승려에게 49일 동안 기도하라는 말을 듣고 난 후다. 해를 넘겨 서른세 살에 양산 통도사 내원암에서 수도의 길에 발을 내딛고, 이듬해 산 속 동굴에서 49일 동안 간절한 기도를 마쳤다.

최제우, 경주 인근 몰락 양반가 늦둥이

수운 최제우 초상.

이후 가족을 이끌고 다시 고향마을 용담으로 돌아갔다. 불타버린 집 대신 부친이 세운 용담정 정자에 머물며 도를 얻지 못하면 세상에 나가지 않을 것을 결심했다고 한다. 그때까지 쓰던 제선이란 이름을 버리고 수운(水雲)이란 호를 짓고 제우(濟愚)로 이름을 고쳤다. 용담정에서 새로운 존재로 거듭난 셈이다.

1860년 4월 최제우는 기도와 명상 속에서 드디어 한울님을 만났다.

한울님은 “나의 마음은 너의 마음(吾心卽汝心)”이라는 진리를 들려주었다. 줄곧 찾아나섰던 구세와 구원의 길이 시작됐다. 비로소 ‘사람이 하늘(人乃天)’이며 ‘천심이 곧 인심(天心卽人心)’이라는 새로운 가치와 깨달음이 그의 마음속에서 드러난 것이다.

서울대 종교학과 윤이흠 명예교수는 최제우의 자각이 갖는 의미를 “동양정신사의 일대 전환”이라고 지적한다.

“유교나 불교와 같은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이 지배하던 시기가 지나갔고 서양의 종교가 지배하는 것도 아니며 그야말로 새로운 길의 시작을 알린 것입니다. 장엄한 개벽의 새 시대가 오는 것을 예측하고 그 대응으로 최제우는 동학을 제시했습니다.”

여자종을 면천시켜 수양딸로 삼아
모든 것이 끝장나기를 바라던 고통의 세월은 선천개벽의 시대로 막을 내리고, 지상천국이 이루어지는 후천개벽의 시대가 시작됐으니 이는 최제우 자신이 얻은 도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도를 “지금도 들어보지 못하고 옛날에도 들어보지 못한” 무극대도(無極大道)라 표현했다.

남존여비 반상차별의 유교체제와 달리 그의 도 안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존재였다. 깨친 지 1년이 지나자 아내인 박씨에게 처음으로 도를 권했다. 집안의 여자종을 면천시켜 수양딸과 며느리를 삼으니 주변의 관심이 쏠렸다. 소문을 듣고 사방에서 가르침을 구하려고 몰려들었다. 후에 동학 2대 교조가 된 해월 최시형(海月 崔時亨)도 그 무렵 용담을 찾아와 제자가 됐다.

새 시대를 갈망하던 민심이 그를 주목하자 기득권층과 유생들은 당연히 의심의 눈길을 보냈다. 여기저기서 비난이 빗발치자 그는 전라도 남원의 작은 암자 덕밀암으로 몸을 피한다. 조용히 경전을 저술하여 자신이 얻은 바를 정리하는 시간을 맞았다.

당시 세상의 의심은 그의 가르침이 천주를 섬기는 서학과 상통한다는 것이다. 최제우는 ‘권학문(勸學文)’을 지어 자신의 도를 ‘동학(東學)’이라고 밝혔다. “내가 또한 동방에서 태어나 동방에서 도를 얻었기에 도는 비록 천도이나 학은 동학이다(道雖天道 學則東學).” ‘무극대도’는 비로소 ‘동학’이라는 이름을 얻어 세상 속으로 번지고 있었다.

이때 그의 행적 중에 주목할 만한 것은 칼을 노래하는 ‘검가(劍歌)’를 짓고 칼춤을 추었다는 사실이다. 칼춤은 동학의 수도 방법으로도 널리 퍼졌다고 전한다. 경상감사 서헌순은 동학에 대한 동태를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하루는 ‘요사이 바다 위에 배로 오고 가고 하는 것은 모두 서양인들인데 칼춤이 아니고는 제어할 수 없을 것이다’라며 검가 한 편을 주었습니다.”

최제우는 남원 교룡산성에서 반 년 정도를 머물다가 해를 넘겨 경주로 돌아갔지만 분란과 체포가 기다리고 있었다. 교인이 점차 늘자 독창적인 신도 조직을 만드니 접(接)이라는 체계다. 도를 전한 사람이 접주(接主)가 되어 신앙조직인 접을 이끌어가고 후일 동학농민혁명 때는 접을 묶어 포(包)라는 조직을 만든다.

들불처럼 번지는 세력과 조직은 체제를 위협하는 불온세력으로 의심받기에 충분했다. 각지의 유생이 나서서 탄원하자 드디어 관이 나섰다. 조정의 명을 받은 선전관 정운구는 동학을 조사하러 경주로 향했다. 정운구는 왕에게 올린 보고서에서 “문경새재를 지나 경주까지 이르는 고을마다 동학 이야기와 주문 소리가 그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적고 있다.

선전관이 올 것을 알고 신도들이 수운에게 피할 것을 권하자 그는 “도가 나에게서 나왔으니 내 스스로 당할 것이다. 어찌 몸을 피하여 그대들에게 누를 미치게 하겠는가”라는 말을 남겨 닥칠 운명을 기다렸다고 전한다. 용담에서 최제우와 23인의 신자가 체포됐다.

고종시대사 1집에 나온 1864년 3월 2일자 기사에는 승정원 일기와 고종실록을 참조하여 ‘동학교조 최제우의 목을 베고’라는 기사에 “최제우 등은 서양의 술수를 따라 명목을 옮겨 어리석은 백성을 현혹함으로써 황건적과 백련적과 같은 류라 하여 경중에 따라 처리하였다”고 적었다. 망해가는 국운을 앞두고 허약한 왕조는 동학과 최제우를 종교를 빙자하여 나라를 전복하려는 반란의 무리로 파악한 것이다. 그의 가르침은 그만큼 두렵게 다가오고 있었다.

곧 새 세상이 온다는 개벽의 예언을 남기고 깨달아 도를 편 지 4년 만에 최제우는 세상을 떴다.
그러나 그의 가르침을 좇아 열렬히 세상을 바꾸려 한 동학의 교도들은 순교를 피하지 않고 줄을 이었다. 뉴스메이커 /김천<객원기자〉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할 한 가지가 있습니다.


하늘에서 대인이 내려올 때는 반드시 그 길을 열어 새 시대를 준비하는 인물이 먼저 나오게 됩니다. 최수운 대신사는 우주의 통치자 하느님께서 이 땅에 오시어 무극대도를 열고 천지를 개벽하여 새로운 세상을 열어 주실 것을 선언한 분입니다. (道典 각주 5:96:9)

최수운 대신사(1824∼1864)가 전한 동학사상의 핵심은 시천주사상과 개벽사상입니다. 최수운 대신사가 전한 시천주사상은 아래에 나와있는 상제님의 말씀에서 그 뜻을 찾을 수 있습니다.

동경대전(東經大全)과 수운가사(水雲歌詞)에서 말하는 ‘`상제’는 곧 나를 이름이니라. (道典 2:27:9)

동학주문에 ‘시천주조화정(侍天主造化定)’이라 하였으니 나의 일을 이름이라. (道典 3:129:9)

최수운의 상제님 강세와 가을개벽에 대한 예언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을개벽

한울님 하신말씀 개벽 후 5만 년에 네가 또한 첨이로다.
어화 세상 사람들아 무극지운 닥친 줄을 너희 어찌 알까보냐.
무득대도 닦아내니 5만년지 운수로다. (용담가)

12제국 괴질운수 다시 개벽 아닐런가. (몽중노소문답가)

그말저말 다 던지고 한울님만 공경하면 아동방 3년 괴질 죽을 염려 있을쏘냐. (권학가)

최수운는 우주 1년에서 우주가 가을로 들어서는 개벽의 그 때, '전 세계에 괴병이 창궐할 것'이며 아울러 상제님의 무극대도로써 개벽을 극복하고 동서 성자들이 노래한 꿈의 낙원 세계가 성취될 수 있음을 세상에 널리 선포하였습니다.

조회 수 :
229
등록일 :
2009.10.15
19:46:0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sos.kr/xe/b19/106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완전호흡법과 태을주 수행,병란에는 태을주가 유일한 약이다. [1] file 진리의 빛 18224
공지 죽음 직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file 태일[太一] 20422
공지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우주1년과 가을개벽 file 태일[太一] 1123
83 한반도 분단과 통일의 비밀 file 태일[太一] 390
한반도 분단과 통일의 비밀 최근 남북정상회담 개최 및 8·15 이산가족 상호 방문 등을 계기로 한반도 통일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상해 총영사관에 근무하는 이상학 영사가 한반도 분단과 통일의 원리가 우리나라 태극기 ...  
82 동국참서에서 전하는 인류구원의 비결 file 태일[太一] 391
동국참서에서 전하는 인류구원의 비결|I··················동양예언비결 .bbs_contents p{margin:0px;} 마니산의 아름다운 정경 북창 정염 선생의 『궁을가(弓乙歌)』의 개벽소식 일명 용호대사(龍虎大師)로 불리는 정북창(鄭北窓, 1506∼1549) 선생은 조선 중...  
81 대가의 예언 “지금 위기는 꽃샘추위 일뿐” file 태일[太一] 398
대가의 예언 “지금 위기는 꽃샘추위 일뿐” [예언]주역학 대가의 예언 “지금 위기는 꽃샘추위 일뿐” 이 시대의 마지막 선비 김석진 선생 책 ‘우리의 미래’ **아래 내용은 브레이크 뉴스에 나온 김문수 기자의 기사를 편집한 것입니다. 일반인들은 주역 하면 사...  
80 ★ 입산 3일에 천하의 모든 일을 알게 된 정북창 ★ 맑은바람 402
입산 3일에 천하의 모든 일을 알게 된 정북창       조선시대 도가(道家) 내단(內丹)사상, 즉 단학(丹學)의 비조(鼻祖)이며, 매월당 김시습, 토정 이지함과 함께 조선 3대 기인으로 불리는 북창 정렴. 그는 상제님께서“입산 3일에 시지천하사(始知天下事)...  
79 풍수지리로 본 한민족의 미래 file 태일[太一] 403
풍수지리로 본 한민족의 미래 과거 김일성의 사망일과 그 이유를 지리(地理)의 원리로 예고하여 화제가 된 바 있는 육관 손석우의 소설 『터』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가오는 국운과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백두산은 모든산의 조종 1928...  
78 ★대전 신행정수도특별법 통과와 설총결에 나타난 대전의 비밀★ file 맑은바람 404
대전 신행정수도특별법 통과와 설총결에 나타난 대전의 비밀 원효대사 아들 설총의 미래예언 설총은 신라 경덕왕때의 대학자로서, 그의 아버지는 원효대사(617-686)입니다. 원효와 설총 두 부자(父子)는 한민족의 정신사에 큰 족적을 남기신 분들입니다. 설총...  
77 2012년 지구 대재앙’은 예언 아닌 과학 맑은바람 404
2012년 지구 대재앙’은 예언 아닌 과학 아포칼립스 2012/로렌스 E 조지프 지음, 강미경 옮김/황금나침반   김종락기자 jrkim@munhwa.com   ‘6500만년 전, 10㎞ 너비의 혜성, 또는 소행성이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떨어져 직경 175㎞에 이르는 구멍을 만들었...  
76 탄허 스님 예언] 변혁기에 벌어지는 여러현상들 file 태일[太一] 409
탄허스님의 『부처님이 계신다면』이라는 책에 소개한 역철학의 원리에 근거한 후천세계에 대한 내용을 알아본다. 탄허스님의 부친 김홍규는 증산도 초기 교단시대의 중견간부로 활약했고 그 영향으로 탄허 스님은 불교지도자 가운데 개벽과 후천세계에 지대...  
75 신비스런 한국의 예언지명 file 태일[太一] 409
신비스런 한국의 예언지명 우리나라에는 참으로 신기하게도 현대에 와서 이루어질 일을 옛날에 미리 눈으로 보고 지어 붙인 듯한 지명들이 전국에 숱하게 있다. 이미 세상에 널려 알려져 있는 것도 있으나 최근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을 시도하여 여러 군데를 ...  
74 불현듯 출세한 영암 큰 바위얼굴 2012년 새 지도자 암시 file 태일[太一] 412
▲ 영암 월출산의 큰 바위얼굴 영암 월출산의 큰 바위얼굴 앞에 선 이들은 예외 없이 입을 다물지 못한다. 근엄한 표정의 100미터가 넘는 거대한 암벽 얼굴에 절로 무릎을 꿇고 싶어진다. 세계 어디서도 찾기 힘든 규모다. 명상에 깊이 잠긴 진지한 표정을, 혹...  
73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file 태일[太一] 422
궁을가弓乙歌, ‘궁을’은 무엇인가? <궁을가>의 저자 <궁을가>의 저자는 조선시대의 도인 ‘북창 정렴’으로 알려져 있다. <궁을가>가 동학에서 간행될 때 일부 첨삭은 있었을지라도, 북창대사의 본의가 왜곡될 만큼 개작되었다고 보지는 않는다. <궁을가>의 내용...  
72 춘산채지가(春山採芝歌)가 전하는 구원의 소식 file 태일[太一] 423
춘산채지가(春山採芝歌)가 전하는 구원의 소식 1.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한민족의 위대한 예언 우리 민족의 예지자들이 들려 주고 있는 민족과 세계에 대한 대예언은, 서양이나 그 밖의 성자들이 전하는 미래의 소식과는 달리, 단순히 대개벽의 처참한 현상만...  
71 역술인들, 천안함 침몰로 본 올해 국운 file 태일[太一] 425
사회적 사고수 있으니 조심해야 경인년, 백호랑이 해를 반갑게 맞이 한지 불과 석 달만에 천안함 침몰사고가 발생하면서 2010년 국운(國運)이 불길하다는 주장이 역술인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역술인들은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지혜롭게 대처해 상...  
70 석가모니 이전 불교시대엔 우리나라가 불교종주국 file 태일[太一] 427
불교에 대해서 다음은 불교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불교에서는 석가모니가 인도에서 만든 불교를 최초의 불교라고 얘기하지 않습니다. 석가모니 부처 이전에 초대 구류손 부처, 2대 구나함모니 부처, 3대 가섭 부처가 있었습니다. 석가 부처는 네번째 부처...  
69 탄허스님의 미공개 예언 file 진리의 빛 429
탄허스님의 미공개 예언 당대 최고의 학승으로 대접받은 탄허스님은 주역과 정역(구한말 김일부가 완성한 역학)에도 조예가 깊었고, 대중에게는 탁월한 예언력으로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는 6·25전쟁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949년에 전쟁을 예지하고 피란을 ...  
68 동양예언가:조선의 예언가- 정렴 file 태일[太一] 432
동양예언가:조선의 예언가- 정렴 동양예언가 정렴은 매월당 김시습, 토정 이지함과 더불어 조선의 3대 기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사이며 다재다능한 선비였다. 그는 사상적 중심은 유교에 두고 유. 불. 선 삼교에 두루 통달했다. 물론 이런 ...  
67 日지진 예언한 탄허, 또 다른 예언은? file 태일[太一] 432
日지진 예언한 탄허, 또 다른 예언은? ▲ 탄허스님의 저서 ‘주역선해’와 ‘부처님이 계신다면’▲ 탄허스님의 저서 ‘주역선해’와 ‘부처님이 계신다면’ “인류사 열매가 한국 땅에서 맺어질 것” [천지일보=김지현·손선국 기자] 탄허(呑虛)스님이 생전에 예언한 대로 ...  
66 모든 예언의 공통점 세가지 맑은바람 435
모든 예언의 공통점 세가지 ⇒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손써 볼 수 없는 대변국의 때, 우주의 주재자분께서 인류구원을 위해 직접 강세하신다. 일명, 메시아가 오신다. ⇒ 지축정립 후 불교에서 말하는 용화낙원, 기독교의 천년왕국, 도교의 태청세게, 유교의 대동...  
65 해인이란? 죽은 사람을 살리는 기적의 도장 '해인' file 태일[太一] 437
해인이란? 죽은 사람을 살리는 기적의 도장 '해인' (동양예언, 서양예언, 해인예언) 동양인이 자기들의 거처로부터 찾아든다. 아페닌 산맥을 넘어 골(프랑스)에 다다라 하늘과 물과 눈을 넘어오리라. 누구나가 그의 지팡이로 맞으리라. [노스트라다무스] 또 보...  
64 중국 예언서 투이베이투의 3차 세계 대전 예언 file 태일[太一] 448
중국 예언서 투이베이투의 3차 세계 대전 예언 (그림설명: 투이베이투 예언 45번째 삽화) 7세기 고대 중국 당조 태종 때 천문관이며 역사가인 이순풍과 원천강은 투이베이투 라는 예언서를 남겼다. 오늘날 중국인들은 이 예언서가 프랑스의 유명한 예언가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