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시 대피, 대처 요령에 대해서 정보 공유 합시다
지진이 오기 전에
전열기와 가스기구 등은 단단히 고정한다. 전기배선, 가스 등은 제때 점검해 불안전한 부분은 미리 수리하고 가스·전기·수도를 차단하는 방법도 숙지해두면 비상 시 활용할 수 있다. 주택의 기초와 집 주변의 지반 상태를 점검해, 균열음, 진동 등 건물이 무너질 조짐이 있거나 균열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는 전문가에게 문의한다.
가족과 함께 지진에 대비한 훈련을 미리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비상시를 대비해 응급 처치법과 약품·비품·장비·식품의 위치와 사용법을 알아 두고 비상시 각자의 임무와 역할을 미리 정해 둔다. 지진 후 가족을 다시 만날 수 있는 장소를 미리 결정해 두고 다른 지역에 사는 친지에게 본인의 안전을 알릴 수 있도록 통신수단을 마련한다.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대피할 수 있는 집 주위 공터, 학교, 공원 등을 미리 알아두는 것도 좋다. |
땅이 흔들린다. 어떻게 대피해야 하나?
|
지진발생 때 불을 끌 기회는 3번이다.
1) 첫 번째 기회. 크게 흔들리기 전, 작은 흔들림을 느낀 순간에 즉시 “지진이다. 불을 꺼라.”고 고함을 질러 사용 중인 가스레인지나 난로 등의 불을 끈다.
2) 두 번째 기회. 큰 흔들림이 멈췄을 때다. 크게 흔들릴 때는 대단히 위험하므로, 큰 흔들림이 멈춘 후 또 “불을 꺼라!”라고 소리를 쳐서 불을 끈다.
3) 세 번째 기회. 발화된 직후다. 불이 나도 1~2분 이내에 소화한다면 큰 위험은 막을 수 있다. 이를 대비해 소화기나 소화용 큰 그릇을 불이 날 수 있는 근처에 항상 비치해 둔다.
|
|
2. 집 밖에서 있을 때는
|
|
|
![]() 엘리베이터에서는 안전을 확인해서 가장 가까운 층으로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피한다. |
![]() 전철을 타고 있을 때는 충격에 대비해 화물 선반이나 손잡이 등을 잡아서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
|
![]() 지진 발생 시 피난할 때는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고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
![]() 유언비어에 동요하지 말고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