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류의 역사와 함께해온 토속신앙 원시종교의 한 형태 또는 그 단계. 엑스터시[忘我·脫我·恍惚]와 같은 이상심리 상태에서 초자연적 존재와 신적으로직접 신과접촉·교섭하여, 신의뜻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신과 인간을 잇는 중개자 즉 신의심부름꾼의 과정 중에(신의개시)혹은 (영혼) 의 개시를 받아 인간에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활 로인하여 점복(占卜)·예언·치병(治病)·제의(祭儀)·사령(死靈)의 인도(引導) 등을 행하는 주술·종교적 직능자인 (무당) 샤먼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상을 말한다. 북아시아의 샤머니즘이 가장 고전적·전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역에 따라 여러 샤머니즘의 형태가 있으며, 다른 종교현상과 복합되어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어 원】
샤먼은 삼한에서 나왔고 삼한은 삼한조선 즉 고조선을 다르리던 형태로써 나라를 영토 삼등분해서 다르렸다. 중간(만주)에 진한조선 , 그리고 중국산둥산도지역에 변한조선(번한조선) 그리고 우리나라에 마한조선으로 다스렸고 진한조선의 통치자 단군이 나머지 조선의 단군을 임명했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샤먼이란 어원으로 17세기 후반 트란스바이칼 지방과 예니세이강가에서 퉁구스인(人)을 접했던 한 러시아인에 의하여 알려졌는데,
이 어원에 대하여 19세기의 동양학자들은 샤먼의 관념 내용과 병행하여 산스크리트의 승려를 뜻하는 시라마나(sramana), 팔리어(語)의 사마나(samana)에서 샤먼의 어원을 찾는 수입어설을 주장하였고, 20세기에 들어와서 J.네메스와 B.라우퍼 등은 퉁구스계 제종족 사이에서 주술사의 일종을 지칭하는 saman, saman, s’aman 등에서 유래하였다는 퉁구스 토착어설을 주장하였다.
이같이 샤먼의 어원에 대한 해설은 구구하나, 대체로 퉁구스 토착어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실제로 샤먼이란 말은 퉁구스·부랴트·야쿠트족에서만 쓰이는 말이며, 또한 샤먼의 역할이 북아시아 제 종족 사이에서는 매우 중요하고 유사하지만 샤먼을 지칭하는 명칭은 여러 가지이고, 그 의미도 다양하다.
【분 포】
본래 샤머니즘이라는 말은 북아시아의 제종족, 즉 보굴·오스댜크·사모예드·퉁구스족(族) 등 우랄 알타이 제종족과, 유카기르·축치 코리야크족 등의 고아시아족의 종교체계와 현상을 지칭한 것이었지만, 점차 종교학·민족학·인류학 등에서 세계 각지의 유사종교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샤머니즘이 처음 관찰된 곳이 시베리아이기 때문에, 샤머니즘의 지방적 의미는 일단 북아시아 제민족에서 행하는 종교현상을 지칭하는 것이 되었고, 또한 베링해협으로부터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북아시아 전역 자체 안의 ‘샤머니즘 문화파동(Schamanistsche Kulturwelle)’으로 인하여 북아시아 샤머니즘은 독자적 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샤머니즘은 가장 고전적·전형적 형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학문적 의미에서 볼 때 샤머니즘은 북아시아 이외에도 동아시아·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와 남·북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지에 분포하는 하나의 원초적 종교형태이다.
【역 사】
유럽의 일부 고고학자들은 라스코 동굴벽화에서 남서 유럽 후기 구석기시대 샤머니즘의 존재를 상정(想定)하기도 하지만 이는 단정적인 것은 못된다. 시베리아 고고학의 성과에 의하면 청동기시대에 들어와서야 희미하게나마 샤머니즘의 존재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한편 민족학의 측면에서는 샤먼의 보조령(補助靈)·보호령이 대부분 동물 모습의 정령이고, 샤먼의 복식에 해골·새·동물무늬의 모티프가 그려진다. 그리고 샤먼이 된 동기 중에, 샤먼 후보자가 해골로 화하고 온몸이 갈기갈기 찢기는 체험을 한 자가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샤머니즘은 동물층이라는 일련의 수렵민적 관념·습속에서 발생하였다고 추리한다.
또한 역사발전에 따른 사회·경제의 변천과 종교적 신앙의 변화를 동일선상에 놓고 샤머니즘의 기원을 토테미즘에서 찾는 종교사가들은, 샤먼은 원래 정령을 지배하는 일이 가능했던 토템 동물의 계승자로서,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발전하면서 토템
신앙에서 샤머니즘적 이데올로기와 의례로 진화하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대개는 샤머니즘이 계급발생 이전 시대와 식량의 수렵·채집 단계에서 생성·발달했다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입무(入巫) 무당 이 돼는과정 과 방법 및 의이】
.Q 엘리아데는 중앙·북동 아시아의 예로서 샤먼이 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이 세습이 전해지고 있다,
① 샤먼적 (무당의탄생배경) 직능의 세습적 전달에 의한 샤먼, 즉 세습무 즉 혈통주의 와 혈통의 3~4代 에 생성하는 윤회설 이동반한다(世襲巫)
② (출생당시 신의자식 으 선택된자) 신·정령의 소명(召命)에 의한 샤먼, 즉 강신무(降神巫) 탄생한다
③ 자유의지 또는 씨족의 의지에 의한 개인적 샤먼이 있다고 하는데, 이 중 세습무와 강신무가 전형적이다.
4경험으로 볼때( 出生 生月 生日 이 陰氣) 즉 (겨울생과 어두운 밤) 에태어난 운명의 소유자가 이에 해당되는 경우가 된다
세습무이든 강신무이든, 장래의 샤먼 후보자는 어릴 때부터 그 소질을 보여 매우 신경질적이고 우울하며, 민감하고 몽롱하여 환각과 황홀상태에 빠지기 쉬우며 잣은꿈 과 우울함, 음성적성격, 신경장애 뛰어난 예지력 영감발달 예측능력 화합하여 살수없는 홀로서기 등 가시밭길과같은 인생행로 와 함께 하며 평범한 일반인으로서 의 생활이 않닌 샤먼 인 으로만 인생환경이 설정된다고 한다 . 샤먼은 성별에 구애 없이 남자가 되기도 하고 또 여자가 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입무과정에서는 무병(巫病)을 심하게 앓거나 환상 경험이라는 특수한 체험을 거치게 된다.
에스키모족(族)의 예를 보면 원인 모를 병을 앓거나 혼자 고행을 하다가 환상 속에서 신·정령을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순간 이것을 경험한 사람은 신·정령과 접한 것으로 여겨 샤먼을 찾아가 병을 고친 뒤, 그 샤먼에게서 샤먼으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을 배우고 나서 독자적인 샤먼이 된다. 그런데 샤먼이 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무병이나 환상을 경험하지 않아도 되는 부족도 있다.
예를 들면 차리카우아 아파치족의 일부 샤먼은 환상을 경험하지 않고, 한 샤먼에게 학습하고 샤먼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학습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무병이나 환상을 경험한 샤먼과 비교하여 그 기능·능력면에서는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 그러나 환상·무병을 경험하는 일은 신·정령의 부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회피할 수는 없다.
길리야크족의 한 샤먼이 “내가 만약 샤먼이 되지 않았더라면 나는 죽고 말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듯이, 그들이 이러한 강제는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샤먼의 직능】
샤먼의 초자연적 능력 샤먼은 무격(巫覡)·주의(呪醫)·사제(司祭)·예언자, 신령(神靈)의 대변자, 사령(死靈)의 인도자 등으로 기능한다. 사람들은 샤먼이 엑스터시의 기술로 초인격적인 상태가 되어 초인적 능력을 발휘함을 말한다
【한국의 샤먼】
샤먼을 한자(漢字)로 무격이라고 쓰는데, 무(巫:여성), 격(覡:남성)을 차용한 말이다. 따라서 샤머니즘을 무격신앙·무속(巫俗)신앙이라 하며, 샤먼을 무(巫)·무녀(巫女)·무당(巫堂)·무자(巫子)·무복(巫卜)·신자(神子)·단골·만신·박수·심방 등으로 부르지만, 대개는 남녀의 성에 따라 박수(남성)·무당(여성)의 호칭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한국 무속의 샤머니즘 여부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긍정·부정으로 학설이 나뉘며, 또한 북부의 강신무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계통이고 남부의 세습무는 남방계의 주술사 계통이라는 설도 있으나, 무속은 그 전체가 샤머니즘이라는 것이 학계의 통념이다.
한국 무속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아주 오랜 고대사회 때부터 한민족의 주요한 신앙형태였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국조 단군이 무당이라는 설도 있지만, 무속이 문헌상에 분명히 나타나는 것은 삼국시대로서, 신라 2대왕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은 왕호(王號)이자 무칭(巫稱)을 의미하며, 이 외에도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단편적으로 무당의 기록이 보인다.
이렇듯 오랜 역사를 가진 무속은 오랜 세월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대다수 민중 속에서 크게 변질됨이 없이 존속되어 오다 일본인으 조선침략 시대 에 일본인 에 의하여 조선민족정통성 말살정책에 휘말려 미신이란 치부아래 무시당하여온 것이사실이다
오랜 우리민족으 역사와 함께 해온 민족정통 토속신앙 인 소중한우리의 유산이며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시대으 해석으로 외국 종교가 수입이되여 중요한 우리의 통속신앙 이 수입된외국 종교에 밀려서 천대받고 있는실정이며 어떤형태로 다시 조명되어야 하는것인지 우리으 자존심과 문화유산에대한 고찰이 이시점에서 다시한번 조명되여야할것이다
무당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데, 남부지역은 혈통을 따라 대대로 무당의 사제권이 계승되는 세습무가 지배적인 데 비해, 중·북부지역은 신(神)의 영력(靈力)에 의해 무당이 되는 강신무가 지배적이다. 이 같은 무당의 성격차에 따라서 무속의 신관(神觀)·신단(神壇)·제의식(祭儀式) 등 전반에 걸쳐 대조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