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은 문종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권좌에 올랐으나,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상왕위(上王位)에 있던 중 1456년(세조2년) 성삼문 등이 꾀한 상왕복위계획이 탄로나는 바람에 동년 6월 22일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 청령포로 유배당했다가, 1457년 10월 24일 17세의 나이로 승하한다. 당시 세조는 금부도사 왕방연을 시켜 단종에게 사약을 내리게 한다. 왕방연이 감히 사약을 진어하지 못하고 오열하고 있을 때, 단종을 모시던 공생(향교의 심부름꾼)이 활시위로 단종의 목을 졸라 세상을 떠나게 된다. 영월부사한테 나타난 단종의 혼령 단종은 생전에는 매우 인자한 분이었다. 그러나 너무도 억울하게 죽었기 때문인지, 그의 영혼은 천상으로 오르지 못하고 밤에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대낮에도 나타나곤 하였다. 단종이 죽은 뒤, 강원도 영월부사는 도임하기 바쁘게 연달아 죽었다. 일곱 사람이 도임 첫날밤에 연거푸 시체가 되었다. 이런 소문이 퍼지자 영월은 흉읍이 되고 폐읍이 되다시피 했다. 그 무렵 어느 조관이 영월부사를 자원하여 내려왔다. 그는 그날 밤 관속들을 물리친 다음 관복을 갖추어 입고 동헌에 촛불을 대낮같이 밝히고 혼자 앉았다. 삼경(밤 11시∼새벽 1시)쯤 되었을 때, 한 줄기 바람이 촛불을 꺼버릴 듯이 불어치더니 이윽고 벽제소리 요란히 일며 대문이 활짝 열렸다. 정신을 가다듬고 앉아 지켜보니 난데없는 소년 대왕이 곤룡포에 익선관의 차림으로 좌우에 액정 소속과 승사 각원을 거느리고 들어오는 것이었다. 이윽고 소년왕은 대청 위로 올라와 전좌했다. 이 때 부사는 단종이 나타난 줄 깨닫고 황급히 뜰 아래로 내려가 부복하였다. 그러자 단종의 혼령이 부사를 향하여 말하였다. “내가 통인 놈의 활시위에 목이 졸려 목숨을 거둔 단종이다. 내가 죽을 때 목을 올가 맨 그 활시위를 풀지 않고 함께 묻었으므로 목이 몹시 아프구나. 내 본관에게 그것을 말하고 그 줄을 좀 풀어 달래러 여러 번 왔었는데, 본관이란 자들이 모두 겁쟁이라 번번이 놀래어 죽어버렸다. 이제 너는 그렇지 않으니 매우 가상하구나. 내 목에 얽힌 그 활시위를 좀 풀어다오.” 그 말을 들은 신임 부사는 전신이 오들오들 떨리면서 소름이 끼쳤으나, 마음을 굳게 먹고 용기를 내어 물었다. “신이 전하의 분부를 어찌 소홀히 하오리까. 새삼 망극 애통하옴을 이기지 못할 뿐이로소이다. 그러하오나 전하의 용체가 어디 계시온지 알지 못하오니, 어찌하면 좋사오리까?” 그러니까 단종의 혼령이 역력히 대답하는 것이었다. “네가 나의 시체 있는 곳을 알려거든 이 고을에 엄홍도란 사람을 불러다 물어 보아라.” “분부대로 거행하오리다.” 부사의 말이 떨어지자, 일진음풍이 또 일어나더니 홀연 단종의 혼령은 간 곳이 없고 동헌은 조용해졌다. 단종의 시신을 손수 장사지낸 영월호장 엄홍도
그 이튿날 새벽이었다. 또 신임 부사가 죽었으려니 믿었던 관속들은 동헌 앞에 모여 쑥덕거리며 서로 먼저 들어가라고 야단들이었다. 염습을 하러 온 것이었다. 이 때 부사는 웃음을 참고 영창을 드르륵 열어제치며 호령했다. “너희들 게서 무엇들 하고 있느냐?” 관속들은 황황히 들어와 놀라고 기뻐하는 빛을 감추지 못하면서 엎드려 죄를 청하는 것이었다. “이 고을에 엄홍도란 사람이 있느냐?” 이 뜻밖의 질문에 모두들 의아하여 대답을 못하고 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앞으로 나서며 대답했다. “예, 이 고을 호장으로 엄홍도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계속하여 아뢰는 그의 말은 다음과 같았다. 단종이 죽던 날, 너무도 비참한 나머지 그만 금부도사는 단종의 시체를 치울 것도 잊고 황황히 서울로 올라가 버렸다는 것이다. 단종의 시체는 그 뒤로도 며칠째 그대로 방안에 방치되어 있었고, 화를 입을까 두려워하여 아무도 거두려는 사람이 없었다. 그런데 영월에 엄홍도라는 사람이 있었다. 평소 의기가 있고 충실한 성품을 지니고 있던 그는 단종의 손위(遜位)를 매우 통탄해 하고 있던 중, 마침내 큰 변을 당하여 시체까지 버려진 채 있다는 말을 듣고, 즉시 집안 살림을 모두 팔아서 수의와 판재를 마련하였다. 그러자 그의 친척과 이웃들은 후환을 우려하여 굳이 만류하였으나, 그는 아들과 함께 밤을 타서 시체를 거두러 들어갔다. 부자가 협력하여 염습과 입관을 마친 다음, 근처의 양지바른 산기슭을 찾아 장사지냈다. 그리고 그들은 몸을 감추었는데, 세조도 구태여 그들을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5) 단종의 음덕을 입어 만사형통이 된 영월부사
이와 같은 말을 듣고 부사는 곧 엄홍도를 찾아오게 하였다. 그리하여 그를 반가이 영접한 다음, 지난밤의 일이며 목에 활시위가 매어져 있을 것이니 그것을 풀어야겠다는 말을 하고 곧 단종의 시신을 묻은 곳으로 가자고 하였다. 부사의 말을 듣고 엄홍도는 매우 신기하게 여기면서 부사와 관속들을 인도하여 시신을 묻은 곳으로 갔다. 땅을 파헤치고 관을 끌어내어 열고 보니, 매장된 지가 이미 오래이건만 용안의 혈색이 오히려 생시나 다름없었다. 목을 살펴보니 과연 활시위가 매인 채 있었다. 그들은 곧 그것을 풀고 다시 정중하게 염습 입관하여 묻고 나서, 봉분 앞에 제전을 차려 올렸다. 그리고 부사가 친히 축문을 지어 읽었다. 왕실의 맏아드님이요, 어린 인군이시로다. 사나운 운수를 만나, 궁벽한 고을로 내쳐지셨나니 한 조각 푸른 산에 만고의 원혼이 서렸도다. 부디, 가까이 강림하시어 향기로운 잔을 드시옵소서. 그 후부터 해마다 이 글로 제문을 삼아 읽곤 하였다. 그날 제전을 끝마치고 동헌으로 돌아온 부사가 잠이 들었는데, 꿈에 단종의 혼령이 나타났다. “너희가 내 목을 풀어주어 이제는 참 시원하구나! 너희 둘의 은혜는 잊지 않으련다.” 이튿날 부사와 엄홍도가 서로 만나 꿈 얘기를 나눠보니 둘의 꿈이 똑같았다. 이후로 두 사람은 과연 단종의 성은을 입었음인지 일마다 뜻대로 되었다. 그 때의 부사가 바로 중종 조의 명신 박충원의 조부이다. 한편 유배된 단종에게 날마다 음식을 차려 바치던 차성복이란 농부가 있었다. 그는 읍내에 들어갔다가 단종이 살해되었다는 말을 듣고 대성통곡하며, 필경 자기가 염습을 해야 할 줄로 믿고 집으로 내려와 준비를 하려했다. 그날 밤 꿈에 단종이 나타났다. “내가 이제 이 세상을 떠나 저승으로 갔으나 혼신이 의탁할 곳이 없어 전날의 약속대로 너의 집으로 왔노라. 그런데 내 시신을 거둔 사람이 따로 있으니 너는 그만두어라.” 차성복은 놀라 깨어 일어나 슬피 울며 신위를 베풀고 상복을 입었다. 그리고 조석으로 상식을 올렸다. 그 후부터 길흉간에 단종이 현몽하여 가르쳐 주었음으로 만사가 순조롭게 풀렸다. 후세에 문장과 덕망으로 일세를 울리던 차천로, 차운로 등이 그의 자손이다.
|
|
5) 버려진 단종의 시신을 엄홍도라는 하급 관리가 거두어 묻었다. 당시 엄홍도는 죽음을 무릅쓰고 단종의 시신을 수습한 공으로 후에 최고 직급으로까지 오르게 되었고, 이후 영월 사람들로부터 추앙을 받는 인물이 되었다. |